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0(2); 2020 > Article
지하시설내 드론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요구능력 도출 연구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derive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considerations of the drone combat system to carry out CWMD operations in underground facilities.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for this stud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 experts in the fields of drone combat systems and CWMD operations, and in the military and civilian sectors. The first questionnaire investigated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ies by using open-ended questions, and the second to fourth questionnaires statistically analyzed the agreement of the experts on each required capability.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 total of eight factors were derived.

요지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시설내 대량살상무기제거 작전에 드론전투체계를 운용하기 위한 요구성능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였으며, 30명의 드론전투체계 기술개발 및 WMD 제거작전과 관련 있는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였다. 1차 설문은 드론전투체계의 요구성능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고려요소를 도출하였고, 2-4차 설문은 고려요소에 대한 전문가의 합의여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채택된 전문가의 의견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8개의 요인으로 요구성능이 도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핵⋅생물⋅화학무기를 의미하는 대량살상 무기(Weapons of Massive Destruction, WMD)는 일반적인 재래식 무기에 비해 대량의 살상력과 민간에 대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한다. 그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핵확산 금지조약(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생물무기금지조약(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Stockpiling of Bacteriological (Biological) and Toxin Weapons and on Their Destruction), 화학무기금지조약(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Development Production Stockpiling and Use of Chemical Weapons) 등 국제적 협약을 통해 그 무분별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군사적 관점에서의 WMD 무기체계는 전력의 열세를 저비용으로 손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인해 위와 같은 국제적 제재에도 불구하고 많은 불량국가나 테러단체들이 비밀리에 지속 연구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북한군의 경우 남⋅북한의 경제력과 군사력의 격차가 커짐에 따라 비대칭 전력의 주요 수단으로 다량의 WMD 무기를 생산⋅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북한 전 지역에 걸쳐 대량 살상무기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소와 저장시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군수, 장비, 지휘소, 군 막사 등 다양한 형태의 지하시설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으며 그 숫자가 대략 10,00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Scobell and Sanford, 2007). 특히, 북한군의 지하시설은 한⋅미 군 당국의 첨단 감시정찰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SR) 장비의 정찰활동으로부터 은폐가 가능하여 불법적인 연구개발 및 군사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전시상황에서는 아군의 고정밀 유도무기의 표적으로부터의 회피가 가능함은 물론 발각 시에도 방호력을 제공받아 그 전투력을 보존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한반도내 전투상황이 발생하여 한⋅미 연합군 혹은 한국군 단독으로 북한군의 WMD 시설에 대한 탐색 및 격멸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에 대비하여 지하시설의 특수한 환경에 적합한 무기체계와 부대를 보유하는 것은 완전하고 안전한 승리를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한편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서로의 위협요소를 조금씩 축소해가는 현 상황 하에서도 북한지역에 산재해 있는 지하의 WMD시설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과 관리는 앞으로 한국군이 완전한 평화정착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당면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이 지하시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WMD 제거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전투체계의 개발을 위한 요구성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수집, 의사결정론에 입각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지하시설에서의 대량살상무기제거작전(Countering Weapons of Massive Destruction, CWMD)에 요구되는 드론전투체계의 요구사항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지하시설에서의 CWMD작전 수행을 위한 드론전투체계의 요구성능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민⋅관⋅군의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설문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하기 위하여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 기법의 장점은 협의회와 같이 관계된 사람들이 모여 토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① 소수의견의 배제와 같은 다수의 횡포, ② 권위있는 한 사람의 의견과 그 발언의 영향, ③ 회의전 진행되는 사전조율, ④ 한 번 결정된 사안에 대한 입장의 고수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심리적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델파이 방법은 일반적인 여론조사 방법과 협의회의 장점만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① 의견수렴 절차의 반복과 통제된 피드백(feedback)을 받을 수 있으며 ②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하여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③ 통계적 집단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의사소통과정의 구조화를 가지고 있다. 이는 통상적인 대면방식의 그룹 활동과 구별되며 조사 대상자들의 대면조사 없이도 의사 결정에 대한 합의를 할 수 있다(Lee, 2001). 이런 델파이 연구를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점은 연구주제에 대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전문가의 직관에 의한 판단을 객관화된 수치로 연구주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라고 할 때 조사에 참여하는 전문가 집단의 자질은 연구의 성패를 좌우한다. 이러한 전문가 집단은 해당 연구분야에 종사하는 인원으로 대표성, 전문지식, 참여의 성실성, 참가자의 수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Dalkey, 1969). Anderson (1995)은 10-15명의 소집단의 전문가만으로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Ewing (1991)은 연구의 신뢰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10명 이상의 패널을 선정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관⋅군의 전문가들의 균등하고 형평성 있는 견해를 반영하기 위하여 지하시설에서의 CWMD 작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현역군인과 드론전투체계 분야의 교수와 연구원, 민간 개발업체의 연구원 등 총 30명(교수⋅연구원 8명, 민간 개발업체 10명, 현역군인 12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현역군인 역시 관련분야의 석사학위 이상을 보유한 인원으로 군사작전과 관련기술에 해박한 인원들이 선정되도록 노력하였다. 민간인의 경우 국방분야의 드론전투체계관련 연구를 수행한 대학교수 및 연구원과 개발업체의 연구⋅실무자를 선정하였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델파이 기법은 총 2단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하는데 1단계 설문은 연구문제에 대한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구성하여 일련의 전문가의 판단을 수집하였다. 2단계 설문은 폐쇄형 질문으로 1차 설문을 통해 수집된 비체계적인 개방형 응답들을 선형연구 결과와 응답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구조화된 폐쇄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각 항목의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동의의 강도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3, 4차 설문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항목에 대한 패널들의 의견과 본인의 의견을 피드백하여 본인의 응답을 수정하거나 추가의견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보완 및 합의를 이끌어냈다(Fig. 1). 이를 토대로 지하시설에서 CWMD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드론전투체계 요구성능을 정량적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2. 선행연구고찰

2.1 군사용 드론기술의 발전과정

드론봇은 드론과 로봇의 합성어로 최근에 첨단 미래군의 핵심전력으로 대중에 많이 알려졌다. 그러나 최초의 드론은 193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대공포훈련용으로 개발된 무인기를 타겟드론(target drone)으로 명명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드론이란 조종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전파유도방식에 의해 비행 및 조종하는 무인기를 총칭하는 용어로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 무인항공시스템(Unmanned Aircraft System, UAS), 원격조정항공시스템(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 RPAS) 등으로 불리고 있다. 군사용 무인기의 운용사례를 보면, 베트남전이 무인정찰기를 사용해 정찰 및 정보수집활동을 광범위하게 실시한 최초의 전쟁이라 할 수 있다. 1964년에서 1975년 사이에 총 3,435개의 정찰 UAV가 비행되었으며, 전쟁 후반부에는 전단지를 살포하여 심리전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1982년 이스라엘은 시리아와의 베카계곡 전투에서 무인기를 이용한 화력유도를 통해 17개의 미사일 기지 중 15개의 기지를 폭파하였다. 걸프전에서는 정찰용(정보수집, 감시 및 정찰, 목표획득 등) 및 특수목적용(표적, 전자전, 공격, 기만 등)으로 무인기가 운용되면서 ‘Sensor to Shooter’ 시스템의 전투효과를 입증하였다.
드론은 개발 초창기의 대공표적 혹은 정찰임무 등의 제한적인 임무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정밀센서 등의 기술이 융합되면서 현재의 드론봇의 개념으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상군은 2018년 9월 28일 부로 지상작전사령부 예하 지상정보단에 드론봇 전투단을 창설하였다. 드론봇 전투단은 정찰드론, 무장드론, 전자전드론, 정찰 및 다목적 로봇 등으로 구성되어 미래전장의 정보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Hur et al., 2017). 특히, 탐지된 표적에 대한 실시간 타격 및 평가를 수행하여 전투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다. 앞으로는 드론의 운용 규모 및 방법 측면에서 유인 전투기를 다수의 드론이 지원하거나 다수의 드론이 독자적으로 동시작전을 수행하는 개념으로 발전해 나가고자 한다(Park et al., 2018). 드론의 기체 역시 초소형,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다양화되어 미래전장을 지배하는 핵심 무기체계로 발전할 것이며 적의 해킹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방호대책 역시 동시에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Kim, 2016).

2.2 드론전투체계의 기대효과

드론전투체계를 군사작전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운용목적에 맞는 작전요구 성능과 기존의 전투체계와의 운용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동력운용체계(배터리 성능향상, 하이브리드 기술 접목 등)향상과 더불어 야간운용, 장거리 통신, 장애물 극복 및 회피, 오염물질 탐지 및 무장운용 등 군사작전이 가능한 작전 요구성능을 달성하여야 한다. 또한, 새롭게 개발된 드론전투체계가 기존의 지휘 및 통신 혹은 다른 전투장비의 운용체계와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 보장되어야만 즉각적으로 적재적소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현대 및 미래전장에서의 드론은 이러한 기대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소 추상적인 기술요구사항을 다음의 임무를 중심으로 구체화 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고도의 위험한 작전임무에서의 인명손실 최소화를 위한 병력대체 효과가 요구된다. 현대전의 양상은 정보수집 및 정밀타격을 위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대도시의 발전으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전투 가능성이 증대되어 보다 치명적이고 파괴적인 형태로 변화해가고 있다. 전투현장에서 치열한 교전은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데 드론을 활용한 전투 및 전투지원 임무는 적 위협이 높은 곳에서 병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것이다.
둘째, 전투원의 정신적⋅육체적 한계를 보완하여 작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야 한다. 도시지역, 산악지역, 지하공간(동굴, 대도시의 지하시설 등), 해안지역 등 다양한 작전지역에서 유⋅무인전투체계의 통합작전을 통해 전투원의 상황인식과 판단을 도와 작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드론전투체계의 전력화를 통한 효과의 극대화이다. 군사용 드론체계의 개발비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전력화시 최대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전력체계 전반에 걸친 총수명주기체계관리를 통한 핵심기술 개발과 운영유지비용의 최소화가 요구된다.

3. 지하시설에서의 드론전투체계 요구성능 도출

본 연구의 전문가 그룹은 지하시설에서의 CWMD 작전을 위한 드론전투체계의 요구성능을 노출하기 위해 CWMD작전에 경험이 있는 현역군인, 드론전투체계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한 교수와 연구원, 연구개발 업체의 직원 집단을 대상으로 30명을 선정하였다. 특히, 선정된 전문가 그룹이 연구과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전문가 집단별 응답결과 분석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별 연구원을 1명씩 편성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수차례 반복되는 설문회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Table 1).

3.1 설문과정 및 자료수집

1차 설문조사는 드론체계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성능을 개방형 질문으로 2019년 3월 19일부터 2주에 걸쳐 사전에 동의를 얻은 해당분야의 교수 및 연구원, 현역군인, 드론체계 연구개발 업체 전문가 등 총 30명에게 이메일과 직접전달 방식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23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화로도 응답에 응해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8명으로 부터는 최종응답을 회수하는데 실패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사항목을 통합하고 정리하여 폐쇄형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19년 4월 8일부터 약 3주에 걸쳐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30명 모두에게 응답을 회수 할 수 있었다.
3차 설문조사는 2차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하다고 합의에 이른 항목은 채택하고 불필요하다고 합의된 항목은 제거하였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항목에 대해서 3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3차 설문 간에는 2차 설문결과의 통계값과 본인의 응답을 같이 제공함으로써 전문가로 하여금 각 항목에 대해여 재평가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인 의견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차 설문조사는 2019년 5월 2일부터 1주일간 실시하였다.
4차 설문조사는 3차 설문조사에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항목에 대하여 3차 설문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4차 설문 조사 간에는 3차 설문 간 제기된 추가의견도 같이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의견에 대해 숙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9년 5월 13일부터 1주일간 진행하였다.

3.2 자료분석

3.2.1 제1차 설문(개방형 질문)

1차 개방형 설문조사는 전문가 집단 30명 중 23명이 응답에 응하여 76.7%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32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WMD 탐색 및 비행체계로는 모자드론을 이용한 전 구역 동시탐색능력과 AI 기반의 전투체계를 통한 효율적인 작전 및 피⋅아 식별능력 등이 추출되었다. 통신 및 보안체계로는 지하시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의해 GPS 수신이 불가능하므로 자체적인 통신체계구축 능력인 Ad-hoc과 대용량 데이터 통신 능력 등이 도출되었다. 지휘결심 측면에서는 CWMD작전의 특성상 전략적-작전적-전술적 제대를 연결하는 지휘통제체계 등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기술들이 융합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추출되었다.

3.2.2 제2차 설문(폐쇄형 질문)

제2차 설문조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 및 1차 설문조사 결과(개방형 설문)를 토대로 도출된 여러가지 고려요소들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7점 척도법(Table 3)을 적용한 폐쇄형 질문을 구성하였다.
폐쇄형 질문은 1차 개방형 설문으로 수집한 비체계적인 개방형 응답들을 분석하여 구조화된 폐쇄형 문항으로 재작성하여 전문가 그룹으로 하여금 각 항목에 대한 중요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구성된 전문가 패널 30인 모두 응답에 응하였다. Fig. 2는 응답결과에 대한 Boxplot이다. 각 질문항목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동의 여부가 특정 위치에 편향되어 정규분포를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Shapiro-Wilk normality test 분석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로 모든 항목들의 응답은 정규분포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패널의 응답이 각 항목들에 대한 동의여부를 판단하는 등간척도임을 근거로 비모수 방법인 Wilcoxon singed rank test를 적용하였다. 이는 응답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닐 때 대립가설에 대한 해당 데이터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통계방법이다. 다시 말해, Wilcoxon singed rank test를 통해 계산된 p-value가 유의수준 0.05 이하라면 해당 항목의 설문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p-value가 유의 수준 0.05이상이면 해당 항목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의 일반화가 제한됨을 의미한다.
Wilcoxon singed rank test 분석결과를 통해 지하시설에서 CWMD작전을 위해 요구되는 드론전투체계의 요구사항으로 각 항목에 대해 보통 이상의 전문가 집단의 동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였다. 총 32개의 항목 중 21번, 22번, 24번, 26번의 4개 항목이 제외되었다. 즉, 작전 가시화를 위한 홀로그램 기반의 공통작전상황도(Common Operational Picture, COP) 구성, VR/AR기반의 지휘결심체계, 실시간 3차원 월드모델링을 통한 영상의 기사화, 워리어 플랫폼과 연동한 실시간 정보 제공은 고려사항에서 제외되었음을 의미한다. 2차 설문조사에서 제외된 상기 4개 항목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직접 면담한 결과 대학교수와 연구원 집단과 WMD 제거작전을 전문적으로 시행하는 현역 전문가 집단의 의견이 서로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현역 전문가 집단의 경우 WMD 제거작전의 특성상 지상작전을 통해 기확보된 지역에서 CWMD작전이 시행되고, 홀로그램과 VR/AR의 기술을 이용하여 전장을 실시간 가시화하고 그것을 각개병사가 착용하고 있은 워리어 플랫폼에 전송하는 기술보다는 실질적인 위험물질을 탐색하는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드론전투체계의 무장능력과 탑재된 장비가 늘어날수록 비행체의 중량이 증가하여 비행시간이 짧아지므로 적절한 요소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유보된 6개 항목(14번, 19번, 25번, 27번, 29번, 32번)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2.3 제3-4차 설문(개방형 질문)

제3차 설문에서는 2회에서 회수한 전문가 집단의 응답에 대하여 집중경향과 변산도(중앙값과 사분점간 범위: Interquartile range ‘사분범위’라고도 함)를 산출하여 각 전문가 패널에게 제시하고 본인의 제2회 응답에 대한 재고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만일, 다수의 의견과 다른 응답을 할 때에는 그 이유에 대하여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6개 항목에 대한 3차 설문조사 결과는 Table 5에 정리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해 14번과 27번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어 2가지 항목에 대해 채택하였으며, 나머지 4개 항목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제4차 설문조사 역시 3회와 동일하게 전문가 집단의 응답에 대한 통계분석값과 본인의 응답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히, 설문조사의 횟수에 상관없이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3회 설문에서 도출된 추가의견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폭넓은 사고를 통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4차 설문 4개 항목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는 Table 6에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32번 항목은 채택되었으며 19번, 25번, 29번 항목은 제외되었다. 채택된 항목인 32번은 영상을 포함한 대용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5G기반의 통신능력은 보안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전제하에서 채택이 되었으며, 드론의 수동제어, 다수의 이종드론의 통합과 관제 및 드론 플랫폼의 다양화는 WMD 제거작전이라는 특수성에 의해 제외되었다. 지하시설에서의 WMD 제거작전이 지상과는 매우 다른 작전환경을 제공하므로 그 특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즉, 좁은 지하시설에서 다중의 이중 드론을 운영하거나 수동제어를 하기에는 환경적 제약이 많음을 이유로 제시하였다. 다만, 지하시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제외할 경우에는 앞으로 지상군의 드론전투체계 발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3.2.4 요인분석

지하시설에서 드론전투체계를 이용하여 CWMD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주요하게 고려해야할 요구성능을 집약적으로 도출하기 위하여, 앞서 도출된 총 25개의 요소에 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해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24’를 사용하였다. 25개 요소에 대해 고유치 해석을 수행한 후 스크리 프롯(Scree plot)한 결과 9번째 요소부터 고유치 값이 1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주요 요인을 8개로 가정하고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Cattell, 1966; Thompson, 2004). Table 7은 RC1∼RC8 여덟 가지 주요요인에 대하여 Varimax 회전을 통하여 수렴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Kaiser, 1958). Table 8은 각 요인들로 전체자료를 얼마나 잘 설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25개 문항을 8개의 요인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해석결과, RC1 요인은 Q.15, Q.18, Q.28, Q.30, Q.31, Q.32의 6개의 고려사항으로, RC2 요인은 Q.08, Q.10, Q.11, Q.12의 4개의 고려사항으로, RC3은 Q.01, Q.02, Q.03, Q.04, Q.09의 5개의 고려사항으로 묶을 수 있다. 또한, RC4 요인은 Q.07, Q.17의 2개 고려사항을, RC5 요인은 Q.05, Q.06, Q.13, Q.27의 4개의 고려사항을, RC8 요인은 Q.14. Q.16의 고려사항을 대표하여 차원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반면, RC6과 RC7요인은 각각 Q.23과 Q.20의 한 가지 고려사항을 대표하는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여기서 varimax rotation value가 음의 값을 갖는 고려요소는 양의 값을 갖는 고려요소와 상반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RC1의 요인에서 Q.18인 데이터의 암호화 능력이 좋을수록 Q.15인 자폭능력의 중요도는 작아짐을 나타낸다(Table 9).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각 요인별 고려사항에 대한 공통성을 분석한 결과, RC1 요인은 지하환경에서의 자체적인 네트워크 구성 및 데이터 통신능력, RC2 요인은 지하에서의 드론체계의 비행능력, RC3 무장능력 및 WMD 탐색능력으로 요약되었다. RC4 요인은 드론체계 내 AI기반 운용능력, RC5요인은 우발상황 대체능력, RC8은 지상의 작전요원에게 상황도와 지하시설에 대한 지도를 제작하여 전송하는 능력으로 요약된다. 이와 더불어 RC6요인은 인간에 의한 사격통제능력과 RC7은 기존 전술망(ATICS, KJCCS, CENTRIX-K 등)과의 상호 호환성이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지하시설에서의 작전환경은 지상과는 전혀 다른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지하라는 작전공간은 좁고 어두우며 미로와 같은 환경에서 적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에 노출된 채 작전을 수행하여야 하는 고난이도의 전투능력이 요구된다. 이는 필연적으로 아군의 대규모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육군에서 추진 중인 지하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드론전투체계를 WMD제거작전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성능을 위한 고려사항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델파이 기법을 위해 민⋅관⋅군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 30명을 구성하여 총 4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합의여부를 판단하였다. 1회 설문을 통해 도출된 총 32개의 고려요소는 2회, 3회, 4회의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7개의 고려요소가 제거된 총 25개의 고려요소로 합의가 도출되었다. 이후 요인분석을 통해 8개의 요인으로 차원을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라는 특수한 환경은 지상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없어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며 작전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Ad-hoc기능의 중개드론 운영은 필수적이다. 또한, 수집된 대용량의 영상 및 탐색정보를 암호화시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능력과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둘째, 지하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충돌회피 능력과 장시간 비행할 수 있는 에너지 세이빙 기능 및 고성능 배터리 성능이 요구되었다. 지하에서는 소리의 반사와 공명으로 인해 비행소음이 지상보다 크게 발생하므로 저소음 비행능력 역시 요구되었다. 이러한 성능은 지하라는 특수한 환경뿐만 아니라 지상에서도 적지를 은밀히 정찰하기 위해 필요한 비행능력으로 관련기술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드론전투체계의 무장 및 WMD 탐지능력으로 화기운용을 위한 반동제어와 어두운 지하에서 WMD 물질 탐지를 위한 센서 및 야간투시 카메라 그리고 지하시설 내 병력 투입을 위한 산소농도와 가스 누출 탐지 등의 능력이 요구되었다.
넷째, 드론전투체계의 운용은 위험한 지하시설 내부에서 WMD 물질의 탐색을 위해 병력을 대체하거나 병력 투입 전에 운용되는 개념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신속한 탐색을 위해 AI기반의 작전구상과 전 지역 동시탐색 능력을 요구하였다.
다섯째, 지하시설내부에는 잔존하는 적대세력이 존재할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세력의 저항에 의해 드론전투체계의 투입이 거부되거나 파괴될 우려가 높다. 우발적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적의 대응체계를 파괴하기 위한 재밍능력과 일부 비행체계의 파손에도 운용이 가능한 Adaptive control 기술과 피⋅아식별 능력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여섯째, 무장을 운용함에 있어서 인명의 살상이 요구되는 상황에서의 최종적인 판단은 인간에 의해서 지휘결심이 되도록 하는 요구성능이 하나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앞으로 AI기반의 무기체계가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을 고려하였을 때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핵심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기존 전술망과의 호환성을 확보하여 신속한 지휘⋅통신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요구성능으로 도출되었다. WMD 작전의 특성상 비록 소규모 부대의 작전이라 할지라도 전략적 판단이 요구되거나, 전체 군사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전술망과의 호환성을 확보하여 전 제대(전술적, 작전적, 전략적 제대)가 동시에 전장상황을 인식하고 신속한 지휘결심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작전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상의 작전수행 부대가 지하시설 내부의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작전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상황인식이 필요하다. 이에 드론전투체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지상의 지휘관과 참모가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공통작전상황도를 구성하여 공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상의 병력을 효과적으로 투입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미로와 같은 지하시설 내부를 가시화하고, 방책을 구상하기 위해서 정밀한 지도의 제작과 활용이 요구된다.
미래전에서 드론 전투체계는 육해공 나아가 지하에서 이루어지는 군사작전에서도 지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요구성능이 그 운용을 위한 모든 고려요소를 식별해내지는 못했으며 또한 그 실용화 방법까지는 아직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악조건 속에서 드론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성능에 대해 크고 기본적인 틀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 각각의 요구성능들을 구체화시키고 실용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연구비지원(2019년 군사학술과제지원사업)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Fig. 1
Delphi Technique Process
kosham-20-2-177f1.jpg
Fig. 2
Results of Second Survey on Considered Factors for Drone Combat System
kosham-20-2-177f2.jpg
Table 1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Experts for Delphi
Occupation Panel Responses (percentage)
1st 2nd 3rd 4th
Solider 12 (40%) 8 (35%) 12 (40%) 12 (42%) 12 (42%)
Professor Researcher 8 (27%) 8 (35%) 8 (27%) 8 (29%) 8 (29%)
R&D Group 10 (33%) 7 (30%) 10 (33%) 8 (29%) 8 (29%)
Total 30 23 30 28 28
Table 2
Considered Factors for Drone Combat System
Code Statements
Q.01 Reaction control ability for armed operation
Q.02 WMD material detecion and sampling capability by contact or non-contact method
Q.03 360 degree night vision camera
Q.04 Ability to return using autonomous driving system under GNSS unrecieved area or emergency condition ※ GNSS (Global Navigation Statellite System)
Q.05 Operational capability in various enviromental conditoin such as storm and hurricane
Q.06 Identify allies and enemies
Q.07 AI-based operational planning capablities such as optimal WMD search route
Q.08 Low altitude flight and collision avoidance capabilities in underground spaces
Q.09 Operation environment measurement such as oxygen level and pollutants concentration in underground
Q.10 Low noise flight capability in underground spaces
Q.11 Energy saving function through power control
Q.12 Improved battery life for long-time independent flights
Q.13 Jamming and anti-jamming capabilities for enermy C4I system
Q.14 Mapping capability for Common Operational Picture (COP)
Q.15 Self-destructive ability to destroy communication and security system in emergency condition
Q.16 Encrypted underground facility map and WMD search results
Q.17 AI-based formation flight of group drones to search WMD material in various area simultaneously
Q.18 Real-time encryption capablity of video and data
Q.19 Sensing delay technology for drone control
Q.20 Interoperability with existing C4I system such as ATICS and KJCCS
Q.21 Hologram-based operation visualization for Common Operational Picture (COP)
Q.22 VR/AR-based command decision support
Q.23 Real-time decision system of shooter function
Q.24 Real-time 3-dimentional world modeling to visualized the underground operation area
Q.25 Air traffic control ability for multi drones
Q.26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by interoprability with Warrior platform
Q.27 Adaptive control technology for flyting even in the event for drone wing breakage
Q.28 Real-time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technology
Q.29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including small drones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large drones for armed operation
Q.30 Routing drones with Ad-hoc communication function
Q.31 High efficiency image compression and high precision position measurement technology
Q.32 5G-based large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Table 3
Degree of Agreement in Seven Points Scale Method
Number Likert Scale
1 Very Unimportant
2 Unimportant
3 Slightly Unimportant
4 Neutral
5 Slightly Important
6 Important
7 Very Important
Table 4
Statistical Analysis on Results of Second Survey
Code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Wilcoxon signed rank test (P-value) Determ.
Mean Standard Median IQR*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
Q.01 5.233 0.898 5.00 1.25 0.003 0.002 0.000 Accepted
Q.02 5.900 1.029 6.00 2.00 0.000 0.000 0.000 Accepted
Q.03 5.467 1.525 6.00 3.00 0.000 0.000 0.000 Accepted
Q.04 6.233 0.774 6.00 1.00 0.000 0.000 0.000 Accepted
Q.05 5.067 1.337 5.00 2.00 0.009 0.028 0.001 Accepted
Q.06 5.267 0.828 5.00 1.00 0.000 0.001 0.000 Accepted
Q.07 5.033 0.999 5.00 2.00 0.000 0.002 0.000 Accepted
Q.08 6.100 1.155 6.50 2.00 0.000 0.000 0.000 Accepted
Q.09 6.433 0.568 6.00 1.00 0.000 0.000 0.000 Accepted
Q.10 5.500 0.938 5.00 1.00 0.000 0.003 0.000 Accepted
Q.11 5.800 0.925 6.00 1.00 0.000 0.000 0.000 Accepted
Q.12 5.300 1.179 5.00 3.00 0.000 0.000 0.000 Accepted
Q.13 5.000 1.050 5.00 2.00 0.000 0.003 0.000 Accepted
Q.14 4.433 1.478 4.00 3.00 0.008 0.012 0.105 Defered
Q.15 5.133 1.925 5.50 3.25 0.000 0.000 0.003 Accepted
Q.16 5.700 1.343 6.00 2.00 0.000 0.000 0.000 Accepted
Q.17 4.567 1.501 5.00 3.00 0.000 0.000 0.049 Accepted
Q.18 5.033 1.159 5.00 2.00 0.000 0.002 0.001 Accepted
Q.19 4.233 0.935 4.00 2.00 0.000 0.001 0.175 Defered
Q.20 5.067 1.284 5.00 2.00 0.000 0.001 0.001 Accepted
Q.21 3.300 0.794 3.00 1.00 0.000 0.000 0.000 Rejected
Q.22 3.233 0.774 3.00 1.00 0.000 0.000 0.000 Rejected
Q.23 4.433 0.898 5.00 1.25 0.000 0.000 0.016 Accepted
Q.24 3.200 0.805 3.00 1.00 0.000 0.001 0.000 Rejected
Q.25 4.333 1.626 4.50 3.00 0.000 0.004 0.212 Defered
Q.26 3.333 1.028 3.00 1.00 0.000 0.003 0.003 Rejected
Q.27 4.400 1.192 5.00 2.00 0.000 0.001 0.075 Defered
Q.28 4.567 1.524 5.00 3.00 0.000 0.000 0.024 Accepted
Q.29 4.000 1.145 4.00 2.00 0.019 0.025 0.897 Defered
Q.30 4.867 1.456 4.50 2.00 0.001 0.005 0.005 Accepted
Q.31 5.333 1.422 5.50 3.00 0.000 0.001 0.000 Accepted
Q.32 4.567 2.046 4.00 4.00 0.000 0.000 0.102 Defered

* IQR: Interquartile Range

Table 5
Statistical Analysis on Results of Third Survey
Code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Wilcoxon signed rank test (P-value) Determ.
Mean Standard Median IQR*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
Q.14 4.867 0.973 5.00 2.00 0.001 0.001 0.000 Accepted
Q.19 3.900 0.845 4.00 1.25 0.001 0.000 0.513 Defered
Q.25 3.600 1.102 3.00 2.00 0.000 0.003 0.058 Defered
Q.27 4.700 1.055 5.00 1.00 0.000 0.008 0.002 Accepted
Q.29 3.933 1.015 4.00 1.25 0.000 0.0000 0.567 Defered
Q.32 4.433 1.832 4.50 3.00 0.001 0.006 0.138 Defered

* IQR: Interquartile Range

Table 6
Statistical Analysis on Results of Fourth Survey
Code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Wilcoxon signed rank test (P-value) Determ.
Mean Standard Median IQR*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
Q.19 3.567 0.679 3.00 1.00 0.000 0.000 0.003 Rejected
Q.25 3.400 0.894 3.00 1.00 0.000 0.001 0.002 Rejected
Q.29 3.267 0.944 3.00 1.00 0.000 0.001 0.001 Rejected
Q.32 5.000 1.287 5.00 2.00 0.013 0.014 0.001 Accepted

* IQR: Interquartile Range

Table 7
Varimax Rotation Results on Major Factors
Code RC1 RC2 RC3 RC4 RC5 RC6 RC7 RC8
Q.31 0.853
Q.18 0.733
Q.15 −0.692
Q.28 0.690
Q.32 0.672
Q.30 0.615
Q.11 0.727
Q.10 0.714
Q.08 0.641
Q.12 −0.603
Q.09 0.791
Q.04 0.644
Q.03 0.596
Q.02 −0.537
Q.01 −0.487
Q.07 0.758
Q.17 0.521
Q.13 0.625
Q.06 0.599
Q.27 0.595
Q.05 0.545
Q.23 0.623
Q.20 −0.547
Q.16 0.540
Q.14 0.516

Extraction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8 components extracted.

Table 8
Explanation by Each Factors
Component Extraction Sums of Squared Loadings
Total % of Variance Cumulative %
RC1 5.200 20.802 20.802
RC2 3.045 12.182 32.984
RC3 2.777 11.109 44.093
RC4 2.599 10.396 54.489
RC5 2.253 9.014 63.502
RC6 1.835 7.340 70.843
RC7 1.325 5.299 76.141
RC8 1.202 4.808 80.949
Table 9
Common Factors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Results
Factor Consideration
RC1 Network configuragtion and data communication Q.15 Self-destructive ability to destroy communication and security system in emergency condition
Q.18 Real-time encryption capablity of video and data
Q.28 Real-time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technology
Q.30 Routing drones with Ad-hoc communication function
Q.31 High efficiency image compression and high precision position measurement technology
Q.32 5G-based large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RC2 Flight capability in underground Q.08 Low altitude flight and collision avoidance capabilities in underground spaces
Q.10 Low noise flight capability in underground spaces
Q.11 Energy saving function through power control
Q.12 Improved battery life for long-time independent flights
RC3 Arming and WMD detection capability Q.01 Reaction control ability for armed operation
Q.02 WMD material detecion and sampling capability by contact or non-contact method
Q.03 360 degree night vision camera
Q.04 Ability to return using autonomous driving system under GNSS unrecieved area or emergency condition ※ GNSS (Global Navigation Statellite System)
Q.09 Operation environment measurement such as oxygen level and pollutants concentration in underground
RC4 AI-based operation capability Q.07 AI-based operational planning capablities such as optimal WMD search route
Q.17 AI-based formation flight of group drones to search WMD material in various area simultaneously
RC5 Operational capability in contingency condition Q.05 Operational capability in various enviromental conditoin such as storm and hurricane
Q.06 Identify allies and enermies
Q.13 Jamming and anti-jamming capabilities for enermy C4I system
Q.27 Adaptive control technology for flyting even in the event fo drone wing breakage
RC6 Fire control Q.23 Real-time decision system of shooter function
RC7 Interoperability Q.20 Interoperability with existing C4I system such as ATICS and KJCCS
RC8 COP and Mapping Q.14 Mapping capability for Common Operational Picture (COP)
Q.16 Encrypted underground facility map and WMD search results

References

Anderson, D (1995). Strands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eirce. West Lafayette, IN: Purdue University Press.
crossref
Cattell, RB (1966) The scree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1, No. 2, pp. 245-276.
crossref pmid
Dalkey, NC (1969).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M-5888-PR. The Rand Corp.
crossref
Ewing, DM (1991). Futu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preparation of secretaries in the state of Illinois using the Delphi techniqu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crossref
Hur, CH, Kim, SP, Kim, YS, and Eom, JH (2017) Change of cyber-attacks techniques and patterns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ceedings of 2017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CloudW, pp. 69-74.
crossref
Kaiser, HF (1958) The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 rotation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 23, No. 3, pp. 187-200.
crossref pdf
Kim, CY (2016). A study on military use of drone to prepare for future war.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crossref
Lee, JS (2001). Delphi method. Seoul: Education and Sciences Publishing.
crossref
Park, KS, Cheon, SP, Kim, SP, and Eom, JH (2018) Security threats and scenarios using drones on the battlefield. Journal of Convergence Security, Vol. 18, No. 4, pp. 73-79.
crossref
Scobell, A, and Sanford, J (2007). North Korea’s military threat: Pyongyang’s conventional force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allistic missiles. Carlisle, PA, USA: U.S. Army War Colleg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crossref
Thompson, B (2004).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nderstanding concepts and applications. 1st ed. Washington DC, US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