|
CCGIS를 활용한 강원도 산불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채희문, 엄기증, 이시영 |
|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Using CCGIS |
Hee-Mmun Chae, Gi-Jeung Um, Si-Young Lee |
|
|
|
Abstract |
Since forest sector is increasing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a forest fire, one of forest disasters, makes a huge impact on a forest ecosystem and regional people`s life in general,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s is extremely important. Gangwon province area was selected for the study. Eighty one percent of Gangwon province`s land is covered by forest, and 8 cases of big fire, over 300 ha occurred from 2000 to 2009.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ut with a help of CCGIS program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Capacity Index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Gangwon province`s forest fire. It turned out that East Sea area of Yeongdong was highly vulnerable to forest fire and various meteorological factors could be involved. The future vulnerability of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would increase even though the regional difference could exis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Gangwon province`s adaptation policy for the forest sector. |
Key Words:
climate change; forest fire; vulnerability assessment; adaptation;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Capacity Index |
요지 |
기후변화가 산림부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며 그에 대한 평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재해 중 산불에 대한 영향 평가는 산림생태계 및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CC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원도의 산불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81%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국 산림면적의 21%를 차지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의해 산림이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최근 10년(2000~2009)간 한국에서 발생한 300 ha이상의 대형 산불 10건 중 8건이 발생되었다. 기후노출지수, 민감도지수, 적응능력지수를 이용하여 산불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 하였다. 강원도에서 산불 취약성이 큰 지역은 영동 동해안이고 기상인자에 의해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 기후시나리오(A1B)하의 산불 취약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커 질것으로 평가되었다.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강원도의 산림부문 적응 대책수립의 기초자료 활용될 것이다. |
핵심용어:
기후변화; 산불; 취약성평가; 적응; 기후노출지수; 민감도지수; 적응능력지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