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배경
1.2 국내외 연구 동향
2. 연구 목적 및 이용 자료
Table 1
Total N | Min. | 1st Qu. | Mean | Median | 3rd Qu. |
---|---|---|---|---|---|
1,450 | 2.0 | 2.3 | 2.7 | 2.6 | 3.0 |
Max. | Std. Dev. | SE of Mean | Skewness | Kurtosis | |
5.8 | 0.56 | 0.015 | 1.44 | 3.09 |
3. 지진 에너지와 G-R 상수 a와 b 분석
3.1 지각 시스템의 LEL 모형 제안
3.2 지진 자료의 분석
Fig. 3

Table 2
No. | Duration | ∑Energy (GJ) | Gutenberg-Richter Relation | ||||
---|---|---|---|---|---|---|---|
a-value | b-value | R2 | F(1,5) | p | |||
1 | 78.08-90.10 | 6,309 | 3.20 | 0.43 | 0.65 | 9.47 | 2.75E-2 |
2 | 81.05-93.06 | 1,176 | 1.83 | 0.47 | 0.68 | 8.32 | 4.47E-2 |
3 | 84.04-95.08 | 1,641 | 2.28 | 0.61 | 0.86 | 29.59 | 2.84E-3 |
4 | 86.07-96.12 | 1,739 | 2.30 | 0.60 | 0.85 | 29.17 | 2.93E-3 |
5 | 91.01-98.10 | 1,794 | 2.46 | 0.60 | 0.89 | 39.90 | 1.46E-3 |
6 | 93.07-00.05 | 1,543 | 2.59 | 0.64 | 0.89 | 41.06 | 1.37E-3 |
7 | 95.08-01.08 | 544 | 3.01 | 0.76 | 0.87 | 25.78 | 7.09E-3 |
8 | 97.01-02.10 | 424 | 2.55 | 0.59 | 0.88 | 21.68 | 1.86E-2 |
9 | 98.10-04.01 | 1,678 | 2.62 | 0.61 | 0.94 | 66.41 | 1.23E-3 |
10 | 00.05-05.04 | 3,220 | 2.53 | 0.58 | 0.90 | 34.73 | 4.14E-3 |
11 | 01.09-06.04 | 3,250 | 2.56 | 0.57 | 0.94 | 60.99 | 1.45E-3 |
12 | 02.10-07.07 | 3,531 | 2.79 | 0.68 | 0.86 | 30.82 | 2.60E-3 |
13 | 04.01-08.09 | 2,179 | 3.12 | 0.79 | 0.96 | 132.50 | 8.67E-5 |
14 | 05.04-09.06 | 606 | 3.40 | 0.86 | 0.98 | 216.90 | 6.06E-4 |
15 | 06.04-10.06 | 567 | 3.49 | 0.91 | 0.98 | 166.90 | 5.67E-4 |
16 | 07.07-11.07 | 211 | 3.39 | 0.85 | 0.94 | 48.81 | 6.02E-3 |
17 | 08.09-12.06 | 173 | 3.59 | 0.92 | 0.93 | 37.45 | 8.77E-3 |
18 | 09.06-13.05 | 1,271 | 2.93 | 0.71 | 0.81 | 17.20 | 1.43E-2 |
19 | 10.07-13.09 | 1,314 | 2.95 | 0.66 | 0.89 | 32.22 | 4.75E-3 |
20 | 11.07-14.08 | 2,404 | 2.88 | 0.65 | 0.76 | 12.67 | 2.35E-2 |
21 | 12.06-15.09 | 2,404 | 2.84 | 0.64 | 0.76 | 12.60 | 2.37E-2 |
22 | 13.05-16.07 | 2,088 | 3.01 | 0.66 | 0.82 | 18.39 | 1.27E-2 |
23 | 13.09-16.09 | 3,229 (15,818)* | 2.72 (2.54)* | 0.60 (0.54)* | 0.81 (0.75)* | 21.58 | 5.60E-3 |
24 | 14.09-16.09 | 2,093 (14,682)* | 2.95 (2.77)* | 0.62 (0.56)* | 0.84 (0.78)* | 26.86 | 3.51E-3 |
25 | 15.09-16.09 | 2,197 (14,786)* | 3.19 (3.03)* | 0.64 (0.58)* | 0.78 (0.71)* | 21.44 | 3.57E-3 |
26 | 16.07-16.11 | 1,386 (13,976)* | 3.77 (3.61)* | 0.67 (0.62)* | 0.85 (0.77)* | 33.76 | 1.14E-3 |
- | Average | 1,884 (3,820)* | 2.88 (2.86)* | 0.67 (0.66)* | 0.86 (0.85)* | - | - |
Fig. 4

Table 3
3.3 지진 에너지의 주기적 변동성 분석
Fig. 5

Fig. 6

Fig. 7

3.4 지진 에너지와 G-R 상수와의 관계 분석
Fig. 8

4. 결론
(1) 위의 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200개의 지진으로 구성된 26개의 지진 샘플(시퀀스)을 구성하여 지진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 최소 173(GJ)에서 최대 15,818(GJ)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크고 우측 편기가 강하게 나타났다. G-R 관계식의 상수 a값은 1.83에서 3.77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거의 편기됨이 없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수 b값은 0.43에서 0.92 사이의 값으로 기존 문헌에 제시된 값들과 비슷한 범위를 보였으며 다소 우측으로 편기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이상치를 제거한 시퀀스별 지진 에너지는 활동기(active period)와 비활동기(inactive period)가 교대로 이어지는 준안정(metastable)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LEL 모형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3) 경주지진 발생 이후 여진(aftershocks)의 영향으로 지진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상승했지만 여진이 줄어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겠지만 우리나라는 지진이 비활동기에 접어들어 지진 에너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4) G-R 관계식의 상수 a와 b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0.77로 비교적 높은 정비례 관계로 나타났으며 상수 a와 지진 에너지와는 -0.46으로 다소 낮은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5) 상수 b와 지진 에너지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0.64로 비교적 높은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