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해지도 현황 및 통합 활용방안 (재해지도 작성.활용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
최선화 |
|
The Status of Disaster Map and Integrated Utilization Plans |
Seon-Hwa Choi |
|
|
|
Abstract |
Although the disaster map, a non-structural mitigation measure, should be built and utilized for flood hazard mitigation by the local governments by law, this mitigation measure has not been practiced with activity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model of the disaster map, no specific and detail method for building and utilizing the disaster map, and under-budgeted. Since an integrated and standard system for managing the disaster map built by local governments was not prepared, government has not utilized the disaster map for analyzing inundation area and planning flood hazard mitigation measur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the domestic disaster map, and draw problems of building and utilizing the disaster map in the local governments. Finally, we present the invigoration of the disaster map`s utilization. |
Key Words:
Disaster Map; Flood Hazard Map; GIS |
요지 |
우리나라의 비구조적 홍수방어대책의 주요한 수단인 재해지도는 자연재해대책법 제21조를 근거로 지자체장이 제작 활용하여야 하지만 표준모델의 부재, 구체적인 작성과 활용체계 및 운영방안 미흡, 그리고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지자체의 재해지도 작성 실적이 저조하다. 또한 정부는 각 지자체에서 작성한 재해지도를 침수흔적 데이터 분석, 재해예방 그리고 재해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야 하지만 통합된 재해지도 관리체계가 없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지자체의 재해지도 작성 및 활용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문제를 도출하고 재해지도 통합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핵심용어:
재해지도;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재해정보지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