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넓은 보의 횡방향 전단보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of Concrete Wide Beam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6;16(4):23-2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August 30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4.23
김민숙*, 서아영**, 이영학
* Member.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Tel: +82-31-201-2864, Fax: +82-31-205-3815, E-mail: leeyh@khu.ac.kr)
Received 2016 April 11; Revised 2016 April 19; Accepted 2016 June 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넓은 보의 전단파괴 실험을 수행하여 넓은 보의 전단거동을 평가하였다.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과 전단보강재의 개수를 변수로 하여 넓은 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7개 시험체의 실험을 통해 횡방향 보강간격이 좁을수록 넓은 보의 전단강도가 증가하며, 전단균열의 균열각이 45°에 근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넓은 보의 횡방향 보강간격을 고려하는 전단강도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단 실험을 통해 계측한 전단강도와 ACI 318-14 및 본 저자들의 제안식으로 구한 전단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Trans Abstract

In this paper, A test performed to evaluate the shear capacity of wide beam reinforced with steel plate.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and number of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of wide beams were considered as parameters to analyze the shear capacity of the wide beam. Seven specimen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hear strength increased and the shear crack angle closed to 45° as the transverse spacing of shear reinforcement decreased. In this study, the shear strength equation was proposed to consider the transverse spacing for design of wide beam by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st results and shear strength by the proposed equation generally shows good agreement.

1. 서론

일반적으로 보의 폭이 기둥의 폭 보다 넓거나 보의 폭이 보의 높이의 2배 이상이 되는 경우를 넓은 보(Wide Beam)로 분류한다. 넓은 보는 일반 보에 비해 제한된 층고에서 공간 활용성이 높은 장점으로 인하여 필로티와 지하주차장 등 층고가 높지 않고 연직하중이 크지 않은 곳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넓은 보의 전단보강을 일반적인 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주철근에 스터럽을 감아 보강할 경우, 보의 너비 방향인 횡방향으로 배치된 스터럽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Anderson and Ramirez(1989)는 스터럽 간격이 넓어지면 스터럽과 주철근 사이에 대각 압축 응력(Diagonal Compression Stress)이 집중되어 전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넓은 보의 전단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다수의 전단보강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Serna-Ros et al. (2002)은 효과적인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배치를 위하여 16개의 넓은 보에 대한 전단실험을 수행하여 동일한 전단보강량을 가지더라도 횡방향 보강간격에 따라 전단성능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Lubell et al. (2009)은 넓은 보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터럽 레그의 간격을 변수로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터럽 레그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전단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규명하고 횡방향 보강간격의 최대간격을 제안하였다. Shuraim(2012) 또한 다양한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형상 및 배치, 간격을 변수로 16개의 Narrow Column으로 지지된 넓은 보 실험을 진행하여 스터럽 레그수를 2개로 배치하는 것 보다 여러 개를 배치하여 스터럽 레그의 간격을 감소시킨 경우에 전단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CI 318의 스터럽 전단강도 산정 기준의 스터럽 사이 간격(s) 대신 횡방향 보강간격을 고려하여 넓은 보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강간격(seq)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넓은 보에서 횡방향 보강간격이 전단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ACI 318-14(2014) 등의 현행 설계 규준에서는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간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방향 보강간격과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개수가 넓은 보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철근 스터럽을 사용하는 대신, 기존 연구(Choi et al., 2012)에서 전단보강에 효과적임이 규명된 유공형 전단보강재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공형 전단보강재는 주철근에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전단보강재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인하여 피복두께의 손실이 감소되며 자중감소의 장점이 있다. 전단보강재로 사용된 강판의 형상을 Fig. 1에 나타내었다.

Fig. 1

Shape of Steel Plate.

본 논문에서는 횡방향 보강간격과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개수를 변수로 하여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배치가 넓은 보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을 진행하여 횡방향 보강간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전단강도 산정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얻은 전단강도와 ACI 318-14 및 제안식의 전단강도산정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규준에서 제시하는 전단강도의 산정 기준을 비교·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ACI 318-14의 전단강도 산정 기준

ACI Building Code(ACI 318-14)에서 콘크리트 보의 전단 강도(Vn)는 Eqs. (1)에 나타낸 것처럼 콘크리트의 전단강도와 전단보강재의 전단강도를 합하여 산정한다. 콘크리트 전단강도(Vc)는 Eqs. (2)를 통해 계산한다.

(1)Vn=Vc+VsL
(2)Vc=16(f'cbwd)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bw는 보의 폭, d는 보의 유효깊이를 의미한다.

전단보강재의 전단강도(VSL)는 Eqs. (3)으로 구한다.

(3)VsL=AvfydsL

여기서 Av는 전단보강재의 단면적, fy는 전단보강재의 항복강도이다. sL은 넓은 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전단보강재 사이의 간격을 말하, VsL0.33f'cbwd일 때 d/2 이하 또는 600 mm 이하, VsL0.33f'cbwd일 때 d/4 이하 또는 300 mm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철근 스터럽 대신 유공형 강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유공형 강판의 단면적(Av)은 Eqs. (4)로 계산하며, wsts는 각각 유공형 강판의 수직스트립의 폭과 두께를 의미한다.

(4)Av=wsts

3. 실험

3.1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시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KS F2405 (2012) 기준에 따라 재령 28일 후 측정한 결과 평균 21 MPa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철근은 지름 22 mm, 탄성계수 200 GPa과 항복강도 500 MPa의 이형철근을 사용하였다. 전단보강재로 사용된 강판은 탄성계수 200 GPa과 항복강도 402 MPa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재료의 물성치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Material Properties

3.2 시험체 제작

본 실험에서 강판으로 보강된 7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의 단면은 800 mm×300 mm, 총 경간은 3100 mm이며 양쪽에 200 mm의 정착 길이를 두어 순경간은 2700 mm로 하였다. 모든 시험체의 유효깊이는 225.5 mm로 하고 지점에서 가력지점까지의 거리와 유효깊이의 비인 전단경간비(a/d)는 3.75로 설정하였다.

강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한 넓은 보에서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에 따른 전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전단보강재의 중심 간 거리로 결정된다. Fig. 2와 같이 전단보강재의 중심 간 거리는 sw로 표시하며 151, 262, 321, 373, 548 [mm]로 설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횡방향 보강간격에서 횡방향 보강재 개수가 전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횡방향 보강간격은 동일하되, 전단보강재의 개수를 2개, 3개, 4개로 배치하여 실험하였다. 모든 시험체의 종방향 전단보강 간격 120 mm 및 강판의 단면적과 항복강도의 곱으로 산정되는 전단보강량(Avfy)은 53.06 kN로 동일하게 하였다. 이때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개수를 변수로 하는 경우 전단보강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강판의 수직스트립의 폭과 개수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시험체의 단면을 Fig. 2에 나타내었고 7개의 시험체 일람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Fig. 2

Transverse Cross-Section of Specimens.

Details of Specimens

3.3 실험 방법

시험체 중앙에서 450 mm 떨어진 지점에서 2점 가력하여 최대용량 5000 kN의 유압식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으로 하중을 재하 하였다. 이때 넓은 보의 너비 방향으로 균일한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너비 200 mm의 가력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중변화에 따른 시험체의 수직 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체 중앙에 변위계(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설치하였다. 가력 지점과 시험체 세팅을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

Test Setup.

4. 실험 결과

4.1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횡방향 보강간격 이외의 전단보강량, 유효깊이 등을 동일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ACI 318-14의 전단강도 산정 기준으로 계산한 전단강도는 모든 시험체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횡방향 보강간격을 변수로 하는 시험체의 실험결과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Experimental Results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Fig. 4에 시험체의 최대하중과 이때의 시험체 중앙에서 중력방향으로 발생한 처짐 곡선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횡방향 보강간격이 시험체의 최대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강간격이 가장 좁은 W067-2를 제외한 시험체에서 보강간격이 넓어질수록 최대하중이 낮아지고 시험체 중앙의 수직 변위가 감소하였다. 또한 횡방향 보강간격과 유효깊이의 비(sw/d)에 따른 실험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강도를 ACI 318-14 기준의 공칭전단강도로 나누어 전단강도비를 구하여 Fig. 5에 나타내었다. sw/d가 1에 가장 근접한 W116-2에서 가장 높은 전단강도비를 보였으며, sw/d가 가장 큰 W243-2를 제외한 모든 시험체의 전단강도비는 1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설계 규준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는 넓은 보의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은 Lubell et al. (2009)Shuraim(2012)이 제안한 d 이하, Choi et al., 2015)이 제안한 1.4d 보다 큰, 1.65d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Fig. 5

Shear Strength Ratio of Specimens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4.2 전단보강재의 개수

Fig. 6에 횡방향 보강개수를 변수로 하는 시험체의 설계강도와 실험을 통해 얻은 전단강도를 비교하였다. 보강간격이 동일하여도 전단보강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의 전단성능이 향상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전단보강재의 개수가 2개인 W116-2에서 가장 높은 전단성능이 발휘되었다. 이후 4개와 3개의 전단보강재를 갖는 W116-4, W116-3 순으로 높은 전단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횡방향 전단보강재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 보다 보강간격을 좁게 설정하는 것이 전단성능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Fig. 6

Comparison of Design Strength and Shear Strength by Number of Shear Reinforcement

4.3 파괴모드 및 균열 양상

시험체의 초기균열은 시험체 중앙부근에서 휨 응력에 의한 휨 균열로 나타났다.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 중앙부에 휨 균열수가 증가하였으며 일부는 시험체 단부쪽으로 진전되었다. 또한 지지점에서 유효길이 만큼 떨어진 지점 부근에서 발생한 휨 균열이 대각선 양상의 휨 전단균열로 발전하였다. 최대하중 발생 이후 시험체 단부로 확대되던 균열 사이의 균열 폭이 증가하였고, 이후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지지점과 가력점을 잇는 전단파괴가 발생하였다. Fig. 7에 시험체에 하중을 가하여 발생된 균열양상을 나타내고 지지점과 가력점 사이를 잇는 전단균열의 균열각을 표시하였다.

Fig. 7

Crack Pattern of Specimens.

실험결과 횡방향 보강간격이 전단균열의 균열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터럽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45°에 근접한 균열각이 발생하며 넓어질수록 균열각이 감소한다는 Lotfy et al. (2014)의 연구결과처럼, 강판의 횡방향 보강간격이 좁을수록 45°에 근접한 균열각이 발생하며 넓어질수록 균열각이 감소하였다. 동일한 횡방향 보강간격으로 보강한 경우 또한, 4개의 횡방향 전단보강재로 보강된 W116-4의 균열각이 45°에 가장 근접하게 나타났다. 이는 넓은 보의 시험체 중앙에 배치된 보강재가 응력집중현상에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실험하중이 높게 측정된 W116-2, W142-2, W165-2 시험체의 가력점 부근에서 콘크리트 박리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시험체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압축력이 증가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판단되며, 전단보강재가 효과적인 전단성능을 발휘한 것으로 사료된다.

5. 전단보강 간격 제안

5.1 제안식

기존 연구(Lubell et al. (2009), Shuraim(2012), Choi et al. (2015))를 통해 sL, sw, d 등의 변수가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규명되었으며, 이는 sw를 변수로 실험을 수행한 본 연구의 실험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를 이용하여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sL, sw, d 등의 변수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w와 ACI 318-14의 전단강도 및 실험을 통해 계측한 전단강도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실험강도와 sw 사이의 상관도는 0.60으로 두 값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ACI 318-14의 전단강도와 sw의 상관도는 7.05×10-17로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ACI 318-14를 비롯한 현행 설계 규준은 횡방향 전단보강에 관하여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넓은 보의 효과적인 전단강도 산정을 위한 종·횡방향 보강간격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보강간격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횡방향 보강간격과 실험결과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sL, sL/d의 유의확률(P)은 2.18×10-5, sw의 유의확률(P)은 4.62×10-4의 값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약 100%의 유의확률 값을 나타내는 sL, sL/d, sw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Eqs. (5)를 얻었다. 전단보강 간격(sweq)은 설계된 종·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을 Eqs. (5)에 대입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를 Eqs. (6)에 적용하여 넓은 보의 전단강도를 산정한다.

(5)sweq=0.65(sLd)0.25sLsw
(6)Vsweq=Avfydsweq

5.2 전단강도 산정 값 비교

ACI 318-14와 제안식의 전단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기준으로 산정된 전단강도를 Table 4에 정리하였다. ACI 318-14는 전단강도 산정에 종방향 보강간격만이 요구되어 모든 시험체에서 동일한 공칭전단강도를 나타냈다.

Shear Strength of Specimens

Table 5에 ACI 318-14 및 제안식의 전단성능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실험강도를 설계강도로 나눈 전단강도비를 비교하였다. 횡방향 보강간격을 고려하지 않는 ACI 318-14는 평균 전단강도비 1.1545로서 전단강도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전단강도비 1.0794의 제안식은 비교적 1에 근접한 전단강도비를 나타냈으며, ACI 318-14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단강도 산정식의 전단강도비 표준편차는 0.10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추가적인 보강재를 배치하는 넓은 보에서 제안식을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전단강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xperimental Shear Strength and Shear Strength Ratio

6. 결론

본 논문에서는 강판으로 보강된 넓은 보의 횡방향 보강간격에 따른 전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이에 따른 넓은 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넓은 보의 횡방향 보강간격을 고려하는 전단보강 식을 제안하고 ACI 318-14의 전단강도 산정 기준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강판의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이 좁을수록 최대하중과 시험체 중앙의 수직 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현행규준에서 제시하지 않는 횡방향 전단보강 간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1.65d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2. 동일한 횡방향 간격으로 강판을 보강하여 2개의 횡방향 보강재로 보강한 시험체의 전단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횡방향 보강재의 개수 보다 횡방향 보강간격이 넓은 보의 전단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강판의 횡방향 보강간격이 좁을수록 지지점과 가력점 사이를 잇는 전단균열의 균열각이 45°에 근접하며 보강간격이 넓어질수록 균열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전단강도 산정에 종방향 보강간격만 요구되는 ACI 318-14는 전단강도비를 과소평가하였으며 넓은 보의 종·횡방향 보강간격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제안식을 적용하는 경우 횡방향 보강간격이 넓어질수록 전단강도를 비교적 잘 예측하였다.

기호

a : Depth of equivalent rectangular stress block (mm)

a/d : Shear span to depth ratio of wide beam

Av : Sectional area of shear reinforcement (mm2)

Avfy : Amount of shear reinforcement (kN)

bw : Width of wide beam (mm)

d : Effective depth of wide beam (mm)

f’c :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MPa)

fy : Specified yield strength of shear reinforcement (MPa)

nw : Number of steel plates of transverse cross-section (EA)

Pexp : Experimental maximum load strength (kN)

sL : Center-to-center spacing of longitudinal shear reinforcement (mm)

sw : Center-to-center spacing of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mm)

sweq : Center-to-center spacing of shear reinforcement by Proposed equation (mm)

ts : Thickness of steel plate (mm)

Vc : Nominal shear strength provided by concrete (kN)

Vexp : Experimental maximum shear strength (kN)

Vn : Nominal shear strength of wide beam (kN)

Vn,ACI : Nominal shear strength of wide beam by ACI 318-14 (kN)

Vn,Proposed : Nominal shear strength of wide beam by Proposed equation (kN)

VSL: Nominal shear strength provided by shear reinforcement by ACI 318-14 (kN)

VSweq:: Nominal shear strength provided by shear reinforcement by Proposed equation (kN)

ws : Width of vertical strip of steel plate (mm)

α : Shear crack angle (°)

δ : Displacement of the specimen at maximum load (mm)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NRF-2013R1A1A2060436).

References

ACI Committee 318-14.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and Commentary (ACI 318-14)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Anderson N.S, Ramirez J.A. 1989;Detailing of Stirrup Reinforcement. ACI Structural Journal 86(5):507–515.
Choi J.H, Kim M.S, Kim H, Lee Y.H. 2012;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Behaviors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Embedded with GFRP Plate With Opening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4):407–414. 10.4334/JKCI.2012.24.4.407.
Choi J.W, Kim M.S, Choi B.-S, Lee Y.H, Kim H. 2015;Evaluation of Shear Capacity According to Transverse Spacing of Wide Beam Shear Reinforced with Steel Plate with Openings.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3:259–266. 10.7734/COSEIK.2015.28.3.259.
Korea Concrete Institute. 2012. 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KS F 2405)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p. 155–175.
Lotfy E.M, Mohamadien H.A, Hassan H.M. 2014. Effect of Web Reinforcement on Shear Strength of Shallow Wide Beam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ical Research 2(11)98–107.
Lubell A.S, Bentz E.C, Collins M.P. 2009;Shear Reinforcement Spacing in Wide Members. ACI Structural Journal 106(2):205–214.
Serna-Ros P, Fernandez-Prade M.A, Miguel-Sosa P, Debb O.A.R. 2002;Influence of Stirrup Distribution and Support Width on the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Wide Beam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54(3):181–191. 10.1680/macr.2002.54.3.181.
Shuraim A.B. 2012;Transverse Stirrup Configurations in RC Wide Shallow Beams Supported on Narrow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8(3):416–424. 10.1061/(ASCE)ST.1943-541X.000040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hape of Steel Plate.

Table 1

Material Properties

Type  Steel Rebar   Steel Plate 
Properties
Modulus of Elasticity (GPa) 200 200
Yield Strength (MPa) 500 402

Fig. 2

Transverse Cross-Section of Specimens.

Table 2

Details of Specimens

Specimen fc (MPa) fy (MPa) d (mm) ws (mm) nw (mm) Avfy (kN) SL (mm) SLd Sw (mm) Swd Vn,ACI (kN)
W067-2 21 402 225.5 30 2 53.06 120 0.53 151 0.67 237.50
W116-2 262 1.16
W116-3 20 3
W116-4 15 4
W142-2 30 2 321 1.42
W165-2 373 1.65
W243-2 548 2.43

*Specimens Notation: W067-2

W: Wide Beam Shear Reinforced with Steel Plates

0.67: su/d×100

2: Number of Shear Reinforcement of Transverse Cross-Section

Fig. 3

Test Setup.

Table 3

Experimental Results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Specimen Pexp (kN) δ (mm) Vexp (kN) Vn,ACI (kN) VexpVn,ACI (kN)
W067-2 558.00 14.20 279.00 237.50 1.1747
W116-2 596.00 18.94 298.00 1.2547
W142-2 579.00 12.98 289.50 1.2190
W165-2 574.00 10.48 287.00 1.2084
W243-2 460.00 9.84 230.00 0.9684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Fig. 5

Shear Strength Ratio of Specimens by Transverse Shear Reinforcement Spacing

Fig. 6

Comparison of Design Strength and Shear Strength by Number of Shear Reinforcement

Fig. 7

Crack Pattern of Specimens.

Table 4

Shear Strength of Specimens

Specimen Vc (kN) ACI 318-14 Proposed Equation
SL (mm) VS (kN) Vn,ACI (kN) Sweq (mm) Vsweq (kN) Vn,Proposed (kN)
W067-2 137.78 120.00 99.72 237.50 74.73 106.12 297.90
W116-2 98.44 121.56 259.34
W116-3
W116-4
W142-2 108.96 109.82 247.60
W165-2 117.45 101.88 239.66
W243-2 142.36 84.05 221.83

Table 5

Experimental Shear Strength and Shear Strength Ratio

Specimen Vexp (kN) VexpVn,ACI (kN) VexpVn,Proposed (kN)
W067-2 279.00 1.1747 0.9365
W116-2 298.00 1.2547 1.1491
W116-3 251.63 1.0595 0.9703
W116-4 284.28 1.1970 1.0962
W142-2 289.50 1.2190 1.1692
W165-2 287.00 1.2084 1.1975
W243-2 230.00 0.9684 1.0368
Average - 1.1545 1.0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