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6); 2017 > Article
물 공급 부족 완화를 위한 통합 댐 운영 방법 개발: 휴리스틱 기법을 이용한 상류 댐 추가 방류 결정

Abstract

A discrete hedging rule for single reservoir operation can be derived by a historical time series of reservoir inflow. The rule, however, does not always ensure a stable supply of water against different future time series of drought inflow to the dam. If the water supply shortage from a dam may be supplemented by the other dams, overall water supply will be more stabl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cide some parameters on additional water supply from upstream dams to lessen water supply shortage at downstream control points by applying the dynamically dimensioned search method. The parameter values of additional water supply were decided for five multipurpose dams in the Nakdong River, having relatively long historical data. The results showed it might be possible for a dam to lessen water supply shortag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independent reservoir operation.

요지

과거의 한 시계열 자료로부터 유도된 단일 댐의 저수지 운영 기준을 미래의 다른 가뭄 시계열의 댐 유입량에 적용하면, 댐의 용수가 항상 안정적으로 공급된다고 할 수 없다. 만일 어느 댐의 용수 공급 부족을 다른 댐에서 보충할 수 있다면 전체적인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상류 댐의 추가 방류 기준을 차원변화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비교적 기록 자료가 긴 다목적 댐들을 대상으로 댐 간 운영 규칙을 만들어 하류에서 용수 공급 부족량이 최대한 완화 될 수 있도록 댐의 추가 방류 기준 수치들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일부 댐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댐의 운영 기준에 따라 감량공급을 통하여 가뭄에 대응하는 것 보다는 댐 간 연계 운영으로 가뭄에 대응하는 것이 용수 공급 부족을 완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이 분석되었다.

1. 서론

하계에 강수량이 집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여건에 있다. 이에 따라 다목적 댐들이 건설되어 있으며, 댐을 통하여 용수를 공급하고 홍수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2년 이상의 가뭄이 발생한다거나 심한 가뭄이 발생하는 경우, 안정적인 용수 공급에 큰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동댐 유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156 mm이나, 2014년과 2015년의 연속적인 가뭄으로 인하여 안동댐에서는 용수 공급을 거의 하지 못하는 기간이 발생하였다. 안동댐 유역의 2014년과 2015년의 강수량은 각각 992 mm, 648.44 mm로 2015년의 경우 연평균 강수량의 약 56 %에 해당하는 값이다. 이는 안동댐 유역에 대한 강수량 관측 이래 가장 작은 값이며, 이로 인하여 2016년 3월에는 기본계획공급량(19.9 m3/s)에 대하여 약 4 %에 해당되는 월 평균 0.74m3/s 를 방류하였다.
다목적 댐의 용수 공급량은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가뭄 단계별로 결정된다. 또한 낙동강의 다목적 댐들은 하천 유량의 실시간 분석에 의하여 연계 운영되고 있다. 이렇게 운영된다고 하여도 2016년 3월의 안동댐 방류량이 기본계획 공급량 대비 약 4 %로 매우 작은 것은 어떤 근거에 의한 것인지 큰 의문이 제기된다. 다른 한편으로, 위의 상황은 여전히 가뭄 대비 댐의 운영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가뭄 대응 저수지 운영의 한 가지 방안으로서, 휴리스틱 기법 중 하나인 차원변화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댐의 가뭄 대응 운영을 위한 ‘감량공급 현 저수량 기준곡선’이 주어진 상태에서, 하류 제어지점의 댐에 의한 물 공급 부족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상류 댐들의 추가 방류량과 추가 방류의 제한에 관련된 ‘최소 확보 수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상류 댐의 추가 방류 규칙과 이에 포함된 결정변수들을 정하는 기법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댐 단독 운영에 적용되는 가뭄 대응 용수 감량공급 현 저수량 기준곡선을 요약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하고자 하는 최적화 문제의 요소를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최적화 문제의 결정변수를 정한 결과, 이를 적용한 저수지 모의운영 결과, 상류 댐의 추가 방류로 인한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 완화 효과 및 상류 댐의 용수 공급량 변화 등을 제시하고, 상류 댐의 추가 방류에 의한 댐 연계운영의 가능성과 보완 연구할 문제를 논의하였다.

2.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 완화를 위한 댐 군 운영

2.1 가뭄 시 하류 제어지점 중심의 상류 댐 추가 방류

과거의 한 시계열 자료로부터 유도된 단일 댐의 저수지 운영 기준을 미래의 다른 가뭄 시계열의 댐 유입량에 적용하면, 댐의 용수가 항상 안정적으로 공급된다고 할 수 없다. 만일 어느 댐의 용수 공급 부족을 다른 댐에서 보충할 수 있다면 전체적인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상류 댐의 추가 방류 규칙을 댐 저수량 및 방류량의 매개변수로 수립하고, 이를 낙동강 유역의 비교적 기록 자료가 긴 다목적 댐들(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에 적용하였다. 이 때 댐의 기본계획공급량에 대한 용수 공급에 문제의 초점을 맞추어, 하류 지류 유입량은 제외하여 저수지를 모의 운영하였다.
Fig. 1은 낙동강 다목적 댐들을 연계 운영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하류에 있는 다목적 댐의 경우에 상류에 있는 용수 공급 수요처에 공급할 수 없으며, Fig. 1과 같이 3개의 제어지점(control point)에서 해당 제어지점으로 물을 공급하는 댐의 방류량과 기본계획공급량을 비교하였다. 제어지점 1(황강 합류부 직상류)에서는 안동댐과 임하댐의 기본 계획공급량을 합한 값에서 생⋅공용수 계약량의 일부(부산 물금에서 계약한 양)를 제외한 양에 대한 물 공급 부족량을 평가한다. 제어지점 2(남강 합류부 직하류)는 합천댐의 기본 계획공급량에서 생⋅공용수 계약량의 일부(합천군에서 계약한 양)를 제외한 양과 남강댐 공급량에서 함안군의 생⋅공용수 계약량을 배제하여 합한 값으로 물 공급 부족량을 평가한다. 제어지점 3(밀양강 합류부 직하류)에서는 밀양댐에서 방류하는 밀양시의 생⋅공용수 계약량을 제외한 값과 부산 물금 생⋅공용수 계약량을 합한 값으로 물 공급 부족량을 평가한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Reservoir System
KOSHAM_17_06_507_fig_1.gif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하여 상류 댐에서 추가 방류하는 규칙은 Fig. 2와 같다. 즉, 각 제어지점의 목표 수량에 대하여 용수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에 제어지점 상류의 댐들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여유 수량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 제어지점의 용수 부족분에 대한 일정한 비율로 추가 방류한다. 그 외의 경우(제어지점의 목표 수량이 충분할 때 또는 각 댐의 여유 수량이 없을 때)에는 독립 이수 운영을 한다.
Fig. 2
Flow Chart for the Reservoir System Operation Rule to Lessen Water Shortage at Downstream Control Points
KOSHAM_17_06_507_fig_2.gif
상류 댐의 추가방류 규칙에서 결정할 사항은 각 댐의 추가 방류와 관련된 ‘최소 확보 수량’과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분에 대한 ‘추가 방류량’이다. 최소 확보 수량이란 하류 물 공급 부족에 대응한 상류 댐의 추가 방류를 제한하는 기준이며, 관심단계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을 초과하여 최소한 확보해야 하는 저수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류의 용수 공급 부족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변수들을 다음 절에서 기술하는 휴리스틱(heuristics; 발견법) 기법을 이용하여 정하고자 한다.

2.2 차원 변화 탐색 기법

최적화 문제는 결정 변수가 많을수록 지역해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단순 선형계획법이나 비선형계획법으로 전역 최적해를 찾기 어렵다(Bazarra et al., 1993; Kang, 2011).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전역 최적해에 근사한 해를 탐색하는 방법으로는 휴리스틱 기법이 있다. 휴리스틱 기법에는 대표적으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집합체 혼합진화 기법(Suffled complex evolution), 차원 변화 탐색 기법(dynamically dimentioned search)이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1975년에 John Holland가 개발한 기법이고, 집합체 혼합진화 기법은 Duan et al. (1992)이 개발한 탐색 기법이다.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은 Tolson and Shoemarker(2007)에 제시되어 있다.
Kang(2011)은 2 ~ 50 차원의 검사함수들을 이용하여 세 가지의 휴리스틱 기법(유전자 알고리즘, 집합체 혼합진화 기법, 차원 변화 탐색 기법)들이 전역 최적해에 근사한 해로 수렴하는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의 탐색 능력이 다른 기법들에 비하여 우수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ang(2011)에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댐 군 연계 운영의 결정변수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을 적용하였다.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은 주어진 반복 횟수 내에서 양질의 전역해를 찾기 위해 개발된 발견적 전역탐색 알고리즘 기법의 단순한 추계학적 알고리즘으로, 타 휴리스틱 기법과 다르게 최대 반복횟수 내에서 탐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종료기준이 없다.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은 최대반복횟수에 관계없이 초기 반복단계에서는 전역적으로 탐색을 수행하고 후기 반복단계에서는 지역적으로 해를 찾는 탐색전략을 사용한다(Kang, 2011). 차원 변화 탐색 기법에 대한 자세한 알고리즘은 Tolson(2005)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2.3 저수지 운영 결과 평가 기준

댐 간 추가 방류 운영 규칙을 적용한 저수지 운영의 목적은 댐 하류 제어지점들의 물 부족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기 저수지 운영을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어지점들의 기본계획 공급량에 대한 모의 운영 기간 내에 발생한 물 부족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용수 공급 시스템과 관련된 대표적인 지표에는 Hashimoto et al. (1982)에서 제시된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가 있다. 그러나 회복도와 취약도는 분석조건에 따라 증감현상(non- monotonic)이 나타나며, 안동 및 남강댐에서 증감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결과가 있기 때문에(Lee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만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신뢰도를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Eq. (1)).
(1)
Rel=Prob[SVtSS]
여기서, SVt는 용수 공급 시스템의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변수이며, SS는 용수 공급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경우의 집합이다(Kang, 2011).

3. 댐 단독 운영의 기준과 최적화 모형의 구성

3.1 낙동강 다목적 댐들의 감량공급 현 저수량 기준 곡선

가뭄에 대응하여 댐을 단독 운영하는 기법으로서 Jin et al. (2017)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에서 적용한 기법의 개념은 미래의 보다 심각한 물 공급 부족을 피하기 위하여 사전에 물을 감량 공급(hedging)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안동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에 대하여, 용수 감량 공급 실행 현 저수량을, 순 단위로 가뭄 대응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별로 구한 것이다. 이용된 최적화 모형의 목적함수와 결정변수는 Eq. (2)와 같다.
(2)
Maximizet=1Ty1tωp=136(V1p+V2p+V3p+V4p+V5)
여기서, y1t는 기본계획공급량을 충족하는 용수를 공급하였을 경우 ‘1’, 아니면 ‘0’이 되는 논리 변수이다. ω는 가중치이며, 저수지의 유효 저수량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 T는 모의 운영되는 저수지의 총 운영 기간이다. p는 1부터 36까지로 순(旬)을 의미한다. V1p, V2p, V3p, V4p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을 의미한다. V5p는 저수지의 저수위(低水位)이다. 제약조건들은 Jin et al. (2017)의 문헌에 상술되어 있다.
Fig. 3은 각 다목적 댐별로 최적화 모형을 수행한 결과이다.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의 경우에는 이듬해 홍수기 직전까지 안정적인 이수를 위해 각 단계의 기준 저수량이 하절기에 대체로 크게 되어 있다. 남강댐의 유역 면적은 2,285 km2 으로 충주댐 유역, 소양강 댐 유역 다음으로 유역면적이 크다. 반면에, 남강댐의 저수용량은 309.2 백만 m3으로 유역 면적 및 유입량에 비하여 작은 저수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Fig. 3의 (d)와 같이 감량공급 기준곡선이 유도되었다. 밀양댐의 감량공급 기준곡선은 남강댐과 유사하며 지면 분량을 감안하여 생략하였다.
Fig. 3
Derived Hedging Rule Curves Depending on Beginning Storage
KOSHAM_17_06_507_fig_3.gif

3.2 최적화 문제 요소

가뭄 시 용수 공급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낙동강 다목적 댐 간의 추가 방류 규칙에 필요한 결정변수는 각 제어지점별 상류 댐들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에 대한 추가 방류량의 비율과 각 댐의 추가 방류를 제한하는, 관심단계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을 초과하는 최소 확보 수량이다. 최적화 모형의 목적함수는 Eq. (3)과 같으며, 그 의미는 모의 운영 기간의 제어지점들의 용수 부족량의 총 합과 각 댐에서 용수 공급 실패한 기간의 횟수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3)
MinimizeZ=(cp=13t=1TDeficitcp,t)+(ωr=15t=1TFailr,t)
여기서 T는 모의 운영 기간이며, cp는 제어지점을 의미한다. t는 기간을 의미하며 기간의 길이는 순으로 하였다. Deficitcp,t는 기간 t에서 발생한 제어지점 cp의 용수 부족량이다. Failr,t는 기간 t에서 발생한 댐 r의 용수공급 완전 실패(공급량=0)를 의미하며, 실패할 경우 ‘1’, 그렇지 않을 경우에 ‘0’을 사용한다. ω는 가중치로서, 용수 공급의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주 큰 값을 사용하였다.

4. 댐 군 연계 운영 결정변수의 탐색과 결과

4.1 결정 변수의 탐색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댐 군 연계 운영 규칙에서 찾아야 할 결정변수는 각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한 상류 댐의 추가 방류 비율(11 개)과 추가 방류를 제한하는 기준이 되는(관심단계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을 초과하는) 최소 확보 수량(5개)이다. 3.2절에서 제시한 최적화 문제에 대하여 반복 계산 횟수를 200,000번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양질의 최적 해를 구하기 위하여 첫 번째 최적화한 해를 초기 값으로 하여 한번 더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수행한 댐 연계 운영 모형에 대한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의 수렴 양상은 Fig. 4에 나타내었다.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목적함수 값은 6회 탐색 이후에도 미세하게 작아진다.
Fig. 4
Convergence of the Objective Function Value for the Reservoir System Operation Parameter Determination at the First Time
KOSHAM_17_06_507_fig_4.gif
최적화 모형에 의한 결과는 Tables 12에 제시하였다. Table 1은 제어지점에서 발생한 물 공급 부족량을 상류에 있는 댐에서 추가 방류하는 우선 순위와 비율이다. 안동댐은 제어지점 1에 대하여 추가 방류하는 비율이 7%로 하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하여 아주 작은 양을 추가 방류한다. 2014 ~ 2015년 2년에 걸쳐 마른 장마로 인하여 유입량 관측을 실시한 이후 가장 작은 양의 물이 댐 내로 들어왔다. 이로 인한 용수 공급 실패를 피하기 위하여 하류 지점의 물 공급 부족분에 대하여 추가 방류하는 비율이 작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제어지점 2의 물 공급 부족에 대하여 남강댐의 추가 방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한 추가 방류 비율이 가장 크다. 합천댐은 추가 방류 우선순위가 가장 낮으며 추가 방류 비율도 가장 작다. 남강댐의 경우에는 유역 면적이 크고 유입량도 크기 때문에 가용수량이 꽤 크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남강댐은 하류 물 공급 부족에 대한 추가 방류의 여유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합천댐의 경우에는 댐의 유입량 및 저수용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용수 공급량이 크기 때문에 추가 방류하는 비율이 작은 값으로 탐색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Optimized Results of Additional Water Supply for the Downstream Water Supply Shortage
Control point Dam Optimization results
Priority Additional water supply proportion of the downstream water supply shortage(%)
1 Andong 1 7
Imha 2 99
2 Andong 2 85
Imha 3 70
Hapcheon 4 7
Namgang 1 99
3 Andong 1 56
Imha 2 61
Hapcheon 3 53
Namgang 4 99
Milyang 5 59
Table 2
Minimum Reserve Volume Above the Trigger Volume of Concern Stage
Dam Minimum reserve volume (m3)
Andong 19,196,600
Imha 7,608,200
Hapcheon 8,894,950
Namgang 27,252,100
Milyang 35,588,100
Table 2는 댐의 추가 방류에 대한 최소 확보 수량의 기준을 탐색한 결과이다. 안동댐, 남강댐, 밀양댐의 경우에는 다른 두 댐에 비해 큰 값을 가진다. 안동댐은 2015년의 극심했던 가뭄에 반응한 탐색결과로 판단된다. 남강댐은 하류 물 공급 부족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추가 방류를 하기 때문에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댐은 댐의 규모가 작아서 하류의 물 공급 부족을 추가 방류로 완화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4.2 하류 제어 지점의 물 공급 부족 완화 결과

결정된 변수 값들을 사용하여,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에 대한 댐 간 추가 방류를 포함한 댐 운영 결과를 단일 댐 운영 결과와 비교하였다. 기간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이다. 모의 운영은 순(旬) 단위로 하였다. Fig. 5는 대상 댐들의 모의 운영된 저수량과 여수로 방류량을 제외한 방류량을 제시한 것이다. 모의 운영 시 저수량이 정상단계에 있을 때는 기본계획공급량을 공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가뭄 단계에 따라 감량공급을 실시하였다. Fig. 6은 각 제어지점별 용수 공급 부족량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3은 각 제어지점별 총 용수 공급 부족량, 최대 용수 공급 부족량, 용수를 정상공급하지 못한 총 기간, 이수 안전도를 나타내는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5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Independent Reservoir Operation and Reservoir System Operation
KOSHAM_17_06_507_fig_5.gif
Fig. 6
Comparison of the Water Supply Deficit at the Control Poin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Reservoir System Operations
KOSHAM_17_06_507_fig_6.gif
Table 3
Comparison of the Water Supply Deficit at the Control Poin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Reservoir System Operations
Operational performance statistics Independent operation Reservoir system operation
Control point Control point
1 2 3 1 2 3
Total water supply deficit (106m3/days) 2073 737 2 1974 67 0.2
Maximum water supply deficit (106m3/10days) 28 12 0.7 31 11 0.3
The number of rationing 210 149 31 239 150 31
Reliability 0.47 0.62 0.92 0.40 0.62 0.92
제어지점 1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한 추가 방류는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가능하다. 제어지점 1에 대한 안동댐의 추가방류는 안동댐의 저수량이 저수위(低水位)에 다다르는 수준까지 내려가 1개 순 동안 용수공급 완전 실패를 초래하였다(Fig. 5(a)). 그에 반해, 제어지점 2의 경우 비교적 유입량이 큰 남강댐의 추가방류 영향으로 인해 총 물 공급 부족량이 댐 단독 운영에 비해 91% 완화되었다(Table 3). 또한, 제어지 점 3의 경우도 제어지점 2와 마찬가지로 남강댐의 영향으로 인하여 물 공급 부족량이 댐 단독 운영에 비해 90% 완화되었다(Table 3).
하류의 물 공급 부족에 대한 상류 댐의 추가 방류는 모의 기간에 발생한 총 물 공급 부족량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제어지점 1의 결과로 비추어 보면 안동댐과 임하댐간의 연계는 큰 효과가 없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댐과 임하댐 간의 연계는 용수 감량공급 기간이 장기화 될 뿐만 아니라 용수 공급 실패도 초래할 수 있다. 남강댐의 추가 방류는 하류의 물 공급 부족 완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런데, Fig. 5(d)를 보면 2009년 초에 연계 운영 결과가 단독 운영과는 달리 감량 공급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남강댐의 추가 방류 탐색 범위를 제약하여 위 기간과 같은 가뭄에 정상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추후 연구할 필요가 있다.

5. 결론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은 다수의 지역해를 가진 복잡한 수학적 모형의 전역 최적해에 근사한 해에 수렴할 수 있는 우수한 탐색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원 변화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하여 상류 댐에서 추가 방류하는 규칙의 결정변수를 정하였다. 결정 변수를 찾기 위한 목적함수는 최적화 기간 내 총 물 공급 부족량과 용수 공급 완전 실패 기간의 횟수를 최소화 하는 것으로 하였다. 댐의 추가 방류 운영 규칙을 적용한 저수지 모의 운영은, 기본계획공급량에 대한 용수 공급 부족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류 지류 유입량은 제외하고 댐에서 방류하는 수량만으로 수행하였다. 최적화 결과에서 제어지점 1은 단독 운영에 비하여 4%, 제어지점 2는 91%, 제어지점 3은 90%만큼 총 물 공급 부족량이 완화되었다. 댐들의 단독 운영결과에 비하여 댐 간의 추가 방류 운영 규칙을 적용한 결과가 총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해서는 완화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하류 제어지점의 물 공급 부족량에 대하여 초과 방류한 안동댐의 경우에는 이로 인한 용수 공급의 완전 실패가 1개 순 동안 지속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안동댐과 임하댐 간의 연계 운영은 가뭄이 장기화될수록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어지점 2에서는 기본계획공급량에 비하여 유입량이 큰 남강댐의 영향으로 물 공급 부족 완화 효과가 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지만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17AWMP-B083066-04).

References

Bazarra, M, Sherali, H, and Shetty, C (1993). Nonlinear Programming: Theory and Algorithms. Wiley, New York.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L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8, No. 4, pp. 1015-1031. 10.1029/91WR02985.
crossref pdf
Hashimoto, T, Ste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10.1029/WR018i001p00014.
crossref pdf
Jin, Y, Lee, S, and Jung, T (2017) Reservoir Operation Applying Discrete Hedging Rule Curves Depending on Current Storage to Cope with Drought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7, No. 1, pp. 107-115. 10.9798/KOSHAM.2017.17.1.107.
crossref
Kang, S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 Level Zone Decision Method for Long-term Reservoir Operation Using Dynamically Dimensioned Search Algorithm.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Lee, G, Cha, L, and Yi, J (2013) Analysis of Non-monotonic Phenomena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n Water Resources System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2, pp. 183-193. 10.3741/JKWRA.2013.46.2.183.
crossref pdf
Tolson, B.A (2005). Automatic Calibration, Management and Uncertainty Analysis: Phosphorus Transport in the Cannonsville Watershed.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Tolson, B.A, and Shoemaker, C.A (2007) Dynamically Dimensioned Search Algorithm for Computationally Efficient Watershed Model Calib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43, No. 1, Article ID W01413. 10.1029/2005WR004723.
crossref pd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2 Crossref
  •    
  • 2,506 View
  • 49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