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2); 2017 > Article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기포를 이용한 실리카퓸 분산 및 역학적 특성 평가

Abstract

Silica fume which is a super-fine byproduct of ferrosilicon or silicon metal has Fine Filing effect which fills air gap between hardened cement paste by appropriate mixing, depositing and curing, and Pozzolanic reaction that Cement combine with Calcium hydroxide when hydrated. Silica fume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due to its high fineness; hence it is necessary to use a high-range water reducing agent or superplasticizer in order to disperse it. In addition, cement manufacturers sell products that silica fume is dispersed in the cement by pre-blending it since silica fume has to disperse well in concrete in order to exhibit its performance.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to use it on site due to the high unit cost. Hence in this paper, silica air slurry was produced and mixed for incorporating silica fume on site, and dispersion of silica fume in concrete and its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were observed in accordance with the mixing rate of silica fume and air slurry.

요지

페로실리콘이나 실리콘 메탈의 제조 시 발생되는 실리카퓸은 초미립자의 부산물로 적절한 배합 및 시공으로 시멘트 경화체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충전효과와 포졸란반응으로 경화체를 더욱 밀실하게 만들어 수밀성 및 내구성을 향상켜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성능 콘크리트 제조 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실리카퓸은 높은 분말도로 인해 비표면적이 커서 실리카퓸을 분산시키기 위해 높은 비율의 유동화제나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실리카퓸은 콘크리트 내에서 잘 분산되어야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제조사에서 프리브랜딩을 하여 실리카퓸을 시멘트에 분산시킨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특수한 공정 및 물류비로 인해 원가에 비해 소비단가가 매우 높아 경제성이 떨어져 현장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리카퓸을 현장혼입하기 위하여 실리카 기포 슬러리를 제작⋅혼입하여 실리카퓸 혼입률과 기포 혼입량 별 콘크리트내의 분산효과와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1. 서론

최근의 건설기술과 기간산업기술의 발달로 콘크리트 재료가 대형 구조물, 장대교량, 댐 공사, 초고층 빌딩 등에 사용되어 짐에 따라 콘크리트의 취성개선은 물론 구조물의 균열발생 및 변형 등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고강도의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콘크리트를 고강도화하게 되면 부재단면의 감소에 따른 자중의 감소, 장대화, 고층화, 유효공간의 증가 등이 가능해지며, 재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을 수 있다(Park et al., 2002).
페로실리콘이나 실리콘 메탈의 제조 시 발생되는 실리카퓸은 타 재료에 비해 초미립자의 부산물로 적절한 배합 및 타설과 양생을 통해 시멘트 경화체 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미세충진효과와 포졸란 반응(시멘트가 수화할 때 생성되는 수산화칼슘과 화합하는 반응)을 하고, 콘크리트에 치환할 경우 볼베어링 작용을 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리카퓸은 높은 분말도로 인해 실리카퓸을 분산시키기 위해 높은 비율의 유동화제나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대체하기 위해 시멘트 제조사에서 프리브랜딩을 하여 실리카퓸을 시멘트에 분산시킨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원가에 비해 단가가 매우 높아 경제성이 떨어져 현장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Han et al.,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및 고품질화를 통한 고성능콘크리트의 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리카퓸 수입업체인 K사의 실리카퓸을 이용하여 시멘트 중량에 대해 각각의 실리카퓸을 일정량 치환하고, 기 배합되어진 콘크리트에 실리카퓸과 선발포식 기포를 사용하여 기포의 계면활성작용에 의한 실리카퓸 분산효과를 비교⋅분석하고, 각 실리카퓸과 기포 혼입량에 따른 강도특성과 역학적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실험재료

2.1.1 시멘트

시멘트는 KS L 5201에서 규정에 의거, 규격에 만족하는 국내 S사 생산의 1종 포틀랜드 시멘트(분말도 3,289 cm2/g, 밀도 3.15 g/cm3, 강열감량 0.61 %, 안정도 0.08 %)를 사용하였다.

2.1.2 골재

굵은 골재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Gmax) 10 mm인 세척 쇄석을 사용하였고, 잔골재는 세척 해사를 사용하였다.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Meterial Density Absorption rate(%) Sign
Sand 2.6 0.54 S
Gravel 2.64 1.27 G

2.1.3 실리카퓸

실리카퓸은 각종 실리콘 및 페로실리콘 등의 규소합금을 전기아크식 로에서 제조할 때 배출되는 가스에 부유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분말이다. 비표면적이 약 20,000 m2/kg로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50~60배이다. 입자의 90 %이상이 구형으로 된 초미립자 분말로서, 시멘트 중량의 5 ~ 15 % 정도 치환하면 콘크리트 내부 구조가 치밀하게 되어 고강도를 발현할 수 있으며 재료분리 저항성, 수밀성, 내화학약품성이 향상되고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Table 2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실리카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Lee et al., 2013).
Table 2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ilica Fume
Type Test
Physical properties Type Undensified
Density(g/cm3) 2.2
Ignition loss(%) 3.45 below
Fineness(cm2/g) 150,000∼300,000
Form Sphericity 90%
Particle size(μm) 1
Unit weight(kg/m3) 250∼300
Ingredient Silicon(85% more than)
Chemical properties SiO2(%) 85∼95
Al2O3(%) 1.5 below
Fe2O3(%) 3.0 below
CaO(%) 0.7 below
MgO(%) 2.0 below
SO3(%) 0.2 below

2.1.4 기포제

기포제의 계면활성분자는 친수기와 소수기로 이루어져 있고, 친수기의 경우 물, 소수기의 경우 계면에 배열되어 기포제를 희석한 수용액의 표면장력, 점도 등의 특성을 변화 시킨다. 또한 미세한 연행기포는 볼베어링 효과로 콘크리트의 혼합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C사의 기포제를 이용하여 선발포 기포생성 후 실리카슬러리와 혼입 후 기 배합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Jeong et al., 2012).

2.2 배합설계

본 논문에서는 단위결합재량 460 kg/m3, 물-결합재 비(W/B) 40 %, 잔골재율(S/a) 75 %로 기본조건을 설정, 실리카퓸의 혼입률에 따른 배합설계를 실시하였다. 목표 슬럼프 80 ± 20을 확보하기 위해 고성능AE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실리카퓸은 물과 0.51: 0.49의 비율로 슬러리를 만들고 선발포된 기포와 믹싱하여 만들어진 실리카기포슬러리를 base콘크리트에 추가 혼입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Park et al., 2016).
본 배합설계는 혼화재료 미혼입을 기준배합으로 단위시멘트량 대비 치환율 변동을 두어 실리카퓸(6, 8, 10 %)을 주요 변수로 하고, 각 변수에 콘크리트 배합 후 최종 목표 공기량 15, 20, 30, 35 %의 공기량 변수를 설정하여 강제식 배합을 통해 공기량에 따른 실리카퓸 분산효과를 측정하였다. 공기량 혼입에 따른 실리카기포슬러리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실험방법으로는 압축강도 실험, 슬럼프 및 공기량 실험을 실시하였고, 역학적 특성 실험 항목으로는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실험, 화상분석 실험을 실시하였고, 배합표는 Table 3과 같다(Jeon et al., 2011).
Table 3
Mix Design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Silica Fume
/ W/C (%) S/a (%) Unit Weight (kg/m3) AE Plasticizer Air Contents
W C S G SF
OPC 40 75 184 460 1111 376 - 1.840 -
SF6 432 1065 361 28 2.3 -
SF6-15 4.6 15
SF6-20 20
SF6-30 30
SF6-35 35
SF8 423 1050 355 37 2.3 -
SF8-15 5.0 15
SF8-20 20
SF8-30 30
SF8-35 35
SF10 414 1035 350 46 2.3 -
SF10-15 5.5 15
SF10-20 20
SF10-30 30
SF10-35 35

2.3 실험계획

본 연구에서 평가할 굳기 전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과 같은 기초물성 시험과,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측정, 화상분석 시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과 같은 내구특성을 분석하며, 시험에 적용한 방법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Schedule and Evaluation Method of Basic and Durability Properties
Category Standard Schedule Note
Slump test KS F 2402 After Mix / Air Slurry in Mix / After Sprayed
Air content test KS F 2421 After Mix / Air Slurry in Mix / After Sprayed
Compressive strength test KS F 2405 Age 28, 56 Days
RCPT test KS F 2711 Age 28 days
Image Analyzer ASTM C 457 Age 28 days

2.4 실험장비

2.4.1 콘크리트 스프레이 장비

본 실험에서는 연구실에서 자체 제작한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이 장비는 피스톤 없이 재료의 흐름성과 중력을 이용하여 재료를 스프레이한다. 이 장비는 대형화 되어 있는 장비와 달리 실내실험에 적합한 장비로 Fig. 1은 실험에 사용된 콘크리트 스프레이 사진이다.
Fig. 1
Sprayed Concrete
KOSHAM_17_02_163_fig_1.gif

2.4.2 컴프레셔

노즐 끝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연구에 사용된 컴프레셔는 A사의 390 CFM 급 엔진식 컴프레셔이다. 공기압은 노즐맨이 공기압 밸브를 70 % 정도 개폐하여 6.2~6.5 bar를 유지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2.4.3 기포발생장치

기포제와 물을 혼합하고 공기압을 가하여 기포를 생성해 주는 장비이다. 시간에 의한 정확한 기포의 양을 생산해 낼 수 있다.

2.5 시험방법

2.5.1 경화 전 콘크리트의 실험방법

1) 슬럼프 시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슬럼프 실험은 KS F 2402(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2)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시험
실리카기포슬러리 혼입 전과 스프레이 후의 공기량 시험은 KS F 2421(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공기실 압력 방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3) 질량법에 의한 공기량 시험
실리카기포슬러리 혼입 후의 공기량은 15 ~ 35 %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KS F 2421(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은 10 % 공기량까지 측정할 수 있어 실리카기포슬러리 혼입 후의 공기량을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 방법(질량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기포슬러리 혼입 후의 공기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식에 따라 계산한 후 공기량 값을 산출하였다.
A=TMT×100
여기서
A: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
T: 공기가 전혀 없는 것으로 계산한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kg/m3)
M: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kg/m3)

2.5.2 경화 후 콘크리트의 실험방법

1) 압축강도 시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의 성능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Ф100 × 200 mm의 원형 공시체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재령 28일과 56일에 측정을 하였다.
2)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은 구조물의 염화물 침투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는 중요한 내구성 관련 시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소이온의 침투를 전압차에 의하여 촉진하는 시험법을 채택하였고 염소이온의 침투 저항성을 측정함으로써 각 배합의 투수성을 알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은 KS F 2711(전기 전도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산정된 총 전하량으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한다. 다음 Table 5는 KS 규정에서 제시한 산정된 전하량으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과 비교하는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Table 5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Coulombs Rating
4,000 < High
2,000 ∼ 4,000 Moderate
1,000 ∼ 2,000 Low
100 ∼ 1,000 Very Low
< 100 Negligible
3) 화상분석 시험
경화 후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분석을 위해 분석기기인 HF-MA C01을 사용하여 ASTM C 457(Standard Test Method for Microscopical Determination of Air Void Content and Parameters of the Air Void System in Hardened Concrete)에 준거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화상분석 시험은 리니어트래버스법을 자동화 측정하는 시험으로써 주어진 화상(image)으로부터 정량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분석법이다. 이는 공극의 크기와 분포도, 위치 등을 측정하여 전체 공기량, 간격계수, 비표면적, 공극 크기별 공기량, 공극 크기별 개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장비의 구성 및 사용방법이 전문가적 기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공극 분석 시 해석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학약품 처리 등 특수 처리를 할 필요 없이 측정면을 연마하여 간단히 측정⋅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Fig. 2는 화상분석 기기 HF-MA C01의 모습이다.
Fig. 2
Image Analyzis Machine (HF-C01)
KOSHAM_17_02_163_fig_2.gif

3. 실험결과

3.1 실리카 기포슬러리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

실리카퓸의 혼입량을 결합재 대비 6, 8, 10 %로 치환하고 각각의 혼입률에 공기량 15, 20, 30, 35 %의 기포를 혼입하는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기배합의 콘크리트는 목표 공기량 4 ± 2 %, 목표 슬럼프 80 ± 20 mm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하였다.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혼입되는 실리카퓸와 물의 비율은 0.51: 0.49으로 혼입하여 슬러리를 제작한 후 기포를 혼입하여 기포슬러리를 제작 후 기배합에 혼입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3.1.1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

기포를 혼입하지 않은 변수와 기포를 목표 공기량에 맞게 15, 20, 30 35 %로 혼입한 변수에 따른 공기량 및 슬럼프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기포 혼입률이 높아질수록 기포의 공기 연행효과로 인해 슬럼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재료를 스프레이 한 후에 측정한 공기량은 기포 혼입 후의 공기량 및 슬럼프에 관계없이 3 ~ 5 %로 수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스프레이 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소산되어져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된다. 또한 슬럼프는 스프레이 후 20 ~ 50 mm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Fig. 3은 슬러리 혼입 후 슬럼프와 스프레이 후 공기량을 나타낸 그림이고, 그림 Fig. 4는 스프레이 전⋅후의 슬럼프 비교이다.
Fig. 3
Slump After Mixing Slurry and Air Slurry After Spray
KOSHAM_17_02_163_fig_3.gif
Fig. 4
Slump Test Before & After Spray
KOSHAM_17_02_163_fig_4.gif

3.1.2 압축강도

기포 혼입량에 따른 압축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령 28, 56일에서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기포 혼입량이 낮아짐에 따라 압축강도는 전체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기포 혼입량 15 %와 20 %의 경우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F8-20변수가 60.42 MPa로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으며, SF10-30변수가 38.44 MPa로 가장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급결제를 혼입하지 않았으므로 압축강도의 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높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포를 혼입한 경우의 압축강도는 실리카퓸 혼입량보다 기포 혼입량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5는 각 변수별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며, Fig. 6은 재령 56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5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28 Days Old)
KOSHAM_17_02_163_fig_5.gif
Fig. 6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56 Days Old)
KOSHAM_17_02_163_fig_6.gif

3.1.3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기포 혼입량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재령 28일의 시험편을 대상으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리카퓸을 혼입하지 않은 변수에서는 가장 높은 7,427 coulumbs을 나타내어 “높음”으로 나타났다. 기포를 혼입한 변수에서는 기포 혼입량이 적을수록 침투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포를 혼입한 변수 중 SF10-25 변수에서 가장 낮은 1,192 coulumbs을 나타내어 침투 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7은 실리카퓸 치환율과 기포 혼입량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7
The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KOSHAM_17_02_163_fig_7.gif

3.1.4 화상분석

기포 혼입량에 따른 화상분석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령 28일의 시험편을 대상으로 화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간격계수와 비표면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준변수의 경우에는 간격계수가 0.446 mm, 비표면적이 13.24 mm-1로 측정되었다. 기포의 혼입량이 많아 질수록 간격계수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비표면적은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기포를 혼입하지 않은 변수들은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아 기포를 혼입한 변수에 비해 간격계수는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표면적은 좁게 측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8은 기포 혼입량에 따른 화상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Fig. 8
Image Analysis Te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KOSHAM_17_02_163_fig_8.gif

3.1.5 기포 혼입량에 따른 실리카퓸 분산효과

기포 혼입량에 따른 실리카퓸의 분산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재령 28일 강도의 표준편차 및 간격계수를 분석하였다.
실리카퓸을 혼입하지 않은 OPC 기준변수에서는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471.5 Kgf임을 알 수 있다. SF6 변수가 3312.1 Kgf를 나타내어 표준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기포를 혼입하지 않은 변수도 표준편차와 변동계수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기포 혼입량이 많을수록 표준편차와 변동계수가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실리카퓸과 기포가 가장 많이 혼합된 SF10-35 변수의 표준편차가 242.8 Kgf로 측정되어 가장 작은 표준편차로 나타났다. Fig. 9는 기포 혼입량에 따른 압축하중 표준편차, Fig. 10은 기포 혼입량에 따른 변동계수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 9
Standard Devi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KOSHAM_17_02_163_fig_9.gif
Fig. 10
Coefficient of Vari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lurry
KOSHAM_17_02_163_fig_10.gif

4. 결론

본 논문에서는 기포 혼입량에 따른 실리카퓸의 분산효과 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리카퓸을 결합재 대비 6, 8, 10 % 혼입하고, 각각의 혼입량에 0, 15, 20, 30, 35 %의 기포를 혼입하여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기포 혼입량에 따른 실리카퓸 분산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1) 압축강도 측정결과 실리카퓸 혼입량 증가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리카퓸 혼입 시 염소이온 침투량이 미혼입 변수보다 최대 14 %까지 줄어들어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어, 강도 및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에 매우 우수한 혼화재료라 판단된다.

  • 2) 기포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분석 시험결과 기포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격계수가 줄어들고,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동결융해 저항성 및 박리에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량의 기포를 혼입한 변수에선 기포를 혼입하지 않은 변수에 비해 압축강도가 향상되어 일정량의 기포 혼입은 압축강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결과 기포는 실리카퓸의 분산효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포의 계면활성효과가 높은 분말도로 인해 분산이 되지 않는 실리카퓸의 성질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압축강도 증진효과와 간격계수가 작아지고 비표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동결융해 저항성 및 표면박리 저항성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지역특성화사업 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13RDRP B066780)과 건설기술연구사업 방호방폭연구단(과제번호: 13SCIPS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Han, S-Y (2014). Dispersion of Silica Fume by Air Slurry and its Effect on Mechanical Properties at Ready Mixed Concre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Jeon, C-K (2011) Evaluation of Rheology and Pumpability of Crushed-Sand Shotcrete with Mineral Admixtur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Jeong, J-Y (2012)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Using Methods and Types of Foaming Agent. Ph.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KSF 2402 (2007) Method of test for slump of concrete. KS.
crossref
KSF 2405 (2010) Method of test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pressure method. KS.
crossref
KSF 2421 (2006) Method of test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pressure method. KS.
crossref
KSF 2711 (2002) Testing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KS.
crossref
Lee, K-R (2013) Durability Assessment for Crushed Sand Wet-mix Shot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Lee, K-R (2015) Dispersibility and Flexural Toughness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ment Cellular Sprayed Concrete by added Foam.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6, pp. 4192-4200. 10.5762/KAIS.2015.16.6.4192.
crossref
Park, J-H (2002). The property of concrete using silica fume. Dong-Guk University.
crossref
Park, M-H (2016) Rheology Properties of Cellular Sprayed Concrete by Adding Powd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