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09;9(6):51-5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9.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at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at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Geun-Young Kim, Sang-Won Kim, Jai-Mu Won
Abstract
Safety and quality assessment systems are very important in manufacture, storage, transportation, and handling of hazardous materials(hazmat) to prevent hazmat disasters. At present, hazardous materials exist everywhere in our daily lives with various forms of plastics, household products of cleaning and washing detergents, fertilizers or petroleum-related products. However, hazardous materials are dangerous substances when they are released to human or environment. Hazardous materials become very widely used substances in the age of oil-based industrial econom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describes about one hundred thousand types of chemicals are produced and used worldwide. Over four hundred new chemicals are introduced in every year. A crucial question for the Korean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may have been raised: Will you be safe from hazardous material incidents? The gas leak disaster at Union Carbide`s Bhopal, India in 1984 that made over 6,400 people killed and 30,000 to 40,000 people seriously injured is the representative case for the safety of hazmat. Korea becomes vulnerable to hazmat disaster due to the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y. Thus, the risk assessment system is required to Korea for transferring abandoned hazmat management systems to self-correcting safety systems. This research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arious hazmat incidents apply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r analysis of category data to hazmat incidents for ten years. All of three analyses of category data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causality between hazmat incident site groups and seasons, regional groups, and incident casualty groups.
Key Words: Hazardous Material; Facility Incident;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of Category Data
요지
안전 및 품질 평가시스템은 유해물질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유해물질의 생산 저장 수송 취급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유해물질은 플라스틱, 가정의 세척제, 비료 또는 석유관련제품으로 우리의 일상생활 어디에서든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유해물질은 인간이나 환경에 누출되었을 때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유해물질은 석유기반 경제시대에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부는 전세계적으로 유해물질의 유형이 약 십만개가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매년 4백개 이상의 새로운 물질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유해물질 관리측면에서 우리는 유해물질 사고로부터 안전한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1984년에 발생해 6,400명이 넘는 사망자와 3만명 이상의 부상자를 낸 인도 보팔사고는 이러한 우리의 유해물질 안전에 대한 불안을 증폭시키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산업의 고도화로 각종 유해물질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낙후된 유해물질 관리시스템을 자기관리가 가능한 안전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위험평가시스템의 구축이 우리사회에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해물질 위험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10년동안 유해물질 관련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사례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유해물질 시설사고의 특성을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시설 유형과 연도, 계절, 발생지역, 사망자 발생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 유해물질; 시설사고; 통계분석; 교차분석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