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6); 2017 > Article
폐기물을 활용한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에 관한 수리모형실험

Abstract

Loss of coastal wetland has consistently occurred even though coastal wetlands are an important role to protect coastal residents, to provide fish habitats,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Wetland losses can worsen the balance of the wetland ecosystem and increase the risk of coastal inhabitants, leading to economic losses. Wetland protection is required to reduce losses of coastal wetlands. Submerged breakwater is a promising method to prevent wetland losses, which will contribute the enhancement of seawater circulation and the improvement of biodiversity. In this study, we want to suggest the utilization of Fluorogypsum (FG) that is a recycle material. FG mixed material consists of Fluorogypsum (FG), cement, and fly ash, which can be used to make a submerged breakwater. We explore the wave attenuation effect of submerged breakwater through the laboratory experiments using the wave tank, introduce the general equations to expect the wave attenuation effect of submerged breakwater, compare experimental results with analytical solutions using general equations, and introduce the limitation of current general equations.

요지

연안 습지대가 해안 거주자의 보호와 어류 서식지 제공 및 수질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랑에 의한 연안 습지대의 손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습지 생태계의 균형을 악화시키고, 해안 거주자의 위험을 증가시켜 경제적 손실까지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에, 연안 습지대 보호 방안이 조속히 필요하다. 수중방파제의 활용은 해수 순환 강화와 생물의 다양성 향상 등과 함께 연안 습지 보호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의 일종인 플루오르집섬(Fluorogypsum, FG), 시멘트(Cement) 및 플라이 애쉬(Fly ash)를 혼합하여 만든 FG 합성물을 수중방파제의 구성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실내수리실험을 통하여 전달파고계수를 측정함으로써 FG 합성물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의 파랑감쇠효과 예측을 위한 제안식들을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측정된 전달파고계수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기존 제안식의 한계성을 소개하였다.

1. 서론

1.1 수중방파제의 필요성

해안지역의 폭풍우와 파랑 등으로 인한 토사유실이 심각한 수준이다. 토사유실은 토지의 손실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생태계 균형을 악화시키고, 해안가의 에너지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켜 인명 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Lee et al., 2003; Zou et al., 2016). 예를들어,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 남동부에 위치한 미시시피 강 유역 하부(Lower Mississippi River Basin, LMRB)는 미국 전체 연안 습지대의 40~45%를 차지하는 지역으로써 1930년대 이후 약 4,921 km2의 토지를 손실했다(Zou et al., 2016). 이는 전미지역의 80%에 해당하는 양이고, 이로 인한 루이지애나 주의 매년 경제적 손실은 상당히 심각하다(Ko and Day 2004). 이러한 피해는 국내에서도 크게 우려되는 실정이다(Lee et al., 2003). 해안가의 토지 손실은 토지 침강 및 해수면의 변화에 따른 해안선의 침식에 기인한다(Zou et al., 2016). 특히, 해안선은 폭풍우 및 높은 파랑 에너지에 의한 침식에 취약하다(Lee et al., 2003). 허리케인 등의 높은 바람에 의해 생성된 거대한 파랑으로 인하여, 해안선은 침식되고 그 지역의 생태계 손실 및 거주민들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파랑에 의한 해안선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중력식 방파제가 주로 건설되었으나, 공사비 증가 및 해수 순환 저해라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Ha et al., 2012). 따라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중구조물의 설치가 제안되고, 특히 수중방파제(Submerged breakwater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Ha et al., 2012; Gupta et al., 2016). 수중방파제는 폭풍해일에 의한 파랑이 내륙으로 오는 경우에 입사파(incident wave)의 에너지를 감쇠시켜 해안지역의 토사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upta et al., 2016). 또한, 환경적인 측면에서 원활한 해수 순환, 시각적 불쾌감의 저감, 생물의 다양성 향상 등과 같은 많은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Ha et al., 2012). 따라서, 수중방파제의 연안에서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파랑이 수중방파제를 통과할 때의 에너지 변화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Lee et al., 2003).
전달파고계수(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Kt)는 수중방파제의 효율성을 나타낸다(Fig. 1). 1960년대 일본에서 전달파고계수(Kt)의 초기연구가 시작한 이후(Goda and Ippen, 1963; Iwasaki and Numata, 1969), 1970년대에는 Numata와 Tanaka 에 의해 지속되었다(Tanaka, 1976). Seelig(1980)는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불규칙 파동 조건에 따른 전달파고계수(Kt)의 변화를 연구하였고, 이후에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전달파고계수(Kt)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졌다(Van der Meer and Pilarczyk, 1990; Van der Meer and Deamen, 1994; d’Angremond et al., 1996; Seabrook and Hall, 1998). EU(European Union)가 지원하는 DELOS(Deep-ocean Environmental Long-term Observatory System) 프로젝트는 2,400개 이상의 전달파고계수(Kt)를 정리하여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완성하였다(www.delos.unibo.it). 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Van der Meer et al. (2004)는 구조 및 수리학적인 계수들과 전달파고계수(Kt)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관계식을 개선하였다. Goda and Ahrens(2008)는 14 가지의 다른 조건에서 얻은 851개의 실험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간편한 전달파고계수(Kt) 예측법을 제시하였다.
Fig. 1
Schematic Design of Wave Tank
KOSHAM_17_06_367_fig_1.gif

1.2 수중방파제의 구성물질

매년 수백만 톤의 산업부산물들이 전 세계의 산업공정과정에서 생성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부산물들이 매립지등에 누적된다. 누적된 산업부산물은 환경적인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것의 처리를 위한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산업부산물의 활용은 전 세계적으로 건축자재수요가 커짐에 따라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산업부산물의 활용은 건설비용 절감, CO2 생산 감소, 산업부산물의 처리비용 절감, 그리고 부산물 처리로 인한 토지손실 감소효과 등에 이점이 있다. 대표적인 산업부산물의 일종인 플루오르집섬(Fluorogypsum, FG)은 형석(Fluorite or Fluorspar, CaF2)과 황산(Sulfuric acid)으로부터 불산(Hydrofluoric acid, HF)을 생산하는 과정(CaF2 + H2SO4 → 2HF + CaSO4)에서 생성된다(Dahlke et al., 2016). FG은 슬러리형태로 배출되고, 그 슬러리가 모인 곳에서 증발되어 건조잔여물로써 응고된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894,000톤의 FG이 생산되고(USEPA, 1992), 인도에서는 매년 약 4,000,000톤의 FG이 생산된다(Garg and Pundir, 2017).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산업부산물의 일종인 플루오르집섬(Fluorogypsum, FG)을 시멘트(Portland Cement, PC) 및 플라이 애쉬(Fly ash, FA)와 혼합하여 만든 합성물을 수중방파제의 구성물질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FG 합성물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실내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기존의 수중방파제 파랑감쇠효과 예측을 위한 제안식들을 정리하여 소개하고, 본 연구에서의 실험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2. 실내수리모형실험

2.1 수중방파제의 재료

재료의 종류에 따른 파랑감쇠효과의 비교를 위해 자갈 및 FG 합성물(FG binder)을 수중방파제의 구성물로 각각 사용하여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자갈의 평균 크기는 대략 12.7 mm이다. FG 합성물은 플루오르집섬(FG)과 시멘트(PC) 및 플라이 애쉬(FA)로 구성되었다. 각 재료의 수분은 45°C의 온도에서 14시간 동안 오븐 건조하여 제거하였다. 균일한 크기의 재료 확보를 위해 18번체(U.S standard seive No. 18)로 거른 입자만을 사용하였다. FG 합성물은 건조된 62% FG, 3% PC와 35% FA로 구성되었다. FG, PC 및 FA를 물과 함께 잘 섞은 후, Briquette 기계(KOMAREK B050 roller press)를 이용하여 48kN의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조개탄모양(길이 33 mm × 폭 17.7 mm × 두께 10.2 mm)의 FG 합성물을 만들었다. FG 합성물은 습도 100%에서 28일 동안 경화시킨 후, 실내수리모형실험에 사용되었다.

2.2 실험시설 및 실험조건

조파수조의 크기는 폭 5.7 m, 길이 8.7 m이고 다음과 같은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Fig. 2). 조파장치(Wave generator, MTS 407 Controller)는 조파패들(Wave paddle)을 통하여 파랑을 생성하고, 파랑의 주기 및 파고를 조절한다. 수중압력계(Submersible pressure transducers)는 파랑의 주기 및 파고를 측정하고, 데이터이력기록기(CR23X Micrologger)는 파랑의 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험에서 모래 언덕(Sand dune)은 실제 현장과 같은 조건을 구현하고, 입사파의 재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Fig. 2
Experimental Set up for Wave Tank Tests
KOSHAM_17_06_367_fig_2.gif
조파장치를 활용하여 파랑을 생성한다 할지라도, 파랑의 주기 및 파고는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생성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사전 시험을 통하여 일정한 파랑의 주기와 파고가 유지되는 3가지 파랑조건을 Table 1과 같이 찾아냈다.
Table 1
Test Conditions in Wave Tank
Test Frequency (Hz) The span of wave paddle (in)
1 0.7 2
2 1.1 1.5
3 1.3 1.2

2.3 조파수조 규격에 따른 경계효과

제한된 조파수조의 규격은 조파수조의 벽을 통한 반사파에 의해 파랑의 주기 및 파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조파수조의 규격에 따른 파랑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중방파제 없이 파랑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3개의 수중압력계(Submersible pressure transducers)를 설치한 뒤(Fig. 3), Table 1에서의 3가지 파랑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S1, S2, S3는 조파수조에서 수중 압력계(Submersible pressure transducers)의 위치를 나타낸다.
Fig. 3
Location of Submerged Sensors
KOSHAM_17_06_367_fig_3.gif

2.4 수중방파에 의한 전달파고계수의 변화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2개의 수중압력계(S1, S2)를 수중방파제의 전과 후에 0.5 m 간격으로 각각 1개씩 설치하였다(Fig. 4). 세 가지 파랑 조건(Table 1), 수중방파제의 유무, 두 가지 재료(자갈 또는 FG 합성물)의 조건에서 수리모형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따라서, 총 9가지의 실험조건에서 수중압력계를 이용하여 파랑의 주기 및 파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파고를 이용하여, 각각의 실험조건에서의 전달파고계수(Kt)를 계산하였다.
Fig. 4
Location of Sensors Before/after the Reef
KOSHAM_17_06_367_fig_4.gif

3. 실험결과

3.1 조파수조 규격에 따른 경계효과

Fig. 5는 수심이 22 cm일 때 파랑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 3개의 수중압력계(S1, S2, S3)에 의해 측정된 파고를 나타낸다. 주기는 0.7, 1.1 및 1.3Hz가 각각 실험중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평균 파고는 3.65±0.58 cm로써, 수중압력계의 위치에 따른 파고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Table 1에서 선정된 파랑의 조건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파수조의 제한된 규격(폭 5.7m, 길이 8.7m)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ig. 5에서의 수중방파제가 없는 경우의 파고는 수중방파에 의한 전달파고계수 값을 정규화하는데 사용되어진다.
Fig. 5
Effects of Wave Tank Size on Wave Heights
KOSHAM_17_06_367_fig_5.gif

3.2 수중방파제에 의한 파고의 변화

Fig. 6은 수중방파제에 의한 파고의 변화를 나타낸다. x축의 센서 1 및 2는 수중방파제 전후에 위치한 수중압력계(Fig. 4에서의 S1 및 S2)를 각각 나타내고, y축의 정규화된 파고는 수중방파제가 설치한 경우에 얻어진 파고를 수중방파제가 없을 때의 파고(Fig. 5)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이다. Fig. 3에서와 같이 수중압력계가 파랑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위치에 상관없이 파고가 일정하게 측정됨을 Fig. 5에서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Fig. 6은 (1) 모든 조건에서 파고는 수중방파제를 통과한 뒤 낮아진다. 이는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보여준다. (2) 파랑의 주기가 커짐에 따라 수중방파제 통과 후의 파고는 더 크게 낮아진다. 파랑의 주기가 클수록 파랑감쇠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모든 조건에서 FG 합성물로 이루어진 수중방파제에 의한 파랑감쇠 효과가 자갈보다 다소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Effects of a Reef on Wave Heights
KOSHAM_17_06_367_fig_6.gif

3.3 전달파고계수를 이용한 파랑감쇠효과 분석

인공 암초와 같은 수중구조물의 주요 목적은 파랑으로부터 해안선을 보호하는 것이다. 파력은 수중구조물을 지나가면서 감소한다(Daemen, 1991; Van der Meer and Deamen, 1994). 파력에너지의 원리에 의하면, 입사파고(Hi)는 반사파고(Hr) 또는 전송파고(Ht)로 전달된다. 이중 전달파고계수(Kt)는 Eq. (1)과 같이 전달파(Et) 및 입사파(Ei) 에너지의 비 뿐만 아니라 입사파고(Hi) 및 전송파고(Ht)의 비율로 정의된다(Daemen, 1991; Seabrook and Hall, 1998).
(1)
Kt=HtHi=EtEi
여기서 Ht와 Hi는 전달파고 및 입사파고를 각각 나타내고, Et와 Ei는 전달파 에너지 및 입사파 에너지를 나타낸다. 전달파고계수(Kt)는 파랑감쇠에 대한 수중방파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Fig. 7은 FG 합성물 및 자갈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에서의 전달파고계수(Kt)를 나타내다. 전달파고계수(Kt)는 파랑의 주기가 0.7 Hz에서 1.3 Hz로 증가함에 따라, 자갈 및 FG 합성물 모두 감소하였다. 이는 파랑의 주기가 커질수록 FG 합성물 및 자갈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가 효율적임을 나타낸다. FG 합성물로 이뤄진 수중방파제의 경우 Kt는 0.64~0.72의 범위인데 반해, 자갈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Kt는 0.68~0.89의 범위로서 좀더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같은 파랑의 주기일 때 FG 합성물로 이루어진 수중방파제의 효과는 자갈보다 약 13~17% 이상의 파랑감쇠효과를 보여준다.
Fig. 7
Effects of Frequency on the Variation of Normalized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Kt)
KOSHAM_17_06_367_fig_7.gif

3.4 전달파고계수 예측을 위한 이론식과의 비교 분석

전달파고계수(Kt)를 예측하기 위한 5가지 이론식이 Table 2에 소개되어있다. Van der Meer and Pilarczyk(1990)은 수중방파제의 상단과 수심과의 차이인 천단고(Rc)와 입사파고(Hs)를 이용한 전달파고계수(Kt)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전달파고계수(Kt)가 0.1~0.8인 범위에서 제안됨을 명시하였다. Daemen(1991)은 천단고(Rc), 수중방파제 재료의 평균입자크기(Dn50), 파형기울기(Sop) 및 최대 파랑 주기(Tp)를 이용한 전달파고계수(Kt)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d’angremond et al. (1996)은 이리바렌 수(Iribarren number, ξ)를 활용한 전달파고계수(Kt)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이리바렌 수는 심층수 파장길이(Lo)와 수중방파제의 기울기(α)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무차원 매개변수이다(Iribarren and Nogales, 1949). Seabrook and Hall(1998)은 천단고(Rc), 중방파제 재료의 평균입자크기(Dn50), 심층수 파장길이(Lo), 수중방파제 상단길이(Bc) 등을 고려하여 전달파고계수(Kt)를 예측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Van der Meer et al. (2004)은 이리바렌 수(ξ)와 수중방파제 상단의 길이(Bc)를 이용한 전달파고계수(Kt)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전달파고계수를 기존에 제시된 5가지 전달파고계수 예측식을 활용한 전달파고계수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Table 2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Kt) of Five Equations
Author Year Type Equation
Van der Meer 1990 Wave tank 2<RcHs<1.13,Kt=0.80;1.13<RcHs<1.2,Kt=0.460.3RcHs1.2<RcHs<2.0,Kt=0.10
Daemen 1991 Flume Kt=a×RcDn50+ba=0.031×HiDn500.24;b=2.6×Sop0.05×HiDn50+0.85,Sop=2πHmogTp2
d’angremond et al. 1996 Flume Kt=0.4×RcHs+(RcHs)0.31×(1e0.5ξ)×0.64ξ=tanαHLo,Lo=gTp22π,0.075<Kt<0.80
Seabrook & Hall 1998 Flume Kt=1exp(0.65RcHi1.09HiBc)+0.047×(BcRcLoDn50)0.067×(HiRcBcDn50)
Van der Meer et al. 2004 Wave tank Kt=0.3×RcHi+0.75×{1exp(0.5ξop)}forξop<3Kt=0.3×RcHi+(RcHi)0.31×{1exp(0.5ξop)}×0.75forξop<3

Kt =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H, Hi, Hs = Incident wave height, significant wave height = Wave height in front of the structure

Ht = Transmitted wave height = Wave height behind the structure

Rc = Distance from crown to water level = crest freeboard

Dn50 = Average diameter of the material

Sop = Wave steepness

Tp = Peak wave period

Bc = Crest width

ξ = Surf similarity parameter = Iribarren number

α = Slope of structure

Lo = Deep water wavelength

Fig. 8은 수중방파제의 재료가 자갈일 때, 5개의 제안식에 의해 예측된 전달파고계수(Kt)값과 본 연구의 실험에서 얻어진 정규화된 전달파고계수(Kt)값을 나타낸다. 그 결과 Van der Meer and Pilarczyk(1990)의 제안식이 실험결과와 가장 근접하게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머지 4개의 제안식은 예측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자갈로 이루어진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예측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Fig. 8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with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by Analytical Solutions (gravel)
KOSHAM_17_06_367_fig_8.gif
Fig. 9는 수중방파제의 재료가 FG 합성물일 때, 제안식에 의해 예측된 전달파고계수(Kt)값과 실험값을 나타낸다. Fig. 8과 달리 5개의 모든 이론식에 의한 예측값이 FG 합성물로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실험결과와 크게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다. FG 합성물로 구성된 수중방파제가 이론식에 비해 뛰어난 효율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FG 합성물의 경우 이론식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Fig. 9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with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 by Analytical Solutions (FG-PC-FA composites)
KOSHAM_17_06_367_fig_9.gif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의 일종인 플루오르집섬(FG)을 시멘트(PC) 및 플라이 애쉬(FA)와 혼합하여 FG 합성물의 고안하고, 수중방파제 재료로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하여 자갈 및 FG 합성물로 각각 구성된 수중방파제의 파랑감쇠효과를 실내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조파장치를 활용하여 조파수조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세가지 파랑 조건을 찾아냈다. 이를 활용하여 수중방파제의 유무 및 수중방파제 구성 재료(자갈 또는 FG 합성물)의 종류에 따른 파랑감쇠효과를 전달파고계수(Kt)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전달파고계수(Kt)는 수중방파제 전후의 파고의 비를 통하여 구해지는 값으로,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G 합성물로 구성된 수중방파제가 자갈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파랑감쇠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파랑의 주기가 증가할수록 파랑감쇠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달파고계수(Kt)를 예측하기 위해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5가지 제안식을 소개하고, 제안식을 통한 전달파고계수(Kt)를 본 시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갈을 활용한 수중방파제의 경우, Van der Meer and Pilarczyk(1990)의 수중방파제 상단과 수심과의 차이인 천단고(Rc)와 입사파고(Hs)를 활용한 제안식이 본 연구의 실내시험을 통한 전달파고계수(Kt)와 가장 근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FG 합성물을 활용한 수중방파제의 경우 이론식에 의한 예측값이 실험값과 크게 상이하여, 좀 더 개발된 이론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FG 합성물의 수중방파제 구성물로써의 활용은 산업부산물을 줄임과 동시에, 토사유실 방지 및 파랑으로 인한 해안가의 위험성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7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RF-2017R1D1A3B03031369). 이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Daemen, I.F.R (1991). Wave Transmission at Low-crested Breakwaters. Master's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Delft, Nederlands.
crossref
Dahlke, T, Ruffiner, O, and Cant, R (2016) Production of HF from H2SiF6. Procedia Engineering, Vol. 138, pp. 231-239. 10.1016/j.proeng.2016.02.080.
crossref
d'Angremond, K, Van Der Meer, J.W, and De Jong, R.J (1996). Wave Transmission at Low Crested 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Twenty-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Orlando, Florida, United States: p 2418-2427.
crossref
Garg, M, and Pundir, A (2017) Energy Efficient Cement Free Binder Developed from Industry Waste-A Sustainable Approach. European Jounral of Environmental and Civil Engineering, Vol. 21, No. 5, pp. 612-628. 10.1080/19648189.2016.1139510.
crossref
Goda, Y, and Ahrens, J.P (2008). New Formulation of Wave Transmission Over and Through Low-crested 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3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Hamburg, Germany: p 3530-3541.
crossref
Goda, Y, and Ippen, A.T (1963).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Wave Energy Dissipators Composed of Wire Mesh Screens. Hydrodynamics Laboratory Report No.60.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ssachusetts.
crossref
Gupta, S, Teh, H.M, Hashim, A.M, and Sulaiman, R.B.R (2016).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Sand Containers used as Submerged Breakwaters. Engineering Challenges for Sustainable Future: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vil Offshor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CCOEE 2016. Kuala Lumpure, Malaysia: p 137-141. 10.9774/GLEAF.9781315375052_25.
crossref
Ha, T, Jung, W, and Cho, Y.S (2012) Numerical Study on Reduced Runup Heights of Solitary Wave by Submerged Structure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2, No. 5, pp. 251-258. 10.9798/KOSHAM.2012.12.5.251.
crossref pdf
Ko, J.Y, and Day, J.W (2004) A Review of Ecological Impacts of Oil and Gas Development on Coastal Ecosystems in the Mississippi Delta.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47, No. 11-12, pp. 597-623. 10.1016/j.ocecoaman.2004.12.004.
crossref
Lee, J.I, Kim, Y.T, and Cho, Y.S (2003) Laboratory Experiments on Reflection of Regular Waves Due to Submerged Breakwa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 Vol. 15, No. 3, pp. 167-175.
crossref
Seabrook, S.R, and Hall, K.R (1998). Wave Transmission at Submerged Rubblemound Breakwaters. Proceedings of The Twenty-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Copenhagen, Denmark: p 2000-2013.
crossref
Seelig, W.N (1980) Two-dimensional Tests of Wav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Breakwaters.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Tech. Rept. 80-1.
crossref
Tanaka, N (1976) Wave Deformation and Beach Stabilization Capacity of Wide-crested Submerged Breakwaters. Proceedings of the 23rd Japanese Conference of Coastal Engineering JSCE, pp. 152-157 (in Japanese).
crossref
Van der Meer, J.W, and Deamen, I.F.R (1994) Stability and Wave Transmission at Low-crested Rubblemound Structures.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Vol. 120, No. 1, pp. 1-19. 10.1061/(ASCE)0733-950X(1994)120:1(1).
crossref
Van der Meer, J.W, and Pilarczyk, K.W (1990) Stability of Low-crested and Reef Breakwaters.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pp. 1375-1388.
crossref
Van der Meer, J.W, Wang, B, Wolters, A, Zanuttigh, B, and Kramer, M (2004) Oblique Wave Transmission Over Low-crested 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Costal Structures 2003. Portland, Oregon, United States, pp. 567-579. 10.1061/40733(147)47.
crossref
Zou, L, Kent, J, Lam, N.S.-N, Cai, H, Qiang, Y, and Li, K (2016) Evaluating Land Subsidence Rat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Land Loss in the Lower Mississippi River Basin. Water, Vol. 8, No. 1, Article No. 10. pp. 1-15.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3,175 View
  • 9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