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 268 (7판) 화재감도시험을 만족하는 화재감지기 개발

Development of a Fire Smoke Detector that Satisfies the UL 268 (7th Edition) Fire Sensitivity Tes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22;22(2):101-10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pril 30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22.22.2.101
정종진*, 김종태**
* 평생회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소 책임연구원(E-mail: samjjung@hanmail.net)
* Member, Ph.D., Chief Researcher, R&D Lab, Korea Fire Institute
** 정회원, ㈜한신기전 연구소장
** Member, Ph.D., Principal Researcher, R&D Center, HANSHIN KIJEON CO., LTD
** 교신저자, 정회원, ㈜한신기전 연구소장(Tel: +82-31-8020-2441, Fax: +82-31-339-7400, E-mail: ctkim@hskj.co.kr)
**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h.D., Principal Researcher, R&D Center, HANSHIN KIJEON CO., LTD
Received 2022 January 06; Revised 2022 January 13; Accepted 2022 February 0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UL 268의 요리비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만족하는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를 개발하고 미국 시카고의 UL본사에서 UL 268 (7판)의 특별 프로그램인 “연구예비시험”을 신청하여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도 성능을 확인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화재감지기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연기감지기의 암실과 CO센서, 이온화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보드에 장착하였다. 또한 공기와 연소 가스의 흐름이 잘 이루어지도록 감지기의 상부 케이스는 윗면과 옆면에는 공간이 충분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에서 연기농도가 5%/ft 도달시간(3~4분)전에 감지기가 경보(3분 이내)를 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을 만족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에서는 연기농도 12%/ft 도달시간 전(26분)인 22분~26분 사이에 감지기가 동작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 규정을 만족하였다. 요리비화재시험에서는 연기농도 1.5%/ft 도달시간(16분) 이후인 16분~18분 사이에 감지기가 동작하여 UL 268 요리비화재시험 규정을 만족하였다.

Trans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ulti-sensor fire detector that satisfies the revised requirements of the cooking nuisance test, polyurethane foam fire test, and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of UL 268, and the special program, UL 268 (7th edition), at the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headquarters in Northbrook, Illinois, United States. The fire detection algorithm was confirmed using the “Research Preliminary Test” program. Our fire detector was evaluated in a dark room with a smoke detector consisting of photoelectric, carbon monoxide, and ionization sensors, and was mounted on a board. In addition, the upper case of the detector is designed to have sufficient space on its top and side surfaces to allow the flow of air and combustion gases. As a result, in the polyurethane foam fire test, the detector triggered an alarm (within 3 min) before the smoke concentration reached 5%/ft (after 3-4 min); thu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UL 268 polyurethane foam fire test. In the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the detector was operated for 22-26 min before the smoke concentration reached 12%/ft (after 26 min), thu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UL 268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Lastly, in the cooking nuisance test, the detector was operated for 16-18 min before the smoke concentration reached 1.5%/ft (after 16 min), thu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UL 268 cooking nuisance tes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ers of similar products who want to obtain UL certification in the future.

1. 서 론

화재감지기는 화재 시에 가연물에서 발생하는 열, 불꽃 또는 연기 등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그 자체 음향장치로 경보하거나 화재신호를 화재수신기에 전송하는 소방제품으로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재실자의 신속한 피난과 초기 소화를 가능하게 하여 화재로 인한 재산 손실과 인명 피해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화재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대부분의 소방대상물에 다양한 종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NFSC 203, 2019).

하지만 화재감지기는 설치된 주변 환경 조건 즉, 화재와 유사한 환경에 도달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화재 경보를 발신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화재감지기의 비화재보라 한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신고 출동은 5년간 610,903건이고, 그 중 화재출동이 아닌 비화재보 등으로 인한 오인출동 건수는 394,373건으로 전체의 64.6%로 매년 오인 출동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Fire Agency, 2019; Hwang et al., 2020). 특히 2015년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의 규정이 숙박, 취침, 입원 등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거실의 경우에는 기존의 열감지기에서 연기감지기로 변경됨에 따라 오작동 등으로 인한 비화재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연기감지기의 동작원리에 기인한 것으로 생활환경주변의 먼지나 미세 수증기, 조리 시의 연기 등에 의해 산란광이 발생하여 연기감지기가 오작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비화재보는 거주자에게는 감지기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켜 화재경보시에 피난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소방당국은 오인출동으로 소방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감지기의 비화재보를 저감시키는 감지기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1970년대의 생활공간내의 가구 등은 주로 나무, 종이, 옷과 같은 천연 가연물이었으나, 현대의 가정이나 사무공간의 가연물은 폴리우레탄, 나이론, 플라스틱 등의 합섬섬유 재질의 가구, 쇼파, 침대 등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이러한 가연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기존보다는 매우 짧은 시간에 더 큰 연소열 등으로 화재가 급속 성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소생성물 또한 유독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큰 인명 피해를 가져올 확률이 높아지며 화재의 빠른 조기검출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세계적인 해외인증 기관인 Underwriters Laboratories (UL)은 연기감지기의 비화재보 저감과 폴리우레탄 등 가연물 등의 변화로 인한 감지기의 빠른 감지 성능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2016년에 UL 268 (Underwriters Laboratories, 2016)의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도시험 규정을 개정하고 2022년 6월부터는 개정된 규정을 적용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새롭게 도입된 규정은 Cooking Nuisance Test (이하 요리비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이며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제조사에서도 감지기의 수출이나 판매를 위해서는 개정된 UL 268 화재감도시험을 만족하는 감지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UL 268의 요리비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만족하는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 시제품을 개발하고 미국 시카고의 UL 본사에서 UL 268 (7판)의 특별 프로그램인 “연구예비시험”을 신청하여 실화재 시험실에서 실시하는 시제품의 화재 감도 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2. 감지기 구조

국내의 연기감지기는 암실 내에 발광다이오드와 포토셀 구조로 되어 있고 산란광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 구조로는 UL 268의 요리비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만족하지 못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토센서 외에도 이온화센서, CO센서 등 멀티센서를 사용하여 감지기를 개발하였다.

2.1 내부구조 및 원리

UL 268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구현한 감지기의 구성도는 Fig. 1과 같다. 기존 연기감지기의 암실과 CO센서, 이온화센서 등을 one-board에 장착하였으며, 이를 위해 회로 대부분을 SMT부품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감지기의 상부 케이스는 공기와 연소 가스의 흐름이 잘 이루어지도록 윗면과 옆면에는 공간이 충분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감지기 전체의 정보를 취합하고 판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는 Microchip Technology사의 SAML10E15 저전력 32-bit를 사용하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Drive Circuit

Fig. 1의 광센서는 일반 연기감지기에서 사용하는 암실 챔버 내에 발광다이오드와 포토다이오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산란광 방식으로 동작하고 일반 연기감지기와 동일한 방식이다. 이온화 센서는 아메리슘 241의 방사능 소스를 이용하여 챔버 안에서 이온의 흐름으로 전류를 검출하는데 연기입자가 들어가면 전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불꽃 화재의 경우 입자가 작아 포토 센서는 이를 검출하기 어렵지만 이온화센서는 이를 가장 잘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이온화 센서의 출력은 OP 앰프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으로 검출한다.

CO센서는 전기화학(Electrochemical)적 센서로서 전해질과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농도에 비례하여 전기 전류를 발생한다. 가스 분자가 모세관을 통해 들어오면 필터를 거친 후 소수성 막을 지나 전극에 도달한다. 이 분자는 즉시 산화하거나 줄어들면서 전자를 방출하거나 소멸하는데 이때 전류가 발생한다. Fig. 2는 CO센서의 동작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CO센서는 2개의 단자를 가진 가스센서이며 청정공기 상태에서는 출력 값이 ‘0’이 나오고 연소가 발생하면 가스가 발생하여 값이 증가한다.

Fig. 2

Circuit of CO Sensor

2.2 감지기 사양

Fig. 3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센서 감지기의 사진이다. 하나의 보드에 각 센서를 배치하였으며 주요 회로는 각 센서의 보드 뒷면에 배치하였다. 또한 Table 1은 개발된 감지기의 주요 사양을 나타낸다. 광센서의 감도범위는 1.24%/ft~ 3.6%/ft이며 CO센서는 0에서 64 PPM 범위로 동작한다. LED는 화재 감지시 RED LED가 켜지게 된다.

Fig. 3

Photograph of Prototype

Specification of Prototype

3. 실험 및 실험결과

3.1 UL화재시험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의 감도시험을 UL에서 실시하는 UL 268 특별프로그램인 “연구예비시험”신청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미국 시카고의 UL화재시험실에서 수행하였다. 국내 기준(National Fire Agency 119 Notice (No. 2019-10), 2019)과 다르게 UL의 화재감지기 감도시험은 실화재 시험실에서 이루어지며 다양한 화원(가연물)에 대한 감도특성을 관찰하게 된다.

Fig. 4는 UL화재시험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UL화재시험실의 크기는 11 m (Wide) × 6.7 m (Length) × 3.3 m (Height)이며 원활한 시험과 정확한 시험을 위해 항온과 항습 이외에도 연소 후에 공기 순환 장치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오븐 레인지와 중앙의 감지기(Det#6~Det#9)는 요리비화재시험을 위한 것이며 양 벽의 감지기 2개(Det#1, Det#5)와 가운데 3개(Det#2~Det#4)는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 목재 화재시험, 목재 훈소시험, 종이화재시험 등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각 감지기가 설치된 부근에는 UL에서 설치한 연기농도계(Beam)와 이온화(MIC) 계측기가 부착되어 있어 실험 중에 나타나는 연기농도의 값을 모니터링하고 실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의 실험조건은 다음 절인 3.2절의 화재감도 기준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Fig. 4

Schematic Diagram of UL Fire Test Room

3.2 화재 감도 기준

2022년 적용되는 UL 268의 추가된 감도시험의 기준은 Table 2와 같다. 폴리우레탄폼은 화재시험과 훈소시험을 실시하며 정해진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경보를 발해야 한다. 요리비화재시험는 정해진 농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경보를 발하지 않아야 한다. 3.1절에서 언급한 실험 조건은 Table 2에서 나타내는 농도와 그 농도의 프로파일을 말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UL 268 ANNEX I (Underwriters Laboratories, 2016)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또한 이 농도와 프로파일은 UL화재시험실에 설치된 농도계로 측정하여 UL에서 제시해 주며 이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시험하는 결과만이 인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Fire Sensitivity Criteria

3.3 실험결과

앞 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UL화재시험실에서 UL 268의 개정된 화재감도시험인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훈소시험, 요리비화재시험을 실시하였다. Fig. 5는 시험에 사용한 폴리우레탄폼의 시료를 나타낸 것이며 크기는 36.8 cm × 43.2 cm × 7.6 cm이다(NIST, 2016). 실험에 사용한 감지기는 Fig.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감지기 5개(Det#1~Det#5)를 설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Fig. 5

Samples of Polyurethane Foam

Results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Unit; Minutes:Seconds)

Table 3은 총 4회 실시한 폴리우레탄폼 화재감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UL측정치는 UL에서 설치한 연기농도측정기로 측정한 5%/ft 농도에 도달한 시간이며, 이 데이터는 UL에서 제공한다. 또한 각 감지기의 작동 시간은 화재 경보시간을 의미한다. 앞 절에서 설명한 대로 UL에서 제공한 5%/ft도달시간(UL측정치) 전에 감지기가 경보를 발하면 규정을 만족하는 것이므로 시험에 사용한 감지기는 모두 이 시간 안에 동작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을 만족하였다.

Fig. 6은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에서 측정된 연기농도의 UL측정 데이터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데이터는 UL에서 제공한 것으로 시험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Table 3에서 제시한 것처럼 화재시험실에 설치된 연기농도측정기의 값들이 3~4분 안에 5%/ft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붉은 점선과 파란 점선은 UL에서 정한 시간에 대한 연기농도의 상한과 하한을 의미하며 이 범위 안에서 연기농도가 존재해야 된다.

Fig. 6

Smoke Concentration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Provided by UL)

Figs. 7~10은 Test#1에서 감지기로 유입되는 연소 가연물을 모니터링한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측정한 값들은 감지기내의 포토센서와 CO센서, 이온화센서, 감지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알람 신호값이다. Fig. 7의 포토센서 값은 2분 경과 때까지도 1.0%/ft 미만의 농도를 나타내어 화재판단의 정보로는 미흡하며, Figs. 8, 9의 센서 값을 보면 CO센서 값과 이온화센서의 값이 상당량이 측정되고 있어 이온화센서의 60초 변화율과 CO센서 값을 화재경보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Fig. 7

Photo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10

Fire Alarm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8

Ionization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9

CO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Table 4는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UL측정치는 UL에서 설치한 연기농도측정기로 측정한 12%/ft 농도에 도달한 시간이다.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에 사용한 모든 감지기가 이 UL측정치 시간이내에 동작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을 만족하였다.

Results of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Unit; Minutes:Seconds)

요리비화재시험은 요리 등으로 인한 연기로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016년 UL 268 (7판)개정에 포함한 시험이다. 이 시험의 자세한 방법은 UL 268 ANNEX I에 서술되어 있다. 본 시험에 사용되는 샘플은 직경 10 cm, 두께 1.9 cm, 무게 175 g ± 3 g의 햄버거이며 Fig. 11은 시험에 사용된 햄버거의 사진이다. Table 5는 요리비화재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시험에 사용되는 감지기의 위치와 개수는 Fig. 6의 Det#6~Det#9와 같다. 시험결과, 4개의 감지기 동작 시간이 UL측정치 시간 16분 전에 모두 동작하여 UL 268 요리비화재시험규정을 만족하였다.

Fig. 11

Samples of Cooking Nuisance Test

Results of Cooking Nuisance Test (Unit; Minutes:Seconds)

Fig. 12는 요리비화재시험에서 측정된 연기농도의 UL측정 데이터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시험실에 설치된 연기농도측정기의 값이 1.5%/ft에 도달하는 시간(16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붉은 점선과 파란 점선은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같은 의미의 연기 농도의 상한과 하한경계이다.

Fig. 12

Smoke Concentration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Provided by UL)

Figs. 13~16은 감지기로 유입되는 연소 가연물을 모니터링한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측정한 값들은 감지기내의 포토센서와 CO센서, 이온화센서, 감지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알람 신호값이다. 요리비화재시험에서는 CO센서 값과 이온화센서 값이 폴리우레탄폼 화재감도 시험에서의 값보다는 상당히 작게 나타나 본 시험에서는 이온화 센서의 300초 변화율, 포토 센서의 300초 변화율과 CO센서의 값을 이용하여 화재경보기준으로 활용하였다.

Fig. 13

Photo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6

Fire Alarm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4

Ionization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5

CO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 시제품을 개발하고 UL 본사에서 UL 268 (7판)의 특별 프로그램인 “연구예비시험”을 신청하여 시제품의 화재 감도시험을 실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L 268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멀티센서형 연기감지기를 개발하였다. 감지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연기감지기의 암실과 CO센서, 이온화센서 등을 하나의 보드에 장착하였으며, 이를 위해 회로를 SMT부품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공기와 연소 가스의 흐름이 잘 이루어지도록 감지기의 상부 케이스는 윗면과 옆면에는 공간이 충분하도록 설계하였다. 각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는 Microchip Technology사의 SAML10E15 저전력 32-bit를 사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를 대상으로 개정된 UL 268의 화재감도시험인 요리비화재시험,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UL 본사의 UL화재시험실에서 수행하였다.

성능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 : UL에서 제공한 5%/ft도달시간(UL측정치)전에 감지기가 경보를 발하면 규정을 만족하는 시험에서 감지기는 모두 이 값을 만족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을 만족하였다. 이 시험은 UL에서 제시하는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의 프로파일내에서 시험이 이루어지므로 시험하는 감지기는 UL에서 설치한 연기농도측정기로 측정한 농도가 5%/ft에 도달하기 전에 동작하여야 한다. 본 시험에서 5%/ft 농도에 도달한 시간은 3~4분이었다.

  • (2)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 : 시험실내 농도가 12%/ft에 도달(UL측정치)하기 전에 감지기가 경보를 발하면 규정을 만족하는 시험에서 감지기는 모두 이 시간을 만족하여 UL 268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만족하였다. 12%/ft도달시간(UL측정치)은 26분이었으며 감지기는 22분~26분 사이에 동작하였다.

  • (3) 요리비화재시험 : 요리비화재시험은 요리 등으로 인한 연기로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L 268 (7판) 개정에 포함한 시험이다. UL에서는 햄버거를 사용하여 연소시험을 실시하며 UL에서 제시하는 요리비화재시험의 프로파일내에서 감지기가 동작하여야 한다. 감지기가 1.5%/ft도달시간(UL측정치)후에 화재경보를 발하면 규정을 만족하는 시험에서 모두 이 시간을 만족하여 UL 268 요리비화재시험을 만족하였다. 1.5%/ft도달시간(UL측정치)은 16분이었으며 감지기는 16분~18분 사이에 동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멀티센서형 화재감지기를 개발하여 개정된 UL 268 (7판)의 화재감도시험인 요리비화재시험, 폴리우레탄폼 화재시험과 폴리우레탄폼 훈소시험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UL인증을 받고자 하는 관련 제조사의 제품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Hwang E.-H, Lee S.-E, Choi D.-M. 2020;Statistics and management systems of unwanted domestic and foreign fire alarm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4(2):30–40.
2. National Fire Agency 119 Notice (No. 2019-10). 2019;Technical standards for formal approval and product inspection of fire detector
3. National Fire Agency. 2019;The status of the dispatch by fireand misunderstanding in the dispatch of 119 service since 2014
4. NFSC 203. 2019;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visual alarm equipment
5. NIST. 2016;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urrent smoke alarms to the new fire and nuisance tests prescribed in ANSI/UL 217-2015
6. Underwriters Laboratories. 2016;UL 268 standard for safety 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chematic Diagram of Drive Circuit

Fig. 2

Circuit of CO Sensor

Fig. 3

Photograph of Prototype

Table 1

Specification of Prototype

Photoelectric Sensitivity 1.2%/ft to 3.6%/ft
CO Sensitivity 0~64 PPM
ION Sensitivity I/Io*100 where I is the reduced chamber current when smoke is present, Io is the quiescent chamber current in clean air. Therefore, 100 represents clean air.
Wiring Connection two-wires - 9,600 bps communication with Control Panel
LED Operation blinking during normal, steady On during alarm
Current Consumption average 650 uA every 4 sec polling, 1.9 mA during alarm

Fig. 4

Schematic Diagram of UL Fire Test Room

Table 2

Fire Sensitivity Criteria

Division Smoke density at Beam Instrument
Polyurethane Foam Fire Test 5%/ft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12%/ft
Cooking nuisance test 1.5%/ft, No alarm

Fig. 5

Samples of Polyurethane Foam

Table 3

Results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Unit; Minutes:Seconds)

Measured by UL Det#1 Det#2 Det#3 Det#4 Det#5
Test#1 3:30 (5%/ft) 2:12 2:25 2:21 2:58 2:23
Test#2 3:25 (5%/ft) 2:19 2:38 2:47 3:00 2:20
Test#3 3:20 (5%/ft) 2:07 2:28 2:15 2:17 2:19
Test#4 3:10 (5%/ft) 2:05 2:34 2:19 2:24 2:21

Fig. 6

Smoke Concentration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Provided by UL)

Fig. 7

Photo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8

Ionization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9

CO Sensor Value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Fig. 10

Fire Alarm of Polyurethane Foam Fire Test

Table 4

Results of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Smoke Test (Unit; Minutes:Seconds)

Measured by UL Det#1 Det#2 Det#3 Det#4 Det#5
Test#1 26:00 (12%/ft) 22:16 25:18 24:56 25:20 21:53

Fig. 11

Samples of Cooking Nuisance Test

Table 5

Results of Cooking Nuisance Test (Unit; Minutes:Seconds)

Measured by UL Det#6 Det#7 Det#8 Det#9
16:00 (1.5%/ft) 16:34 17:24 17:34 17:26

Fig. 12

Smoke Concentration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Provided by UL)

Fig. 13

Photo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4

Ionization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5

CO Sensor Value of Cooking Nuisance Test

Fig. 16

Fire Alarm of Cooking Nuisanc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