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5); 2017 > Article
BIM을 이용한 염소⋅소독 시설물 관리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are maintained and managed based on the 2D CAD drawings. However, the CAD drawings can not reflect the design changes in the construction stage at the completed construction drawing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facilitie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pplied 3D-based information model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ogy to chlorine⋅disinfect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using BIM,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specifications of facilities can be easily grasped by 3D drawing system. Have set up information input criteria to input many property data of facilities. It is found that the system can integrate distributed information into one and can be effective management.

요지

정수장 시설물은 2D CAD도면을 바탕으로 유지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CAD도면은 시공 단계에서의 설계변경 등을 준공도면에 반영하지 못해 시설물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D 기반의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기술을 염소⋅소독 시설에 적용하였다. BIM을 활용한 적용결과 3D 도면 시스템으로 정확한 위치정보와 시설물의 제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시설물의 많은 속성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 기준을 마련하고, 분산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서론

먹는 수돗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감시와 감독을 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수도전이나 관망의 임의지점에서 채수하여 수질 항목들을 검사하고, 기준 초과 시에는 정수장에 합당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정해진 목표수질이 생산될 수 있도록 정수장의 시설과 운영기준을 정하고 이러한 기준의 준수를 감독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임의지점에서 채수하여 검사하는 것으로 시간상 이미 공급되는 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상을 발견한다 하더라도 대책을 마련하기가 어렵다.
국내 정수장 운영관리 점검대상 511개 정수장의 84%인 427개 정수장이 표준인력 대비 부족한 근무인력으로 정수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한 수돗물 생산을 위해서는 여과 및 소독공정의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Lee, 2003).
현재 국내 정수장은 수도정비기본계획 보고서 등에 작성된 시설물의 자료와 2D CAD도면을 바탕으로 운영 및 유지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CAD도면은 시공 단계에서의 설계변경이 준공도면에 반영되어 있지 않아 현장에서 일일이 재 실측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한 구조적 변경이나 시스템상의 변경이 CAD도면에는 반영되지 않아 유지관리에 다양한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GRI(1999)에 따르면 정수장 관리에 있어 전문적인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수장 근무자의 평균 근무 기간은 3~4년으로 전문적인 인력이 부족하고 인수인계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염소소독과 같은 수 처리 공정관리의 경우 10만 톤당 2인으로 그 수가 매우 적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 새로운 건설관리 패러다임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3D기반의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기술은 좋은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BIM 기반의 유지관리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ho et al.(2008)은 기존 공공시설 유지관리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계획, 설계, 견적, 시공의 프로젝트 단계별 BIM을 통한 유지관리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Kim et al.(2010)은 전통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에 대한 기존 연구 및 사례를 고찰하고 시설물 객체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을 제시 및 이를 위한 BIM기반 라이브러리 구축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Lee et al.(2010)은 시설물 유지관리의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유지관리 단계에서 사용가능한 BIM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분석, BIM기반의 유지관리 업무 활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An et al.(2012) 국내 BIM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데이터 전달시 발생하는 문제점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Kim et al.(2012)은 설계와 시공단계 활용에 그치고 있는 토목분야 BIM 기술을 유지관리단계에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BIM 가이드라인 현황과 내용을 조사⋅분석하여 토목분야 시설물 유지관리에 BIM 정보체계 도입을 위한 준비사항 제시하였다. Jo et al.(2012)은 BIM의 핵심요소기술과 시설유지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도출 및 분석하였고 BIM과 유지관리시스템의 연동을 위한 연계기술을 제시하였다. Moon and Park(2010)은 국내외 BIM 관련 연구 고찰과 BIM을 활용한 시설물 관리 개선 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BIM 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개념도를 제시하였으며, Nah et al.(2013)은 BIM의 유지관리 단계 적용을 위해 시설물의 3D 형상정보 관리체계와 능동적 의사결정 모형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합 모형으로 구축하기 위한 기술 연계체계를 제시하였다. 기존 문헌사례를 살펴보면 국내 BIM 기술의 적용은 건축분야와 비교해서 토목분야는 아직은 활용범위와 산업계의 인식 측면에서는 기초적인 수준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인 정수장 공정 중에서 관리에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많은 염소⋅소독 공정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BIM 기술을 적용하였다. 현재의 정수장 관리는 대부분 CAD 기반의 2D 도면을 바탕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상당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므로,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수장의 염소⋅소독 시설물에 BIM을 적용하여 프로토타입 유지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BIM 정의 및 응용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초기에는 IAI(International Alliance for Interoperability)의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등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간 정보 교환 및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점차 의미가 확장되어 기획에서 유지관리에 이르는 전체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되는 정보(3D 객체 정보 + 관련된 모든 데이터), 프로세스 및 호환성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건설업계에서는 건물 생애 단계별 그리고 전문 영역별 건설정보를 통합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건물정보모델링(BIM) 기술의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IM 도입의 이점 중 하나는 BIM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BIM 정보가 별도의 재작업 없이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초기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초기데이터의 예로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사항(프로젝트 명, 기술자⋅공급업자⋅제조업자의 연락처 및 주소, 프로젝트의 기간 등)과 시설물 객체들(벽, 슬래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에 대한 각각의 속성(기능, 구조, 용도)을 포함한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BIM의 유지관리를 활용하고자 한다.
현재 BIM의 유지관리에는 크게 건물 유지관리(건축문화재)와 시설물 보수⋅관리(사회 기반 시설물 유지관리)로 나눠 볼 수 있다. 그중 시설물 유지관리(Facility Management; 이하 FM)는 완공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으로 점검⋅정비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구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보수⋅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념은 시설물의 성능이나 서비스수준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소극적 개념의 운영 및 유지관리에서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되어 Fig. 1과 같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활용분야는 건축공사의 작업 공간 등을 확보하는 공간관리(Song, 2012), 효율적으로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모형 구축의 자산관리(Kang et al., 2012), 시공단계 및 설계단계의 모형 요구 조건을 체크하는 체크리스트 관리(Kim, 2016), 추락사고와 같은 현장 사고들을 예방하는 예방적 유지관리(Yoon, 2014)의 개념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다.
Fig. 1
Main Functions of Facility Maintenance System
KOSHAM_17_05_385_fig_1.gif
최근 건설 전반에 걸쳐 비정형화, 초고층화, 스마트 등이 화두가 되면서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술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시설물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의 통합이 가능한 BIM기술이 주축이 되고 있다(Song and Ju, 2011). BIM은 2D CAD같이 단순한 그림과 라벨 도구와 달리 시설물의 3D 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시설물의 모든 요소의 속성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2 정수장 시스템 유지관리

최근 먹는 물은 크게 수돗물, 생수, 정수기로 나눠볼 수 있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수돗물 보다는 생수와 정수기에서 음용수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경제성 및 건강적인 측면을 비교해보면 수돗물은 생수나 정수기의 물 보다 훨씬 우수하다. 수돗물과 다르게 생수와 정수기는 생산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정수 처리 공정은 국민의 건강에 중요한 수돗물을 생산하는 시설이어서 상수원수의 수질이 최악일 경우에도 충분한 처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수원수의 수질 조건에 따른 정수 방법으로 크게 완속여과와 급속여과로 구분할 수 있다.
완속여과 공정은 취수, 보통침전, 완속여과, 소독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완속여과 공정은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저 농도 일 때 효과적이기 때문에 돌발적인 사고발생시의 이상오염물질 유입 시에는 큰 기대를 할 수 없다. 급속여과란 약품에 의해 응집 침전시킨 물을 완속여과보다 큰 여과수두를 주어 급속여과 하는 방법이다. 정수장의 면적이 작아도 되며 한랭지에 적합한 반면, 유지관리비가 높다. 급속여과 공정은 취수, 혼화⋅응집, 침전, 급속여과, 소독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혼화지와 응집, 침전지에서의 약품투입 양이나 종류에 따라 제거효율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Fig. 2에서 실선은 완속여과, 점선은 급속여과 공정을 나타내었다.
Fig. 2
Filtration Process
KOSHAM_17_05_385_fig_2.gif
정수처리 공정은 Fig. 2와 같이 다양한 시설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첫 번째는 2D CAD 도면의 한계이다. 현재 정수처리시설은 보고서 도면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도면에 대한 관리는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이다. 실무에서는 기계⋅설비 등의 수선작업 시에만 CAD 도면을 확인하는데 시공 단계에서의 설계변경이 준공도면에 반영되지 않아 현장에서 매번 재 실측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한 구조적 변경이나 시스템상의 변경이 CAD도면에는 반영되지 않아 유지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두 번째는 분산된 정보, 분산된 시스템이다. 운영권이 위탁기관으로 인계되거나 유지관리 실무자의 변경으로 업무가 인계될 시 시설의 유지관리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화 되어 있지 않거나 분산되어 있어 유지관리 정보를 일일이 재 수집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유지관리 정보 입력 기준 및 지침 부재이다. 발주처에게 전달된 모든 정보가 2D 또는 종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주처는 시설물 관리자에게 관련정보를 찾아 전달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그 과정은 시간낭비가 심하고, 실수가 발생하기 쉽다(BIM Handbook, 2011). 실제 정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 작업 시에도 부재코드, 입력방법 등의 정확한 기준 및 지침이 없어 유지관리 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력정보를 검색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염소⋅소독 공정에서는 정수장 근무자 대부분이 짧은 기간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어 약품 투입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수시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지 못하는 유지관리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염소⋅소독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특히 염소가스의 유독성에 따른 안전관리와 관계하여 적절한 시설과 장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나 대부분의 정수장의 열악한 재정과 인력부족으로 형식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로자의 지식과 정보 부족, 시설관리 문제는 BIM을 활용하여 인수인계의 많은 정보를 최소화하고 시설물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유지관리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실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데이터 축척은 분산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입력 기준을 마련하여 자료의 활용방안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속여과와 급속여과 공정에 필요한 대표시설물로 염소⋅소독시설을 대상으로 BIM을 적용하여 효과적 시설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3. 모형 구축과 적용 및 결과

3.1 3D 염소⋅소독 시설물 모형 구축

본 연구에서 구축된 3D 염소⋅소독 시설은 실제 시설물 사례가 아닌 수도정비기본계획 보고서에 제시하고 있는 표준화된 염소⋅소독 공정 시설물을 바탕으로 임의로 구축하였다. 3D 시설물 구축을 위해서 BIM 프로그램 중 Revit 2015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Fig. 3(a)와 같이 염소⋅소독시설물 전체를 3D로 구성하여 나타내었다. 다음 Fig. 3(b)는 염소⋅소독 공정의 5개 기본 요소인 ⓐ기화기, ⓑ염소용기, ⓒ염소주입기, ⓓ진공 조절기, ⓔ염소중화장치 등을 나타내었다. 구축된 모형은 기존 CAD 2D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시설물의 형태와 배치를 3D로 구축하여 실물과 거의 동일 하게 시설물을 표현할 수 있고, 시설물 특성(제원, 관리 이력정보 등) 정보 값을 입력할 수 있어 시설물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 3
3D Chlorine Disinfection Facility Model Construction Using BIM
KOSHAM_17_05_385_fig_3.gif
염소⋅소독 공정 시설물의 속성자료 구축은 BIM 유지관리에서 3D모델링 보다 더 중요한 작업이다. 기본적인 3D 모델링은 시각적인 이미지만 보여주지만 BIM을 이용한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구축된 3D 시설물에 관한 다양한 속성자료를 포함하고 있어야 보다 더 효율적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Table 1은 3D으로 구축된 염소⋅소독 5개 각 공정별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수도정비기본계획 보고서를 참고하여 필요한 속성자료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속성 자료는 ①식별, ②제조, ③설치, ④시방, ⑤점검 등 크게 5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중 식별속성은 장비 유형 명, 시설분류, 설비분류, 장치분류, 객체분류코드, 장비설명으로 기본적인 장비들의 설명 및 분류가 들어가며 BIM 관리를 위해 장비 패밀리명과 식별 ID를 추가 하였다. 제조 속성은 제조국가 제조업체, 제품명, 제품번호, 제조일자, 보증기간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기본적인 장비의 제조 시 사용되는 상품명 및 기간들이 들어간다. 설치 속성은 기본 요소인 해당 시설물의 제원과 설치에 관련된 위치, 업체, 설명, 일자 등이 들어가며, 시방 속성은 해당 시설물의 특징에 따라 위 27가지 항목 중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펌프의 경우 펌프회전수, 동력, 처리효율 등을 넣어 관리할 수 있다. 점검 속성은 추후 유지관리에 필요한 교체주기, 점검주기, 점검설명, 점검도구를 넣어 인수인계시 필요한 기본 점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able 1
Attribute Information of Element Facilities
  Attribute Information   Details
➀ Identification Information (8ea) Equipment type name, Equipment family name, Facilities classification, Equipment classification, Device classification, identification ID, Object classification code, Equipment description
➁ Manufacturing Information (6 ea) Country of manufacture, Manufacturer, (Manufacturing) Model name, (Manufacturing) Model number, Date of manufacture, Warranty
➂Installation Information (15 ea) Installation company,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ation description, Installation date, Start date of operation, area, Volume, Number of installations, width, Length, height, thickness, Inflow, Outflow, Gross weight
➃ Specification Information (27 ea) Discharge amount, Former head, Pressure / Normal pressure, Pressure limit, Shaft power, Power, Drug injection rate, Optimum dose of drug, Torque, Flux, Accuracy, Agitation strength, Treatment efficiency, Ability to pass, Average stirring flow rate, Stirring range, Pump revolution, Screen interval, Treatment capacity / Treatment flow, Volume, Comparative rotation (speed), Water level, Flow rate, Electrical conductivity, Driving speed, Measuring range, Specification explanation
➄ Inspection Information (6 ea) Exchanging periods, Inspection interval, Inspection description, Inspection tools, Upper limit, Lower limit

3.2 3D 염소⋅소독 시설물 모형 적용 및 결과

3D로 구축한 유지관리 모형의 화면은 Fig. 4에 나타내었다. 유지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염소⋅소독 공정시설물 중에서 ⓔ번 염소중화장치를 클릭하면 Fig. 4의 오른쪽에 3D로 구축된 화면이 활성화가 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한, ①번을 클릭하면 Fig. 4의 왼쪽 표와 같은 형태의 시설물 속성자료가 활성화가 되어 나타난다. ②번은 해당 시설물의 명칭이 적혀 있으며, ③은 제조 속성, ④번은 설치 속성을 나타낸다. 화면의 크기가 작아 전 속성을 다 담을 수는 없었지만 위로는 식별 속성 밑으로는 시방 속성, 점검 속성이 표기되어 있다. 시설물 관리자는 해당화면(③, ④)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유지관리에서 어려움으로 부각된 시설물 정보변경에 관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기존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2D 도면의 한계 측면 3가지와 유지관리 측면 1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Fig. 4
Maintenance of Chlorine Facilities Built in 3D (Example)
KOSHAM_17_05_385_fig_4.gif
첫 번째로 2D 도면의 한계였다. 기존 관리는 2D 도면을 문서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유지관리 시 일일이 찾아서 확인하고, 구조적 변경이나 시스템상의 변경이 CAD 도면에 반영되지 않아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Fig. 3(a)과 같이 3D모델링한 현 시스템에서는 관리자가 해당 위치의 유지관리를 위해 파일을 열어보고 Fig. 3(b)과 같이 해당 시설물을 그래픽을 통해 정확히 사물을 판단 할 수 있으며, 과거의 수정 내역 등이 반영되어 있어 유지관리를 보다 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다.
두 번째와 세 번째로는 분산된 정보와 유지관리 정보 입력 기준이다. 기존 관리의 경우 운영권 및 실무자의 변경으로 업무가 인계될 시 시설의 유지관리 정보가 분산 되어 이를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시설물 및 실무자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정보가 다를 수 있어 이력정보를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현 시스템에서는 시설물 각각의 정보를 Fig. 4의 왼쪽에 보이는 것과 같이 속성 정보를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를 시설물관리자가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문제점인 분산 정보를 막을 수 있으며, 이력정보를 관리하는데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성 있는 인력 부족이다. 이는 기존의 열악한 재정과 인력부족으로 근로자의 지식과 정보부족, 시설관리의 문제점이 있었다. 현 시스템에서는 해당 시설물에 필요한 정보와 과거수정이력, 주의사항, 관리상황 등 필요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시설물의 외형을 2D도면이 아닌 3D 형태의 모습을 직접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업무를 인수인계함으로써 많은 정보를 최소화하고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데이터 축척은 경험이 적은 관리자로 하여금 과거의 잘못된 판단을 반복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4. 결론

시설물의 유지관리와 정보를 축척하고 활용하는 장점을 가지는 BIM은 현재 건축분야에 비해 토목분야 적용사례가 미미한 수준으로 현재까지는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에서의 사례와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목 사회기반시설 중 하나인 정수장의 염소⋅소독 시설물을 대상으로 BIM 기술을 적용하여 공정별 시설물을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기존의 정수장 유지관리에 관한 문헌조사에서 2D 도면에서의 한계적 문제점 3가지와 유지관리 기술 문제점 1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2D 도면에서의 한계적 문제점은 ①도면에서의 한계, ②분산된 정보, ③정보 입력기준 미비이다. 유지관리 기술 문제는 실무 근로자의 짧은 근무 경력으로 인한 실수이다. 따라서, 이를 BIM 유지관리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다양한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실제 운영되는 시설물을 3D로 모델링하기 때문에 쉽게 시설물을 파악하여 짧은 경력의 실무 근로자의 관리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로 시설물별 속성정보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시설물의 특성에 관한 전반적인 유지관리를 할 수 있게 해당 속성을 배치하고 점검자 혹은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추후 인수인계시 필요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즉시 점검 정보나 설치 정보 등을 입력 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로 BIM 유지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염소⋅소독 시설물에 대한 3D 모델링과 기본 구성요소인 패밀리를 제작하여 대상 시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제공하여 2D CAD도면과는 다른 위치 수정이나 시설의 형상 수정이 자유롭다. 또한 제3자에게 설명을 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때 보다 정확한 시각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과제는 염소⋅소독 시설물을 확장하여 정수장의 모든 시설물을 BIM을 이용하여 3D모델링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내용을 확장하여 상하수도 및 주요국가 기간시설물 등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2D를 바탕으로 하는 관리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설물 노후관리 및 경제성 분석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An, H.K, Lee, S.K, and Yu, J.H (2012) The Problem of Using BIM Data for Facility Management.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2, No. 1, pp. 139-140.
crossref
Cho, S, Cho, Y, Park, W.H, Yun, S.H, and Paek, J.H (2008)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BIM in Whole Phases of Public Project.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8, No. 1, pp. 697-700.
crossref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and Liston, K (2011).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Manag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John Wiley & Sons.
crossref
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999) A Study on Methods of Improving the Operation and the Maintenance for Water Supply System in Kyonggi-Do.
crossref
Jo, D.Y, Lee, C.Y, and Park, T.G (2012). Elicitation of Technology to Link Maintenance Systems with BIM Through BIM Function Analysis. Proceeding of KICEM Annual Conferenc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2012: No. 11, p 191-193.
crossref
Kang, J.M, Lee, D.Y, Park, J.B, and Lee, M.J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BIM-based Asset Management Model for Maintenance of the Bridg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 No. 5, pp. 3-11. 10.6106/KJCEM.2012.13.5.003.
crossref
Kim, B.G, Kim, J.W, Ji, S.G, and Seo, J.W (2012) A Study on BIM Guidelines for Model-based Infrastructure Management. Journal of KIBIM, Vol. 2, No. 2, pp. 10-16.
crossref
Kim, K.R, Lim, C.W, and Yu, J.H (2010)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BIM-Based Object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in Maintenance Work.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0, No. 1, pp. 231-234.
crossref
Kim, W.J (2016).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BIM Model Requirements in Construction Phase. Master's thesis, Depatment of Architectural Eng, University of Seoul.
crossref
Lee, B.H (2003). A Study on the Operation Optimization and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Water Treatment Plants. Master's thesis, Major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rossref
Lee, M.H, Seo, H.C, and Kim, J.J (2010) A Study on The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Using BIM Project Outcomes. Proceeding of KICEM Annual Conferenc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2010, No. 11, pp. 141-143.
crossref
Moon, S.W, and Park, M.K (2010). Using BIM Technology in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Proceeding of KSCE 2010 Conven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010: No. 10, p 2020-2023.
crossref
Nah, H.S, Choi, W.S, Kim, N.G, Moon, H.S, and Seo, M.B (2013). A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BIM.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2013: No. 5, p 435-436.
crossref
Song, D.H (2012). A Study on the Secure Method of Construction Workspac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hural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crossref
Song, J.K, and Ju, K.B (2011) A Study on Information Delivery Manual bout Disaster Prevention i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s for Super Tall Building.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Vol. 10, No. 6, pp. 91-102.
crossref
Yoon, J.H (2014). A Study of Established System of Protecting Falling Hazardous by BIM for Construction Compan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and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