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소방공무원 스트레스 관리정책 현황
2.1 중앙 소방청 스트레스 관리 정책 방향
2.2 시⋅도 본부 스트레스 관리 정책 내용
2.3 소방 상담제도의 문제점
3. 제주 소방공무원 상담제도 분석
Table 1
Table 2
4. 소방 상담제도 개선방안
4.1 퇴직 소방공무원 활용에 대한 SWOT분석
① 강점(Strength): 퇴직 소방공무원들은 소방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직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를 잘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현장 및 행정 업무 경험을 통해 고품질의 상담과 조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노하우⋅경험등을 공유하여 현직 소방공무원들이 자신의 감정일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② 약점(Weakness): 퇴직 소방공무원은 연령⋅계급 등이 기존 직원 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현직 소방공무원들이 편한 분위기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 방해요소가 되며, 원격지 근무인 경우 근무 태도 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③ 기회(Opportunity): 퇴직 소방공무원을 활용하여 심리 상담에 대해서 거부감을 줄이고, 직원 맞춤형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심리 지원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기조에 발맞춘 퇴직 후 일자리 양성에도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④ 위기(Threat): 퇴직 소방공무원을 상담사로 채용할 경우 기밀 유지 및 이해관계에 따른 상담 거부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4.2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 전담조직 운영
4.3 전담 조직의 역할
① 스트레스 인식 및 평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구성한다. 이 팀은 심리학자, 상담 전문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등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하고, 정기적인 설문 조사 및 면담을 통해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한다. 또한, 소방공무원들과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개인의 스트레스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상담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Hur and Jung, 2022).
②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 프로그램은 심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요소와 직무 역량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며, 스트레스 관리 기술, 심호흡 및 명상과 같은 심리적 자기 조절 방법, 운동 습관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더불어 내담자 상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단계적 매뉴얼을 마련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③ 상담 데이터를 활용한 직원 관리: 개인 또는 그룹 상담, 정서 지원 및 심리 치료 등을 운영했을 경우 구축된 플랫폼(보건 e)에 기록 관리를 진행하며, 문제가 발생할 위험 요소의 정도에 따라 심층상담, 병원 연계,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참여 등을 유도하도록 한다(Lee, 2018).
④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개선: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속해 모니터링하고 평가하고, 정기적인 피드백 및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개선점을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소방공무원들로부터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들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조정 및 개선하고, 최신 연구 및 동향을 파악하여 스트레스 관리 전문가팀이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적절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NTC, 2023).
⑤ 상담사의 관리 및 교육: 심리상담협회에서는 퇴직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상담의 질을 향상한다. 또한, 심리 상담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퇴직 소방공무원 상담사의 주기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직원들이 상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도록 한다. 한편, 퇴직 후 상담사 활동을 희망하거나 자질이 높은 현직 소방공무원 탐색을 통해 양질의 퇴직 소방공무원 상담사가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