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그라우트 연결부에 대한 관련 피로 설계 기준
3. 실험체의 제작 및 세팅
3.1 실험체 설계 및 제작
Table 1
Table 2
3.2 피로 실험 개요
Table 3
4. 실험 결과
4.1 정적 하중 실험 결과
Table 4
Specimens | Spacing of shear key (mm) | Static strength (kN) | Relative displacement at failure (mm) |
---|---|---|---|
S60-Static | 60 | 1,147.38 | 1.25 |
S80-Static | 80 | 1,207.96 | 3.04 |
4.2 피로 하중 실험 결과
Table 5
4.3 실험결과를 이용한 설계기준의 평가
Table 6
4.4 실험결과와 선행연구의 비교
Table 7
Environment | Test results | Sørensen (2011) | |||||
---|---|---|---|---|---|---|---|
Max. stress/static strength (y, %) | Max. No. of cycles at frequency(N) | Max. stress/static strength (y, %) | Max. No. of cycles at frequency(N) | ||||
0.12Hz | 3Hz | 0.35Hz | 5Hz | 10Hz | |||
In air | 29 | >1,000,000 | - | - | - | - | |
35 | >1,000,000 | - | - | - | - | ||
58 | >56,300 | - | 60 | >2,000,000 | >2,666,547 | >2,000,007 | |
>2,000,000 | >2,042,980 | >2,000,007 | |||||
- | >2,039,759 | 1,223,862 | |||||
71,161 | 247,247 | ||||||
41,554 | 164,451 | ||||||
4,364 | 4,212 | ||||||
74 | >4,800 | - | 76 | - | - | 23,535 | |
15,554 | |||||||
7,486 | |||||||
5,076 | |||||||
4,180 | |||||||
2,823 | |||||||
18,496 | |||||||
7,787 | |||||||
3,337 | |||||||
2,853 | |||||||
1,300 | |||||||
1,096 | |||||||
83 | 175 | - | - | - | - | - | |
In water | - | - | - | 45 | >1,537,229 | - | - |
60 | 11,640 | 260,964 | 260,243 | ||||
9,158 | 135,153 | 151,062 | |||||
7,714 | 119,684 | 148,605 | |||||
6,744 | - | 123,141 | |||||
2,287 | 113,094 | ||||||
3,248 | 33,324 | ||||||
76 | 3,012 | - | - | ||||
1,843 | |||||||
1,491 | |||||||
1,264 | |||||||
1,261 | |||||||
1,133 |
5. 결론
1) 실험체별 정적 강도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강도 도달 후 파일과 슬리브의 상대변위에 의한 급격한 강도 감소 현상이 발생되며 파괴가 발생되었다. 전단키의 간격이 60mm인 실험체(S60-series)에서는 원주방향의 변형률이 항복에 도달하였고, 전단키의 간격이 80mm인 실험체(S80-series)는 수직방향의 변형률이 항복에 도달하여, 전단키의 간격에 따라 슬리브에 발생되는 거동이 다르게 평가되었다.
2) 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하중/강도비가 83%이었던 S80-Fatigue-III실험체에서 그라우트의 파단으로 인한 큰 슬립이 발생하여 피로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였다. 그 외의 실험체에서는 피로에 의한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모든 실험체에서 DNV-OS-J101에 의한 예상되는 반복가력횟수를 초과하여, 연결부의 피로 성능이 보수적으로 평가되었다.
3) DNV-OS-J101의 SN곡선과 피로 실험 결과를 비교한 결과, DNV-OS-J101기준은 재료저감계수 1.5를 적용한 경우 2.661~4.898의 높은 안전율을 보였다. 따라서, DNV-OS-J101기준을 이용하여 고강도 그라우트 연결부의 설계 시 보수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본 논문의 실험조건은 공기 중의 실험조건으로, 관련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공기 중 실험 조건에 대한 피로 실험 결과와 비교한 결과 선행연구결과(Sørensen, 2011)의 파괴 횟수 범위의 사이에 위치하여 본 실험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본 실험과 선행연구의 실험결과 모두 DNV-OS-J101에 비해 안전 측으로 피로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5) 수중 상태에서 진행된 Sørensen (2011)의 실험결과와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하중 범위가 76%일 때 수중 상태의 실험결과가 본 실험결과보다 피로 강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나, DNV-OS-J101과 비교해볼 때 안전 측의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