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 저류지 건설에 따른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효과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id Sewer by Permanent Pond Construc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17(1):87-9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7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1.87
이범섭*, 고건호**, 강호영***, 문영일
* Member,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South Korea
** Vice General Manager, Urban Planning Department, Dohwa Engineering Co., Ltd
*** Member, Ph.D. Cours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South Korea (Tel: +82-2-6490-5600, Fax: +82-2-6490-5604, E-mail: ymoon@uos.ac.kr)
Received 2016 October 28; Revised 2016 October 31; Accepted 2017 January 12.

Abstract

본 연구는 부지조성의 도시 불투수성 포장재로 유출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빈번하게 도시침수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첨두 홍수량 증가로 적용되는 영구 저류지 대안으로 개발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설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일원 부지조성 시 50년빈도 첨두 홍수량은 부지조성 전 2.54m3/sec, 부지조성 후 2.61m3/sec로 부지조성 후 2.8%증가에 따른 첨두 홍수량 저감대책으로 기존의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비교하였다. 50년빈도 첨두 홍수량은 영구 저류지 적용시 영구 저류지 미적용 대비 28%감소하였고,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적용시 10%감소하였다. 따라서, 부지조성 후 2.8%증가한 첨두 홍수량 저감대책으로 설치한 영구 저류지 대안으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적용할시 첨두 홍수량 저감대책으로 가능하며, 영구 저류지로 인한 별도의 부지확보가 불필요하고 안전성 및 경관성 확보로 향후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rans Abstract

During the site preparation stage, urban area where covered by the impermeable surface materials, increased the runoff coefficient and flood peak, which was the source of the cause of urban flooding, frequently.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the installation of aid sewer as an alterative solution of the permeant pond. In this study, it compared between the existing permeant pond and aid sewer to reduce peak flood based on the 50 annual precipitation frequency data. The study area is Sinjeong dong, Namwon city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ult, the peak flood has been increased by 2.8% before and after the conducing the site preparation. Before it was 2.54m3/sec which it turned into 2.61m3/sec after. For the 50 annual precipitation peak flood, 28% decreased when the permeant pond was applied, and 10% decreased by applying the aid sewers. Therefore, the aid sewers are enable to apply it as alternative way for permeant pond as reduction measures for 2.8% increased peak flood after the site preparation and the aid sewers does not require to secure the additional space like permeant pond. In addition, it is beneficial in terms of safety and landscape in the fu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pect.

1. 서론

도시는 삶의 질 향상 및 주거 공간 제공에 기여하였지만 장기적, 지속적 성장을 위해 부지조성을 함으로서 환경 훼손 역시 불가피했다. 이는 각종 재해에 대한 대처능력 감소, 특히 수방대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불러왔다. 부지조성의 불투수성 포장재로 인하여 우기시에는 홍수 피해를 걱정해야 하고, 건기시에는 물부족으로 지하수 고갈 및 하천 건천화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 물순환은 선순환이 아닌 악순환으로 변해가고 있다. 따라서, 부지조성 시 투수 면적에 따른 유출량 증가를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김영주(2010)는 집중호우 발생시 유출특성을 모의하고, 침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하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박준호(2008) 등은 LID를 적용하여 U.S. EPA에서 산정한 LID 기법별 CN값을 바탕으로 각 소유역에 LID를 적용함으로서 대상유역의 개발 전, 개발 후, LID 적용후에 대한 유출량과 첨두 유량이 약 20% 감소되는 유출 감소 특성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불투수 면적에 따른 유출량 증가를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 지역의 홍수 해결방법으로 유출계수 증가 및 유달시간 단축에 따라 도시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법으로 영구 저류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영구 저류지를 설치하기에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부지 매입비 및 미관을 고려하고 안전 등 향후 유지관리에 지속적인 투자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지조성의 첨두 홍수량 증가로 적용되는 영구 저류지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개발하였다.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관로의 구조 및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시킴으로 통수량을 조절하여 홍수방지기능과 더불어 빗물의 지하침투를 통한 지하수자원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우수관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호우 발생시 기존 우수배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빗물 통수능력을 증가시켜 홍수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일원의 부지조성 시 50년빈도 첨두 홍수량을 기존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비교 하였으며, 부지조성 후 첨두 홍수량 2.8% 증가에 따른 저감 대책으로 영구 저류지 적용시 28% 감소하였고,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적용시 10% 감소로 증가하는 첨두 홍수량 저감대책으로 가능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여름철 확률 년수 이상의 비가 오더라도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통하여 통수능력은 증가시키며 봄, 가을에 내리는 소량의 비는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침투공을 통하여 지중 수자원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2. 대상유역 및 분석방법

2.1 대상유역

연구지역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일원을 대상으로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대상지 지형은 개발 전에는 구릉지형으로 농경지 및 임야로 이루어졌으나, 개발 후에는 부지조성으로 인하여 상업지역으로 변경되었다.

2.2 분석방법

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유효우량의 산정방법, 대상유역의 규모, 유역의 형태, 지질 및 식생피복 등을 고려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가지유역으로 미공병단에서 제공하는 HEC-1, HEC-HMS 모형으로 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보다는 일반적으로 도시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되는 RRL방법, ILLUDAS모형, EPA-SWMM 모형 중 미국환경청에서 개발한 EPA-SWMM 모형을 활용하였다.

2.3 강우 자료 수집

강우 자료는 남원신정지구 부지조성사업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서(2012.7, 남원시) 관련 자료를 적용하였다. 시우량(hourly rainfalls) 자료를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로 변환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해당 지속기간은 10분, 1시간∼24시간까지는 1시간 간격으로 남원관측소의 38개년(1973 ~ 2010년)의 주요 지속기간별 고정시간 연최대강우량이 사용되었다. 강우 빈도해석에 필요한 강우량자료는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이므로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의 수집이 곤란한 경우에는 수집된 시간단위의 고정시간 강우량 자료인 시우량 자료를 분단위의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로 변환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은 Table 1과 같으며, EPA- SWMM 시뮬레이션 분석시에는 huff방법의 무차원 누가분포를 사용하여 10분단위 지속시간을 적용하였다.

Duration of Rainfall Probability Amount of Rainfall

2.4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개요

도시침수예방 및 지하수자원 확보를 위한 우수관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 관로의 구조 및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통수량을 조절하여 홍수를 방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자원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우수관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지조성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등의 불투성 포장재 사용으로 강우시 빗물의 유출량이 이전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되며, 지표 유출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침수방지 및 우리나라 강우 특성을 감안하면 여름철 장마철을 제외하고는 강우량이 모자라서 지하수 부족으로 이어져 하천 건천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본 연구는 여름철 내리는 집중 호우는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설치하여 빗물 통수 능력을 증가시키며, 원활한 빗물처리 능력을 갖추었고, 건기시 봄, 가을에 내리는 소량의 빗물은 하천으로 직접 방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회 부관 침투공을 통하여 지중으로 빗물을 침투하게 하여 부족한 지하수 확보에 기여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기존의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Table 5. Flood Peak Comparison에 나타나듯 집중 호우 발생에도 빗물처리 통수능력을 증가시키고, Fig. 3. Plan, Section(Aid Sewer) (c) Section B-B’ (Small Amount of Rain)와 같이 빗물 저류 효과 및 빗물 지중 침투 효과도 수행한다.

Flood Peak Comparison

Fig. 3

Plan, Section (Aid Sewer)

Fig. 1

Comparative Study of Permanent Pond and Aid Sewer

Fig. 2

Study Area

2.4.1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시스템의 주요 특징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설치 구조는 지중에 설치되는 우수 상부 맨홀①과 하부 맨홀② 사이에 우수 본관③ 및 우회 부관④이 함께 설치되는 중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 맨홀①과 하부 맨홀②은 우수의 흐름과 관련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수위가 높은 상류측은 상부 맨홀① 수위가 낮은 하류측은 하부 맨홀②이 된다.

우회 부관④ 주요 역할은 초기 빗물 유입시 빗물은 우회 부관④ 유입부⑥로 유입되어 우회 부관④에 설치된 침투공⑦을 통하여 빗물은 지중으로 침투된다.

우회 부관④ 침투공⑦의 지중 침투량을 지나 우회 부관④을 통과한 빗물은 하부 맨홀②로 유입되어 하부 맨홀② 유출부③ 미만으로 수위 유지때의 빗물은 상부 맨홀① 하부 맨홀② 우회 부관④에서 저류 역할을 하며 홍수 지체 효과를 수행한다. 이때, 저류된 빗물은 시간이 지나면 우회 부관④의 침투공⑦을 통하여 전량 지중으로 침투되어 수자원 확보를 한다.

우회 부관④은 침투공⑦을 통해서 침투관 역할과 통수관 역할을 함께하며, 우수 본관③을 우회 및 하부로 설치되며, 우회 부관④은 우회 설치때 관로의 연장을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우회 부관④은 하부에 다수의 침투공⑦이 100cm 간격으로 직경 25cm 형성된다.

우회 부관④ 인입구⑥은 상부 맨홀① 우수 본관③ 인입구⑤ 수위보다 하부에 설치된다.

우수 본관③은 홍수시 빗물을 신속하게 유출시키는 계획강우빈도에 의해 설계된 규모로 설치된다.

집중 호우로 우회 부관④ 침투공⑦의 지중 침투량보다 많은 빗물 유입시 상부 맨홀①과 하부 맨홀②의 수위 상승때는 하부 맨홀② 유출부③을 통하여 빗물을 신속히 유출시켜 홍수시 원활한 우수 배제 역할을 수행한다.

2.4.2 봄, 가을 소량 빗물 처리 방안

봄, 가을 소량의 빗물 유입시 처리 방안의 단면 구성은 Fig. 3. Plan, Section (c) B-B’와 같다. 도로 양측의 우수받이를 통해 상부 맨홀①에 유입된 빗물은 우회 부관④ 유입부⑥로 유입되어 침투공⑦을 통하여 빗물은 지중으로 침투되고, 침투공을 지나온 침투량보다 많은 빗물은 우회 부관④을 통과후 하부 맨홀②에 유입되고 하부 맨홀② 유출부③ 미만으로 수위 유지때의 빗물은 저류 역할을 하며 홍수 지체 효과를 수행한다. 이때, 저류된 빗물은 시간이 지나면 우회 부관④의 침투공⑦을 통하여 전량 지중으로 침투되어 수자원 확보에 이바지 한다. 저류된 빗물이 침투공을 통해 지하수로 유입된 유량만큼 유량은 축소되어 하류측 우수 관거의 유량은 줄어든다.

2.4.3 여름 집중 호우 처리 방안

여름철 집중 호우시 발생한 빗물 처리방안 단면 구성은 Fig. 3. Plan, Section (d) B-B’와 같다. 집중 호우로 우회 부관④ 침투공⑦의 지중 침투량보다 많은 빗물 유입시 상부 맨홀①과 하부 맨홀②의 수위가 상승되어 상부 맨홀① 우수 본관 유입부⑤을 통하여 하부 맨홀② 유출부③로 신속하게 빗물을 배제시켜 홍수시 원활한 빗물처리 능력을 갖췄다.

2.4.4 우수 본관 우회 부관 효과

우수 본관③은 반드시 신설로 설치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우수 관로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우회 부관④ 결합되면서 통수 능력은 증가되며, 강우빈도 이상의 집중 호우에도 증가된 통수 능력으로 원활한 우수 배제 역할을 수행한다.

우수 본관③과 우회 부관④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 이에 의한 우수의 통수능력은 강우강도 50년 빈도 이상에 대하여도 홍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기존의 우수관로를 보다 큰 관경의 것으로 교체하지 않고서도 동일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바, 아열대기후화와 더불어 최근 더욱 빈번해지는 국지성 호우에 대하여도 우수관로의 교체비용보다 적은 비용으로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까지도 가지게 하는 것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기존 부지조성시 적용하고 있는 영구 저류지는 별도의 부지확보가 필요하며 경관 및 안전성에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나,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도로변 녹지 하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부지 확보가 불필요하여 부지조성으로 인한 분양면적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신속한 배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정도의 우수에 대하여는 하천 등으로 직접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중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자원 확보 효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3. 분석 결과

3.1 부지조성 전⋅후 첨두 홍수량

본 연구지역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일원의 부지조성 전⋅후 첨두 홍수량은 남원신정지구 부지조성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2012.7, 남원시)에서 Fig. 4와 같이 도출되었다.

Fig. 4

The Front and The Back Site Preparation Stage Flood Peak

Fig. 5

Plan (Site Preparation Stage)

Fig. 6

Plan (Permanent Pond)

Fig. 7

Plan (Aid Sewer)

Fig. 8

Flood Peak Review

3.2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비교

본 연구에서는 부지조성의 불투성 포장재 사용으로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본 연구지역 A유역에 대해서 부지조성 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을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설치했을 경우를 비교하였다.

3.2.1 부지조성후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

유출모형(EPA-SWMM) 시뮬레이션으로 부지조성후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 검토결과는 Table 2와 같다.

Flood Peak (Site Preparation Stage)

사업지구 유출부 D800mm에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은 60분에 10년(1.548m3/sec), 20년(1.829m3/sec), 30년(1.993m3/sec), 50년(2.190m3/sec), 100년(2.477m3/sec)으로 검토되었다.

3.2.2 영구 저류지 적용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

유출모형(EPA-SWMM) 시뮬레이션으로 영구 저류지(50년빈도)를 적용하였을 경우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Flood Peak (Permanent Pond)

영구 저류지를 적용했을 경우 사업지구 유출부 D800mm에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은 60분에 10년(1.085m3/sec), 20년(1.291m3/sec), 30년(1.418m3/sec), 50년(1.586m3/sec), 100년(1.810m3/sec)으로 영구 저류지를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0년(30%), 20년(29%), 30년(29%), 50년(28%), 100년(27%)의 첨두 홍수량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3.2.3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적용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

유출모형(EPA-SWMM) 시뮬레이션으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적용하였을 경우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을 검토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Flood Peak (Aid Sewer)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적용했을 때 사업지구 유출부 D800mm에서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은 60분에 10년(1.366m3/sec), 20년(1.627m3/sec), 30년(1.771m3/sec), 50년(1.975m3/sec), 100년(2.243m3/sec)으로 영구 저류지를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0년(12%), 20년(11%), 30년(11%), 50년(10%), 100년(9%)의 첨두 홍수량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침투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되는 침투량은 우수유출저감 시설의 종류, 구조, 설치 및 유지관리기준(2010.7, 소방방재청)의 설계침투량 산정공식 Eqs. (1)과 같이 적용하였으며, 여기서 C는 지하수위 및 공극막힘 영향계수로 0.9×0.9 = 0.81, K0은 토양의 포화투수계수로 1.5×10-4cm/sec, Kf는 (1.676W-0.137)×H+1.496 W2+0.671W-0.015 (W : 시설폭, H : 설계수두) 으로 우회 부관의 침투공을 통해 침투되는 침투량은 0.012m3/sec이다.

(1)= C × K0 × Kf

3.3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비교 검토 결과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Fig. 4에서 부지조성 후 A유역의 첨두 홍수량은 2.8% 증가하였다. 따라서, 국민안전처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실무지침에 의거 부지조성 후 첨두 홍수량 증가에 대한 저감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현재 대부분 부지조성사업에서는 50년빈도 규모의 영구 저류지 설치하고 있으나, Table 5. 결과와 같이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첨두 홍수량에 대하여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4. 결론

본 연구는 최근 기상이변과 도시열섬현상으로 호우가 잦아져 도시침수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으며, 도시의 불투수성 포장재 증가로 인한 우기시의 홍수피해에 대하여 부지조성 시 첨두 홍수량 저감 대책으로 적용한 영구 저류지와 개발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비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 저류지의 대안으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을 적용하여 우수배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빗물 통수능력을 증가시켜 관로의 구조 및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통수능력을 향상시켜 홍수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과정은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일원으로 부지조성 후 50년빈도 첨두 홍수량 2.8%에 대하여 재현기간별 첨두 홍수량을 영구 저류지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에 대하여 적용하여 영구 저류지 대안으로 적용이 가능한지를 연구하였다. 부지조성후 영구 저류지 규모는 60m2이며, 50년빈도 첨두 홍수량은 영구 저류지 적용시 미적용 대비 28%감소하였고,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적용시 50년 첨두 홍수량은 10%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적용시 영구 저류지 대안으로 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지조성 시 첨두 홍수량 증가에 대한 저감 대책으로 현재는 영구 저류지를 적용하고 있으나, 영구 저류지 설치 시에는 별도의 부지 확보가 필요하며 경관 및 안전성, 향후 유지관리에도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어려움이 있으나, 기존 우수배제 시스템과 연계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도로변 녹지 하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부지 확보가 불필요하여 부지조성으로 인한 분양면적이 증가하는 효과 등으로 향후 부지조성 시 새로운 첨두 홍수량 저감 대책이 될 것이며, 경제성 비교 검토 결과에서도 영구 저류지 설치 102백만원, 우회 부관 설치 27백만원으로 LCC(0.2674), 비용감소(73.26%), 성능향상(3.04%), 가치향상(11%)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의 집중호우 발생시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은 빗물 통수량을 증가시켜 홍수를 방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봄, 가을의 소량의 빗물은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 침투공을 통하여 지하로 침투시켜 지하수자원 확보에 기여토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우수 본관의 우회 부관는 최근 부지조성 시 적용하고 있는 저 영향 개발기법(LID, Low Impact Development)의 새로운 방안으로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물관리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15AWMP-B066744-0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Hyun K. H, Kim J. N, Oh J. I, Kim G. T, Lee G. H, Kim Y. H. Application of the Rainwater Management and Cnstructed Wetland System for Imlpementation of Water-cycle in Asan New town 2008.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mpervious surfaces and application development indicators for watershed management efficiency 2003.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Only in the development of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penetrate underground facilities for increasing rainfall infiltration Research 1997.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Study on Prediction and Reduction of runoff excellent just due to development 2006.
Korea Land Corporation. Parks, green spaces indicators Research 1993.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tochastic Analysis of urban rivers and sewers on the plan number plan setting rainfall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The standard for sewerage facilities 2011. p. 31–41.
Namwon (2012.7). Namwon Sinjeong Urban Development Disaster Impact Assessment
Park J. H, Yoo Y. G, Kim J. G, Park Y. K, Yoon H. T, Lim K. J.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with LID Adaptation Using the SWM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008;24(6):806–816.
Seoul Development Institute. Excellent yuchulryul reduction measures 1995.
Seoul National University. Effluent storage, research on natural drainage system design guidelines for penetration 199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uration of Rainfall Probability Amount of Rainfall

Return Period Duration of Rainfall Probability Amount of Rainfall (mm)
10 min 60 min 120 min 180 min 240 min 360 min 540 min 720 min 1080 min 1440 min
10years 21.6 61.9 77.8 91.3 98.8 110.8 118.6 154.5 174.7 185.4
20years 24.2 70.0 87.1 102.6 110.8 124.6 133.6 175.4 197.9 207.9
30years 25.6 74.7 92.5 109.1 117.7 132.6 142.2 187.4 211.2 220.9
50years 27.4 80.6 99.2 117.3 126.4 142.5 152.9 202.4 227.9 237.1
100years 29.9 88.6 108.2 128.2 138.0 155.9 167.4 222.7 250.4 259.0

Table 2

Flood Peak (Site Preparation Stage)

Return Period Flood Peak (m2/sec)
10 min 60 min 120 min 180 min 240 min 360 min 540 min 720 min 1080 min 1440 min
10years 0.844 1.548 1.258 1.077 0.903 0.701 0.507 0.509 0.391 0.308
20years 1.003 1.829 1.447 1.233 1.026 0.794 0.578 0.585 0.443 0.346
30years 1.092 1.993 1.556 1.324 1.100 0.850 0.617 0.624 0.477 0.371
50years 1.201 2.190 1.695 1.434 1.194 0.923 0.668 0.676 0.516 0.398
100years 1.372 2.477 1.880 1.590 1.311 1.014 0.735 0.750 0.569 0.435

Table 3

Flood Peak (Permanent Pond)

Return Period Flood Peak (m2/sec)
10 min 60 min 120 min 180 min 240 min 360 min 540 min 720 min 1080 min 1440 min
10years 0.514 1.085 ▼ 30% 0.917 0.799 0.676 0.526 0.383 0.386 0.297 0.235
20years 0.618 1.291 ▼ 29% 1.060 0.919 0.770 0.598 0.437 0.444 0.337 0.264
30years 0.678 1.418 ▼ 29% 1.147 0.989 0.827 0.641 0.467 0.474 0.363 0.283
50years 0.757 1.586 ▼ 28% 1.251 1.074 0.899 0.697 0.506 0.513 0.392 0.303
100years 0.873 1.810 ▼ 27% 1.396 1.194 0.989 0.767 0.556 0.569 0.433 0.332

Table 4

Flood Peak (Aid Sewer)

Return Period Flood Peak (m2/sec)
10 min 60 min 120 min 180 min 240 min 360 min 540 min 720 min 1080 min 1440 min
10years 0.680 1.366 ▼ 12% 1.140 0.984 0.828 0.643 0.466 0.468 0.360 0.284
20years 0.815 1.627 ▼ 11% 1.314 1.128 0.942 0.729 0.531 0.539 0.408 0.319
30years 0.891 1.771 ▼ 11% 1.418 1.213 1.010 0.781 0.567 0.575 0.439 0.342
50years 0.993 1.975 ▼ 10% 1.543 1.314 1.097 0.849 0.615 0.622 0.475 0.366
100years 1.141 2.243 ▼ 9% 1.716 1.459 1.206 0.933 0.676 0.690 0.525 0.401

Table 5

Flood Peak Comparison

Division Site Preparation Stage (m2/sec) Permanent Pond (m2/sec) Aid Sewer (m2/sec)
10 years 1.548 1.085 (▼30%) 1.354 (▼13%)
20 years 1.829 1.291 (▼29%) 1.615 (▼12%)
30 years 1.993 1.418 (▼29%) 1.759 (▼11%)
50 years 2.190 1.586 (▼28%) 1.963 (▼10%)
100 years 2.477 1.810 (▼27%) 2.231 (▼10%)

Fig. 1

Comparative Study of Permanent Pond and Aid Sewer

Fig. 2

Study Area

Fig. 3

Plan, Section (Aid Sewer)

Fig. 4

The Front and The Back Site Preparation Stage Flood Peak

Fig. 5

Plan (Site Preparation Stage)

Fig. 6

Plan (Permanent Pond)

Fig. 7

Plan (Aid Sewer)

Fig. 8

Flood Peak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