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6(3); 2016 > Article
한반도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품질 및 관측망 수행능력 평가

Abstract

Two organizations in Korea are operating 10 infrasound stations which are being used for protecting people from natural or man-madedisasters such as volcanic eruption, earthquake or nuclear tests. A study before fusing infrasound data from these stations is performed. Data quality of the two stations, Yangu and Chulwon station, does not reach to an expected level due to high frequency noiseproblem caused by poor management of background noise reduction system. Yangu station is experiencing continuous strikes by lightningdue to high ground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optimum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 it is suggested to move Yangu stationto Jeju island.

요지

화산, 지진과 같은 자연재난 및 핵실험 등 인적재난을 막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초저주파 음파관측소는 한반도에 있는 2개의 기관에 의해 총 10개의 관측소가 운영되고 있다.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를 융합분석하기 위한 사전 연구가 실시되었다. 양구 및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의 품질 평가 결과 두 관측소 배경잡음 제거장치의 불량으로 고주파 배경잡음이 자료품질을 저하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양구 관측소의 경우 관측소 부지의 지질적 특성에 의해 낙뢰 피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피해가 낮은 자료수신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개선키 위한 방법의 하나로 양구 관측소의 이전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최적의 초저주파 음파 탐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양구 관측소를 제주도로 이전하여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1. 서론

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영역(audible sound, 20-20 kHz)을 기준으로 가청영역 이상의 고주파 대역인 극초단파 음파(ultrasound, 20 kHz <)와 가청영역 이하의 저주파 영역인 초저주파 음파(infrasound, 0.01-20 Hz), 극초저주파 음파(acoustic-gravity wave, 0.01 Hz >)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초저주파 음파는 다양한 음원에 의하여 발생이 되는데 크게 자연음원으로는 유성, 화산, 파도, 오로라, 지진 등이 있고 인공 음원으로는 발파, 핵실험, 초음속 비행기, 미사일 등의 예를 들을 수 있다.
초저주파 음파는 방재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자연재해를 방지하는 문제에 적용되는 예는 화산분화 시 발생하는 초저주파 음파 탐지가 될 수 있다. 화산이 분화하는 과정에 대기에 에너지를 전이함으로써 발생되는 초저주파 음파는 화산분화를 예측하고 대비케 함으로써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백두산 분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재난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초저주파 음파를 활용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인위적 재난과 관련된 예는 인공지진에 의해 발생한 초저주파 음파로서 이 경우에는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을 구분하는 판별방법의 하나로 적용된다. 자연지진은 일반적으로 진앙이 지표인근보다는 얕게는 수 km, 깊게는 수백 km의 깊이에 위치함으로 지진파 에너지의 대기 전이가 잘 되지 않는 반면 인공지진은 지표면이나 지하 1 km 미만의 깊이에 진원이 위치함으로 인해 대기로의 에너지 전이가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초저주파 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지진원의 깊이가 상이한 특성에 따라 초저주파 음파의 발생여부가 연계되어 있고 이러한 특성은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을 구분하는 판별방법 중 하나를 제공하여 인적 재난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초저주파 음파 연구를 위해서는 초저주파 음파 자료를 다중 음파관측소에서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원의 위치와 전파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다중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의 효과적인 융합을 위해서는 각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의 자료품질과 실시간 자료의 수신율에 대한 관리, 관측소의 위치에 따른 관측망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적절한 위치에 관측소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2개 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10개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 융합을 위한 사전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한반도 관측소 중 양구 및 철원 2개 초저주파음파관측소의 자료품질 평가 및 관측망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다중 관측소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효과적인 음원탐지에 적합한 관측소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 관측소 자료품질 평가 및 관측망 수행능력 평가

한반도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중에서 강원도 양구 및 철원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2개소가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각각의 관측소는 배열형 관측소로서 5개 site에 각각 3개의 센서로 이루어진 총 15개의 음파센서로 구성되어있다(Fig. 1, Table 1). 각 음파센서에서 획득되는 신호는 100 Hz의 샘플링을 실시하고 있다. 한반도 10개의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의 자료를 융합분석하기 전 사전 연구로서 양구와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2개소의 2년간 실시간 연속자료에 대한 분석, 파형품질 평가 및 관측소 실사를 1차로 시행하였다. 관측소의 위치선정에 의해서 음원탐지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격자 탐색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행하고 한반도에서 음원탐지에 적합한 관측소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Fig. 1
Configuration of Chulwon(CW) and Yangu(YG) station
KOSHAM_16_03_291_fig_1.gif
Table 1
CW & YG station channel name
Chulwon(CW) station Yangu(YG) station
CWS01 CW01, CW02, CW03 YGS01 YG01, YG02, YG03
CWS02 CW04, CW05, CW06 YGS02 YG04, YG05, YG06
CWS03 CW07, CW08, CW09 YGS03 YG07, YG08, YG09
CWS04 CW10, CW11, CW12 YGS04 YG10, YG11, YG12
CWS05 CW13, CW14, CW15 YGS05 YG13, YG14, YG15

2.1 자료품질 평가

한반도 10개의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중에서 양구 및 철원관측소 2개소에 대해 2년간 실시간 연속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저주파 음파 연속자료의 연속성(data continuity)과 수신율(data availability)을 분석하였다. 실시간 수신율을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이유는 한반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초저주파 음파 자료와 양구와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자료를 융합 시 적정한 수신율을 유지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둘째, 양구와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파형자료의 이상 유무와 잡음정도를 시간영역에서 확인함으로써 정상적인 초저주파 음파 자료가 획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분석의 결과가 관측소의 장비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2.1.1 관측 자료 연속성 및 수신율 분석

시계열 자료인 초저주파 음파 자료의 연속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저장 형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초저주파음파 자료는 Mini-SEED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어 이에 대한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계열의 자료를 정렬하고 중복된 자료를 제거하였으며, 이렇게 정제된 자료를 통하여 연속성을 확인하였다.
Mini-SEED 형식은 오랜 기간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면서 지진 자료와 같이 시계열의 연속적인 자료를 저장하는데 효율적으로 발전하였다(Ahern and Dost, 2012). 이는 국내에도 널리 보급되어 국내 주요 지진 관련 기관인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민안전처 등에서 지진 자료의 저장과 공유에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Mini-SEED 형식은 지진 자료와 동일한 시계열의 자료인 초저주파 음파 자료를 저장하는데도 효율적이다. Mini-SEED 형식은 스트림(stream)별로 1일의 자료가 하나의 파일로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철원 초저주파 음파 자료의 Mini-SEED 레코드 헤더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이 중복이 존재하거나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자료의 중복을 제거하고 Mini-SEED 레코드를 시간 순서에 맞게 정렬하였다. 시간순으로 잘 정렬된 Mini-SEED 레코드는 그 헤더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자료의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Table 2
Mini-SEED record header information of KS_CW01__BDF file
KS_CW01__BDF, 000001, D, 4096, 1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00.000000
KS_CW01__BDF, 000002, D, 4096, 2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00.000000
KS_CW01__BDF, 000003, D, 4096, 2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10.000000
KS_CW01__BDF, 000004, D, 4096, 2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20.000000
KS_CW01__BDF, 000005, D, 4096, 2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30.000000
KS_CW01__BDF, 000006, D, 4096, 2000 samples, 100 Hz, 2015,001,00:00:40.000000
양구와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에서 2년간의 실시간 자료에 대한 수신율을 점검한 결과, 양구 관측소의 실시간 자료수신율이 상대적으로 철원 관측소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Fig. 2). 양구 관측소의 경우 최대 실시간 수신율이 2015년 YG01, YG02, YG03에서 획득된 87.5%이며 최저 실시간 수신율은 2013년 YG04, YG05, YG06에서 획득된41.3%로서 철원 관측소에 비해 그 수신율이 매우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원 관측소의 경우 최대 실시간 수신율은 2015년 CW01, CW02, CW03에서 98.2%가 최소 실시간 수신율은 2014년 CW10, CW11, CW12에서 74.9%가 획득되었다.
Fig. 2
YG & CW infrasound data availability from the year 2013 to 2015. Blue bar represents the data availability in 2013 at each elements of the two arrays while red bar corresponds to that of 2014 and green bar corresponds to that of 2015.
KOSHAM_16_03_291_fig_2.gif

2.1.2 파형자료 분석

양구와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에서 시간영역 파형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관측소 파형자료 대다수에서 고주파 잡음이 관측되었다. Fig. 3은 양구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YG01, YG02, YG03에서의 파형을 비교한 결과로서 이세 관측소는 반경 100 m 이내에서 근거리에 위치하는 관측소이며 이러한 특성상 신호가 기록될 시 파형의 유사성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양구 관측소 YG01, YG02에서는 고주파잡음이 신호와 중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관측소에서도 고주파 잡음이 관측되었으며 이러한 고주파 잡음은 배경잡음 제거장치의 leaking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배경잡음 제거장치가 파손될 시 관측되는 신호는 배경잡음제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잡음이 관측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에서 관측되는 고주파 잡음은 관측소에 설치된 호스로 구성된 배경잡음 제거장치의 파손이나 느슨함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3
High frequency noise at YG station(YG01, YG02) marked with red ellipsoid
KOSHAM_16_03_291_fig_3.gif

2.1.3 현장점검을 통한 초저주파 음파 자료 저수신율 원인분석

양구 및 철원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관측 자료의 연속성 및 파형 분석결과 낮은 실시간 수신율이 확인되었고 파형에서도 다수의 자료에서 고주파 잡음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양구 및 철원 관측소를 방문하여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장점검 시 주안점을 두고 살펴본 사항은 접지저항 값에 대한 점검 및 배경잡음 제거장치의 올바른 운영여부였다. 연속자료의 낮은 수신율이 잦은 낙뢰에 의한 관측소 자료 단절에 기인할 수 있으므로 낙뢰가 발생 시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접지저항이 1종 접지(10Ω 이하)에 근접해 있거나 이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배경잡음 제거장치와 고주파 잡음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1.3.1 접지저항 분석
접지저항은 접지저항측정기(Ground tester)를 이용해 측정되며 그 방법은 Fig. 4와 같다. 먼저 접지저항측정기 내부의 교류전기 생성기(AC generator)가 전류 I를 생성해 접지전극E를 통해 내보내 전류보조전극 H를 통해 받아들일 때 발생하는 전압을 전위보조전극 S를 통해 측정하여 접지저항을 계산한다. 접지저항 측정에는 3극법과 4극법이 널리 사용되며 이때의 4극법은 접지전극 E가 원래 접지전극의 역할과 제1 전위보조전극의 역할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지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지저항률(대지고유저항)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그 편차가 가장 작은 11월에 접지저항을 측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기기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 동일 기기(Fluke-1625 Earth/Ground Tester)를 사용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였다.
Fig. 4
A method of ground test
KOSHAM_16_03_291_fig_4.gif
접지저항 측정을 위해 CTBTO(Comprehensive Nuclear-Test Ban Treaty Organization;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기구)에서 권장하는 4극법을 적용하였다. 측정결과 양구 및 철원관측소 모두 피뢰침과 연결되어 있을 때의 접지저항 값인 제1종 접지저항(10Ω 이하)보다 월등히 큰 값이 측정되었고 특히양구 관측소 YG03, YG04의 경우는 각각 1,000Ω에 가까운 접지저항 값이 측정되었다(Fig. 5). 접지시스템(Earth-termination system)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양구 관측소의 접지저항이 이와 같이 높은 것은 관측소 주변 부지의 하부가 토양이 아닌 단단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성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판단된다(CTBTO, 2010). 또한 통신 접지 및 전원 접지를 따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로 현지에서 통신, 전원 접지를 결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 후 철원 관측소의 접지저항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보아 관측소들의 접지시스템상의 접지봉 및 접지선의 수가 적절하게 설치되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며 조치 후에도 확인되는 높은 접지저항에 대해 차후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Fig. 5
Ground test value(green) and improved value(yellow)
KOSHAM_16_03_291_fig_5.gif
접지저항 값 측정과 양구 및 철원 관측소에 대한 피뢰설비점검을 실시하였다. 점검 결과 대부분의 관측소가 배터리, 기록계 및 디지타이저, 데이터 케이블, 전원 케이블, 통신장비, 전원에 접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며 특히, 양구 관측소(YGS04)의 경우에는 낙뢰로 인해 기록계, 디지타이저 및 통신 장비를 철거한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관측소의 경우 낙뢰로 인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현장 방문 시 관측소를 낙뢰로부터 보호해줄 지형·지물이 전혀 없으며 산 정상부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낙뢰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입을 수밖에 없는 환경 상태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관측소부지 조사 시 낙뢰로부터 관측소를 보호해줄 수 있는 위치 선정이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1.3.2 배경잡음 제거장치 분석
초저주파 음파를 탐지하는 장비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와 바람과 같은 배경잡음을 제거하는 장치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러한 배경잡음 제거장치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Le Pichon et al., 2010). 배경잡음 제거장치를 호스로 구성할 경우 이동 및 설치의 용이성이 있지만 파손의 위험이 파이프에 비해 많은 것이 단점이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항상 파손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간영역에서 파형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관측소 파형자료 대다수에서 고주파잡음이 관측되었고 이는 배경잡음 제거장치에 의한 문제인 것으로 유추되었다. 관측소실사에 의해 배경잡음 제거장치인 호스를 점검결과 파형자료관측에 근거하여 유추하였던 고주파 배경잡음의 원인이 배경잡음 제거장치의 노후, 파손, 수량 미달 등의 문제 때문이었음을 확인하였다(Fig. 6). 양구 및 철원관측소 각각 33%의 배경잡음 제거장치만 유관 상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6
Problems of background noise reduction system at YG station (up) cleavage (middle) broken hose (bottom) partial installation of hoses
KOSHAM_16_03_291_fig_6.gif

2.2 관측망 수행능력 평가

자료품질에 대한 평가 결과 초저주파 음파관측소 2개소 중양구 관측소가 철원 관측소에 비해 접지저항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하여 낙뢰 피해에 노출이 됨으로써 실시간 자료수신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실사를 통하여 확인된 양구 관측소의 기반이 토양을 찾기가 어렵고 암석으로 주로 구성된 특성으로 인하여 관측소 이전과 같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접지저항을 개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양구 관측소를 이전재배치하게 되는 경우 한반도 내에서 어느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전체 초저주파 음파 관측망 수행능력 관점에서 적합한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이론적 계산을 실시하였다.
현재 초저주파 음파를 이용한 음원의 위치결정 시 2개 이상의 관측소에 대해 Bayesian 위치 결정법을 이용하여 음원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Modrak et al., 2010). 이러한 방법을 적용 시 관측소의 위치가 음원 위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상조건을 포함하지 않고 초저주파 음파관측소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위도 33°N-44°N와 경도 120°E-135°E 구간에서 1 km×1 km 간격의 격자를 형성 후 각 격자에서 2개 이상의 관측소와 격자점에 의해 발생하는 각도를 계산하고 다음과 같이 식 1에 의해 각도 가중치 Wj를 계산하였다.
(1)
Wj=i = 1pC2(Ki)j
위 수식 1에서 jj번째 격자점, p는 관측소 수를 나타낸다. K는 2개의 관측소와 가상 음원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각도함수이다. 각 격자점에서의 가중치 Wj 분포를 도시하였을 때 Fig. 7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Fig. 7은 양구 관측소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가정 하에 양구 관측소를 제외 시, 전주 설치 시, 부산 설치 시, 제주도 설치 시 관측망 수행능력을 평가한 결과로서 붉은 지역에 음원이 위치할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탐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네 경우를 비교 시 제주도에 설치하는 경우가 관측망 수행능력 관점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7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 (upper left) performance with 9 station (upper right) performance with movement of YG station to Jeonju (lower left) performance with movement of YG station to Pusan (lower right) performance with movement of YG station to Jeju
KOSHAM_16_03_291_fig_7.gif

3. 결론

화산, 지진과 같은 자연재난 및 핵실험 등 인적재난에 널리 활용되는 초저주파 음파관측소는 한반도에 10개 관측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측소 자료를 종합한 융합분석을 위한 사전연구의 일환으로 양구 및 철원 관측소의 자료품질에 대한 평가 및 관측망 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2년간의 양구 및 철원 관측소 실시간 자료 분석 결과, 양구관측소의 실시간 자료 수신율이 상대적으로 철원 관측소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양구 관측소의 경우 최대실시간 수신율이 87.5%이며 최저 실시간 수신율은 41.3%로서 철원 관측소에 비해 그 수신율이 매우 저조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철원 관측소의 경우 최대 실시간 수신율은 98.2%가 최소 실시간 수신율은 74.9%가 획득되었다. 파형에 대한시간영역에서의 분석 결과 두 관측소의 파형자료가 공히 고주파 배경잡음에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배경잡음제거장치의 leaking 현상에 의한 것으로 유추하였다. 잡음에 노출된 자료의 문제를 두 관측소의 현장실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현장 실사를 통해 두 관측소 공히 배경잡음 제거장치가 유관 상 33%만 양호하여 다수가 고주파 배경잡음에 노출되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양구 관측소가 철원 관측소에 비하여 자료수신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은 기반암으로 구성된 양구 관측소 부지의 높은 접지저항으로 인해 잦은 낙뢰피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구 관측소의 경우 낙뢰피해를 저감키 위한 접지저항 개선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관측소 이전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양구 관측소의 이전을 가정하고 전체 관측망 내에 양구 관측소를 융합한 관측망 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한 결과 관측소를 한반도 남부로 이전할수록 관측망 수행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질적인 관측소 이전 부지를 고려 시 제주도로의 이전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한국기상산업진흥원 2015년 지진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KMIPA2015-3042)에 의해 지원되었으며 이에 사의를 표한다.

References

Ahern, T.K, and Dost, B (2012). Seed Reference Manual. Incorporated Research Institutions for Seismology(IRIS).
crossref
CTBTO (2010) CTBTO/IMS Earthing and Lightning Protection Minimum Standard.
crossref
Le Pichon, A, Blanc, B, and Hauchecorne, A (2010).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PMC5125622.
crossref
Modrak, R.T, Arrowsmith, S.J, and Anderson, D.N (2015) A Bayesian framework for infrasound location. Geophys J Int, Vol. 191, pp. 399-405.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