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3); 2017 > Article
뜬 침목 자갈궤도의 정⋅동적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bstract

In the ballast track, a repeated load of the train leads to fracture of the bottom gravel of the sleepers, and a frequent loose sleeper occurs in which there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sleepers and the gravel. This loose sleeper increases the cost of track maintenance.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loose sleepers, which commonly appear when vertical track irregularities progress, when causing track deteriorations such as track settlement and fatigue of track materials. However,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loose sleeper is very difficult in the field.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test was performed for loose sleeper models which were distinguished by number of loose sleeper, gap of loose sleeper. The track support stiffness decreases and the stiffness of track skeleton is much more flexible accord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loose sleeper. It increases the static and dynamic responses of ballasted track. Also, the dynamic responses of track according to increasing load amplitude increase in proportion because the load amplitude depends on the conditions of track and train. Therefore, the track maintenance for loose sleeper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causing the fatigue fracture of track materials.

요지

철도 자갈궤도에서는 열차운행에 따른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여 침목저부 자갈의 파쇄를 가져오고, 침목과 자갈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는 뜬 침목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뜬 침목 현상은 선로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킨다. 뜬 침목은 궤도재료의 피로 및 궤도침하와 같은 궤도열화를 유발하고, 수직방향 궤도틀림 진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뜬 침목에 대한 정량적인 검토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뜬 침목 개수와 뜬 침목 량을 변수로 한 뜬 침목을 모형화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분석결과, 뜬 침목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궤도지지강성은 감소하고, 궤광의 강성이 유연해진다. 또한, 실제 열차운행 시 하중진폭은 열차운행 및 궤도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중의 진폭이 증가할 경우 궤도 동적응답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궤도재료의 피로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는 뜬 침목에 대한 궤도 유지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1. 서론

자갈궤도에서는 자갈의 불균질성과 반복적인 열차하중으로 인해 침목저부 자갈이 파손 및 마모되어 침목저면과 자갈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는 뜬 침목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뜬 침목 현상은 열차주행 시 국부적인 궤도틀림으로 인한 열차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궤도구성품의 열화 및 손상을 촉진시킨다. 실제 뜬 침목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현장재하시험은 재하하중 외의 다양한 조건과 인자들에 따라 실험 환경이 제한적이고, 실제 현장에서 뜬 침목이 발생한 구간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장과 동일한 조건의 모형시험을 통해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현장에서는 뜬 침목개수 및 뜬 침목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실내시험을 통해 뜬 침목 개수 및 량에 따른 궤도의 정⋅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Ono et al.(2001), Bezin et al.(2009), Yang et al.(2012)는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뜬 침목에 대한 정량적 판단의 어려움으로 인해 해석적인 접근을 통해 뜬 침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Ishida(1999), Park et al.(2008), Sung et al.(2010), Sung(2010), Lee(2005)는 해석적인 접근을 통해 뜬 침목 발생이 궤도지지강성 변화를 가져오고, 레일처짐의 증가로 인해 레일휨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레일피로수명의 감소를 유발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뜬침목 현상을 정량화한 자갈궤도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정⋅동적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실내시험에서는 뜬침목개수 및 뜬침목량과 하중크기 및 하중진폭, 가진주파수 등의 주요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매개변수에 따른 자갈궤도의 침목변위, 레일휨응력에 대한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2. 실내시험

2.1 시험체 제작 및 시험방법

2.1.1 시험체 제작

시험체 제작은 뜬 침목을 정량화한 자갈궤도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 목적에 부합되도록 하중 등 설계조건을 적용하여 궤도구조의 단면을 설계하였고, Table 1, Fig. 1과 같이 실내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침목간격 625 mm로 총 7개의 침목이 부설되도록 하였다. 또한, 국내 철도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e-clip 체결구를 적용하였으며, 60kg/m레일을 적용하였다.
Table 1
Properties of the Track System
Index
Design speed 200km/h
Live load LS22
Specimen Length: 10.8m, Width: 4.9m
Rail KR 60(60K)
Sleeper PCT(using 60kg rail)
Rail fastening system e-clip, TPU 5mm(≥200kN/mm)
Thickness of track bed 300mm
Track Ballast track
Fig. 1
View of Test
KOSHAM_17_03_209_fig_1.jpg

2.1.2 하중재하조건

뜬 침목이 자갈궤도 거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별 정적재하와 가진주파수 및 최대하중에 따른 동적가진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시험을 위한 하중조건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Conditions of Load Case
Min (kN) Max (kN) Median (kN) Hz Remark
Static Load 0 250 - - Increments of 50kN
17 LC1 (± 5%) 161.5 178.5 170 3.4 KTX model (230km/h/3.6)/18.7m =3.4Hz
17 LC2 (±15%) 167.5 195.5 170
17 LC3 (±25%) 128.3 213.8 170
17 LC4 (±35%) 110.5 229.5 170
17 LC5 (±50%) 85.0 255.0 170
22 LC1 (± 5%) 209.0 231.0 220 2.7 Diesel model (230km/h/3.6)/23.5m =2.7Hz
22 LC2 (±15%) 187.0 253.0 220
22 LC3 (±25%) 165.0 275.0 220
22 LC4 (±35%) 143.0 297.0 220
22 LC5 (±50%) 110.0 330.0 220
정적재하시험은 50 kN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0∼250 kN까지 재하하였다. 동적가진시험은 KTX (축중 170 kN)와 축중이 큰 디젤열차(축중 220 kN)를 모델로 하였고, 열차속도는 일반철도 속도향상을 고려하여 최고속도인 230 km/h를 모델로 하여 가진주파수를 설정하였다. 또한, 레일표면요철 및 도상상태, 열차주행상태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동적증폭효과를 고려하여 설계축중을 Median Load로 하고 ±5%, ±15%, ±25%, ±35%, ±50%까지 최소∼최대하중을 변화시켜 궤도의 동적응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Sung et al.(2010)). 실내시험횟수는 각 Load Case별 2회씩 실시하였으며, 동적가진시간은 1∼2분 동안 가진하는 것으로 하였다. 동적가진시험은 Sine파형으로 가진을 하였고, Fig. 2는 실내시험 시 재하된 동적하중조건에 대한 하중파형을 나타낸다.
Fig. 2
Conditions of Load Case
KOSHAM_17_03_209_fig_2.jpg

2.1.3 시험체 Case

본 연구에서는 실제 철도현장에서 발생하는 뜬 침목현상에 따른 자갈궤도의 거동특성을 실내시험으로 묘사하고자 하였으며, 뜬 침목 개수 및 뜬 침목량에 변화를 주어 궤도의 정⋅동적응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뜬 침목 개수 및 뜬 침목량에 따른 실내시험체 Case는 Table 3과 같다. 시험체 및 하중재하지점의 제한된 조건으로 인해 뜬 침목개수는 2, 4개로 설정하였고, 뜬 침목량은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Fig. 3과 같이 자갈도상과 침목사이에 두께가 다른 합판을 삽입한 후 제거하는 방식으로 모사하여 정량적인 뜬 침목량을 적용하였다.
Table 3
The Type of Specimens
No. of loose sleeper Gap of loose sleeper Remark
Case I - - -
Case II-1 2 5mm
Case II-2 2 10mm
Case II-3 2 15mm
Case II-4 2 20mm
Case III-1 4 5mm
Case III-2 4 10mm
Case III-3 4 15mm
Case III-4 4 20mm
Fig. 3
View of Loose Sleeper Model
KOSHAM_17_03_209_fig_3.jpg

2.1.4 측정 항목 및 시스템 구축

본 연구에서는 침목과 침목사이 레일중앙에 하중재하지점을 설정하였고, 실내시험 시 계측항목은 Fig. 4, 5와 같이 침목변위, 레일휨응력으로 설정하였다. 실내시험 계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Table 4와 같고, 변위계 5개, 응력게이지 5개를 설치하여 하중재하에 따른 응답데이터를 수집하였다.
Fig. 4
View of Sensor Installation
KOSHAM_17_03_209_fig_4.jpg
Fig. 5
View of Sensor Installation
KOSHAM_17_03_209_fig_5.jpg
Table 4
Specifications of Measuring Equipment
Model Specifications
Data Acquisition System MGC-Plus • Sampling rate: 100∼4,000Hz
• 34-Channel
Dynamic Strain Amplifier SC32 • 32-Channel
• Sensitivity: ± 2, 5, 10, 20, 50, 100, 200, 500mV, 1, 2, 5 & 10V
• Output: ±10V(Peak to Peak) single ended
AP815 • 32-Channel
• Sensitivity: 0∼1,000mV
Strain Gauge • Resistance: 120 Ω

2.2 실내시험 결과

실내시험 시 모든 시험 Case별 정적재하시험과 동적가진시험을 실시하였다. Fig. 6은 뜬 침목이 존재하는 Case III-4 정적재하시험을 통한 침목변위(R3) 및 레일휨응력(B3) 예를 나타내고, Fig. 7은 동적가진시험 시 #4침목에서 발생한 침목변위(R3)와 레일휨응력(B3)에 대한 결과 예를 나타낸다.
Fig. 6
Example of Measured Static Response for the Specimen Existing Loose Sleepers (Case III-4)
KOSHAM_17_03_209_fig_6.jpg
Fig. 7
Example of Measured Dynamic Response for the Specimen Existing Loose Sleepers (Case III-4)
KOSHAM_17_03_209_fig_7.jpg

3. 실내시험 결과 분석

3.1 정적재하시험 결과 분석

Fig. 8은 시험체 Case별 정적재하시험 시 발생한 레일휨응력(B3)과 침목변위(R3)를 종합하여 나타낸 결과이며, Fig. 9는 시험체 Case별 250kN 하중 작용 시 침목처짐(R1∼R5)을 나타낸 결과이다.
Fig. 8
Variation in the Displacement of Sleeper and the Bending Stress with the Static Load
KOSHAM_17_03_209_fig_8.jpg
Fig. 9
Variation in the Deflection of Sleeper with the Static Load (under 250kN)
KOSHAM_17_03_209_fig_9.jpg
정적재하시험결과, 뜬침목이 없는 경우(Case I)에 비해 뜬침목이 발생한 경우 침목변위 및 레일휨응력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 kN 하중 재하시 최대 변위량은 2.46 mm였기 때문에 뜬 침목량 5∼20 mm에 따른 변위차이는 매우 미소하였다. 즉, 하중조건에 따른 최대변위량 이상의 뜬 침목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변위 및 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뜬침목이 없는 경우에 비해 2개의 뜬침목이 발생한 경우 레일휨응력은 약 16∼24% 증가하였으며, 4개의 뜬침목이 발생한 경우에는 70∼9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뜬 침목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궤도지지강성이 감소하고, 궤광의 강성이 유연해짐에 따라 정적응답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뜬 침목 발생으로 인한 궤도지지강성 감소 및 레일처짐 증가는 레일휨응력을 크게 증가시켜 레일피로수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3.2 하중조건에 따른 궤도의 동적응답 분석

3.2.1 하중크기 및 진폭의 영향

뜬 침목 유무 및 디젤열차와 KTX열차의 하중차이에 따른 레일휨응력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ase I, Case III-4 시험체를 대상으로 170 kN과 220 kN을 기준으로 하중진폭을 달리하여 동적하중을 재하하였다. Fig. 10은 하중조건에 따라 R3지점에서 측정한 레일휨응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Fig. 10
Variation in the Max. Stress of Rail with the Dynamic Amplitude Load
KOSHAM_17_03_209_fig_10.jpg
레일휨응력은 하중진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하중크기에 비례하여 증가 추세를 보였다. 설정된 하중 170 kN과 220 kN의 비율이 약 29%이며, 하중진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체 하중진폭 영역에서 170 kN 재하시의 응답이 220 kN 재하 시의 응답에 비해 약 16~22%의 레일휨응력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최대하중의 증가는 궤도동적응답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제 운행하중 상태에서 하중진폭은 열차운행 및 궤도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으로 Fig.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하중진폭이 증가할 경우 궤도동적응답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뜬 침목이 없는 경우(Case I)와 뜬 침목이 존재하는 경우(Case III)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3.2.2 고유진동수 분석 및 가진주파수의 영향

Fig. 11(a)는 시험체에 하중재하력장비(actuator)의 Quick- release 기능을 이용하여 동적가진 후 침목변위에서 발생하는 자유진동파형에 대하여 FFT (Fast Fourier Transform)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시이며, (b)는 220 kN하중조건(22LC)에서 뜬 침목 유무에 따른 궤도의 고유진동수 값을 나타낸다. 또한, (c)는 뜬 침목이 존재하지 않는 Case I의 경우에 가진주파수 변화에 따른 레일휨응력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Fig. 11
Results of the FFT Analysis Using the Displacement of Sleeper and the Max. Stress of Rail According to the Dynamic Frequency Load
KOSHAM_17_03_209_fig_11.jpg
Fig. 11(a)로부터 뜬 침목이 존재하지 않는 Case I의 고유진동수가 약 40 Hz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11(b)에서와 같이 뜬침목이 존재할 경우 자갈궤도의 고유진동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뜬 침목 발생으로 인해 자갈궤도의 궤도지지강성이 감소하여 유연한 구조로 변화되면서 고유진동수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c)에서와 같이 가진주파수가 증가하더라도 하중크기(17LC, 22LC) 만큼 레일휨응력 발생량도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25Hz까지 레일휨응력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고유진동수와 가진주파수가 일치해지는 30 Hz 이상의 범위에서는 레일휨응력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외 주행열차의 가진주파수는 약 2∼5 Hz 대역이며, 가진주파수가 5 Hz 이상인 열차는 현재 국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궤도에서 발생하는 공진으로 인한 궤도동적응답 증가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3.3 뜬 침목에 의한 자갈궤도의 동적응답 분석

뜬 침목개수 및 뜬 침목량에 따른 궤도의 동적응답 변화는 Fig. 12와 같다.
Fig. 12
Variation in the Max. Dynamic Response of the Test Pieces with Number of Loose Sleepers (17LC3)
KOSHAM_17_03_209_fig_12.jpg
Fig. 12에서와 같이 뜬 침목이 없는 경우에 비해 뜬 침목이 2, 4개 발생할 경우 침목변위는 각각 약 9∼18%, 약 63∼71% 증가하였으며, 레일휨응력은 각각 약 32∼45%, 약 110∼13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뜬 침목량에 따른 궤도동적응답 변화를 분석한 결과, 뜬 침목량 5 mm 이상에서는 뜬 침목개수에 상관없이 침목변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레일휨응력의 경우 뜬 침목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뜬 침목 개수 및 뜬 침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갈궤도의 동적응답은 증가하지만, 일정 크기 이상에서는 자갈궤도의 동적응답이 수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갈궤도에서 자주 발생하는 뜬 침목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실내시험을 통해 뜬 침목을 모형화하고, 정⋅동적재하시험을 통해 뜬 침목이 자갈궤도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최대하중의 증가는 궤도동적응답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며, KTX열차와 Diesel열차의 하중크기 차이로 인한 자갈궤도의 동적응답은 약 16~22%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제 운행하중 상태에서 하중진폭은 열차운행 및 궤도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하중의 진폭이 증가할 경우 궤도동적응답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2) 뜬 침목이 2, 4개 발생한 경우, 뜬 침목이 없는 건전한 자갈궤도의 동적응답에 비해 침목변위는 각각 약 9∼18%, 약 63∼71% 증가하며, 레일휨응력은 각각 약 32∼45%, 약 110∼140%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3) 뜬 침목 개수 및 뜬 침목량이 증가함에 따라 궤도지지강성이 감소하고, 궤광의 강성이 유연해짐에 따라 궤도의 정⋅동적응답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즉, 레일의 휨강성으로 인해 일정 하중범위에서 발생하는 레일의 처짐 양이 정해지고, 그 범위가 뜬 침목량보다 작을 경우 뜬 침목량이 증가하더라도 침목변위 및 레일휨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판단된다. 또한, 뜬 침목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레일처짐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레일휨응력을 증가시켜 레일피로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뜬 침목에 대한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과제번호: 14PRTD-C063972-03)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관련자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Bezin, Y, Iwnicki, S.D, Cavalletti, M, de Vries, E, Shahzad, F, and Evans, G (2009) An Investigation of Sleepers Voids Using a Flexible Track Model Integrated with Railway Multi-body Dynamics. Proc. IMechE, Part F: J. Rail and Rapid Transit, Vol. 223, No. JRRT276, pp. 597-607. 10.1243/09544097jrrt276.
crossref
Ishida, M (1999) Influence of Loose Sleeper on Track Dynamics and Bending Fatigue of Rail Welds. QR of RTRI, Vol. 40, No. No. 2, pp. 80-85. 10.2219/rtriqr.40.80.
crossref
Lee, J.H (2005). Dynamic Characteristics of High Speed Railway Track with Hanging Sleepers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Korea.
crossref
Ono, S, Ishida, M, and Uchida, M (2001) Prediction of the Growth of Track Irregularity Using Track Dynamic Model. RTRI Report, Vol. 15, No. No. 4, pp. 39-44.
crossref
Park, Y.G (2016). Development on the Criteria for Maintenance and Periodic Replacement of Rail in Conventional Railway.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crossref
Park, Y.G, Sung, D.Y, Park, H.K, and Kong, S.Y (2008) Bending Fatigue Life Assessment of aged CWR using the Field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1, No. No. 3, pp. 317-325.
crossref
Sung, D.Y (2010). The Fatigue Life Evaluation of Rail by Analysis of the Vehicle/Track Interactio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crossref
Sung, D.Y, Park, Y.G, Choi, J.Y, and Kim, S.I (2010)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rack System on the Integral Behavior of Railway Bri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3, No. No. 2, pp. 172-179.
crossref
Yang, S.C, and Lee, J.H (2012) Development of a Numerical Method of Vertical Train/Track Interaction in the Track Section with Hanging Slee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5, No. No. 3, pp. 251-256. 10.7782/JKSR.2012.15.3.251.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