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1;11(4):95-10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1.
Analysis on Public Risk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Risk
Analysis on Public Risk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Risk
Seong-Nam Hwang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how Scientifically Estimated Environmental Risks (SEERs) of floods, hurricanes, and hazardous material releases are related with perceived risks of those hazards. This study also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s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across demographic groups. Specifically, the respondents` risk perceptions of both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did not differ by age, household size, and marital status. By contrast, educational level, gender (male =1), and median household income were statistically related to perceived risk of the natural hazards, whereas educational attainment and gender were statistically related to perceived risk of hazardous material releases. Finally, SEERs of floods and hurrican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spondents` perception of property damage, but not related to injury or heath problems from those natural hazards. SEER of hazardous materials was related to all three categories of risk perception of a hazardous material rel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vironmental cues such as proximity to rivers and bays do not much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safety and health problems resulting from natural hazards. The fac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perty damage suggests that risk area residents believe that they can protect themselves (e.g., by evacuating), but not their property.
Key Words: emergency management; natural disaster; environmental hazard; urban planning; disaster planning
요지
이 연구는 과학적으로 측정된 자연재해(홍수, 허리케인영향지역) 및 인적재난(위험물질 근접지역) 위험지수가 거주민들의 그 재해에 대한 인지도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더불어 연구 대상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각각의 재해에 대한 위험 인지도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테스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적 특성들(연령, 성별, 가족구성의 크기, 결혼여부, 주택거주기간)과 자연재해(홍수/허리케인)와 인적재난(위험물질 측정치)에 대한 위험 인지도 사이에는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조적으로 교육수준, 성별, 가족의 수입은 자연재해에 대한 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교육수준과 성별은 인적재난에 대한 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연재해(홍수와 허리케인)에 대해 과학적으로 측정된 위험지수는 재해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예측에 대한 인지도와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그 위험지수는 자연재해로 인한 상해나 건강상의 위험에 대한 인지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말해서, 이 연구 결과는 강이나 바다의 근처에 주거지를 갖진 사람들이 자연재해로부터 자신 및 가족의 안전 및 건강위해 가능성에 대한 위험 인식도가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지역에 위치한 거주민들이 재해로 인한 자신의 주거지가 손상을 입을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그들이 자신 및 가족은 재해 위험으로부터 대피함으로써 생명을 보호할 수 있지만 자신의 주택은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핵심용어: 방재; 환경재해; 인적재난; 홍수위험; 도시계획; 방재계획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