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박스 설치 후 주행 중 발생한 자동차 화재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n Automotive Fire Case that Broke Out during Driving afterEstablished Black Box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6;16(3):179-18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June 30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3.179
이의평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Fire Safety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Tel: +82-63-220-2039, Fax: +82-63-220-2056, E-mail: krfirechief@empal.com)
Received 2016 February 24; Revised 2016 February 29; Accepted 2016 April 12.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자동차 구입 후 블랙박스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를 설치한 자동차에서 주행 중 대시보드 안에서 발생한 화재사례에 대해 조사하여 화재원인과 화재발생 책임소재 등을 분석하였다. 이 자동차 화재 사례에 대해 소방서의 화재조사관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와 관련되어 화재가 발생한 것이라고 조사하였는데, 저자가 대시보드 등을 분해하여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물증을 제시하여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와는 관련이 없는 파워스티어링 모듈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자동차 화재의 발생 책임이 차주나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를 설치한 정비센터에 있지 않고 자동차 제조사에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자동차 화재사례의 조사를 통해 분해하여 조사하는 등 구체적인 조사를 하지 않고 외관조사만으로 화재원인을 판정하거나 선입견으로 물증을 제시하지 않고 화재원인을 추정해서는 안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 car fire that broke out in the dashboard during driving and analyzed a fire cause and the party responsible forthe fire. The black box and its auxiliary battery of the car were put after its purchase. A fire station investigator concluded that a firecause was related with a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is author dismantled the dashboard to investigate the fire cause and found thatthe fire was caused by a power steering module and not by the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e findings were presented by evide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e rested with a car maker rather than with a car owner or a car service center puttingthe black box auxiliary battery. The investigation of the car fire case confirmed that the cause of a car fire should be judged by specificinvestigation including dismantlement and not be estimated by investigating appearances or prejudice without evidence.

1. 서론

2015년 11월 리콜 중인 외제자동차에서 주행 중 연달아 여러 건 화재가 발생하고 11월 28일 KBS 소비자리포트 프로그램에서 “불타는 자동차, 속 타는 소비자”를 30분간 방영하여 자동차화재 원인과 자동차화재 원인조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위 방송 프로그램에서 지적했던 것처럼 자동차화재가 발생하면 제조사나 판매회사는 화재원인을 규명하기보다는 제대로 조사하지도 않고 원인불명이어서 보상책임이 없다고 주장하여도 차주는 자동차화재의 원인을 규명할만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어 속을 태울 수 밖에 없으며, 설령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나 소방서 등에서 조사하여 원인규명을 하더라도 제조사나 판매회사에서는 조사결과를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자동차화재의 조사기법이나 원인 입증 또는 사례 분석 등과 관련된 논문이 거의 발표되고 있지 않는데(Kim 2010; Kim et al., 2009; Song et al., 2012; Jeon et al.,2009), 저자는 자동차화재의 조사기법이나 원인 입증 또는 사례분석 등과 관련된 여러 논문을 발표하여 왔다(Lee, 2010a-c, 2011a-c, 2012a-c, 2013a-b, 2014a-b, 2015a-d; Lee et al., 2013, Lee et al., 2014; Kim et al., 2014). 이 논문에서는 블랙박스 설치 후 주행 중 발생한 자동차 화재에 대해 화재원인 등을 조사하여 물증을 통해 화재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2. 자동차화재 원인 조사 절차

2.1 화재 원인 조사 절차

화재는 발화된 후 성장하고 확대되면서 화재의 원인이 된 증거물 등을 태우거나 변형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목격자들을 죽음에 이르게도 하므로 물적 증거를 들어 화재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화재가 발견되면 대부분의 경우에 119신고가 되고, 119신고가 되면 소방대가 현장에 출동하여 화재를 진화하며, 소방대와 동시에 소방서 화재조사요원이 출동하여 화재원인조사를 하게 된다. 소방서 화재조사요원은 현장에 도착하면 불타고 있는 상황을 확인하고 관계자와 목격자로부터 진술을 청취하는 등 현장조사를 하고, 진화된 후에는 자동차 내외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하고 발굴이나 복원을 하는 본격적인 조사를 하며, 본격적인 조사를 한 후에 화재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부품 등을 수거하여 분해나 분석 혹은 화재 실험을 하는 등 입증을 위한 조사를 시계열적으로 실시하고 현장조사 결과와 본격적인 조사 결과 및 입증을 위한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화재원인을 판정하고 있다.

현장조사 내용과 관계자에 대한 질문, 화재 현장의 도괴나 소훼상태 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통해 연소강약(화열로 인한 피해가 심하고 심하지 않은지의 판별)과 연소확대방향(불이 번져간 방향의 판별) 등을 조사하여 발화건물이나 발화개소를 특정한다. 발화개소를 특정한 후에 발화개소 주변을 포함한 주변 범위로부터 낙하, 도괴한 것들을 발굴하여 가능한 한 발화 시의 현장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한다. 그 후에 발화개소로부터 화재원인이 될 만한 것들에 대해 소훼상태나 관계자 진술 등을 근거로 하여 가능성이 없거나 낮은 것들은 배제하면서 가장 합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화재원인을 귀납법에 의해 판정(추정)하여 해당 화재의 화재원인으로 한다(TFD, 2012).

2.2 자동차화재 원인 조사 절차

위에서 언급한 화재원인조사 절차는 건물화재의 경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절차이다. 자동차는 좁은 공간에 많은 가연물이 밀집해 있을 뿐 아니라 발열량이 큰 휘발유나 경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외기에 노출되어 있어 엔진실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공기공급이 원활하여 급격히 확대되는 연료지배형화재인 점에서 건물화재(환기지배형화재)와 다르고, 건물의 내부와 달리 자동차는 비나 눈 등 외기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진동을 받고 있으며, 주행 중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목격자인 운전자 등이 반드시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 전에 전조증상을 느끼는 경우도 있는 등의 특징이 있지만, 화재원인조사 측면에서는 거의 차이점이 없다.

자동차화재원인조사도 건물화재조사와 마찬가지로 목격자진술이나 현장도착 시의 연소상황 등 소방활동 중 조사, 화재진화 후 본격적인 조사, 발굴이나 복원 후에 발화원인이 될만한 물건 등에 대한 분해나 분석 등 입증조사를 하여 화재원인을 판정하고 있다(Lee, 2012c, 2013b).

소방서 화재조사요원이 아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감정기관이나 자동차화재조사전문가는 소방서 화재조사요원 현장조사 등의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해, 분석, 실험 등을 하여 화재원인을 판정하고 있다.

3. 블랙박스 설치 후 주행 중 발생한 자동차 화재 사례의 분석

3.1 화재 개요 및 화재원인조사 경위 등

신차 등록 후 6개월도 경과되지 않았고 총 주행거리도 10,200 km 정도인 자동차로 차주(남)가 혼자서 9월 중순경 자택을 출발하여 수인산업도로 과천의왕간 고속화도로를 이용하여 서울로 향하던 중 IC로 진출하기 전 1~2 km 지점쯤에서부터 연기를 보고 냄새를 느껴서 IC에서 나와 자동차를 세우기 마땅한 곳을 찾아서 긴급정차를 한 후 조수석 앞쪽 발판쪽에서 화염을 목격하여 자동차에서 내려 조수석 쪽으로 돌아가 Fig. 1과 같이 촬영한 후 매트를 걷어내고 구두 발로 불을 꺼보다가 역부족인 걸 판단하고 도와달라고 외치니 인근공사장에서 일하고 있던 근로자들이 이 자동차 화재 현장을 목격하고 분말소화기로 진화해주었으며(Fig. 2 참조), 진화 후 119신고(08:40경)를 하여 소방대가 출동하였다.

Fig. 1

Flame on mat in front of the seat next to the driver

Fig. 2

View of shortly after that extinguished car fire

화재원인조사 의뢰 과정 등에서 차주가 작성한 확인서 사본과 촬영한 사진 파일, 소방서 발행 화재증명원 사본, 화재 발견 당시와 화재진화 후 견인 직전에 차주가 촬영한 사진의 파일, 정비공장으로 이동한 후 촬영한 사진 파일을 이메일로 제공받았다.

3.2 보존 상황 및 특이사항

화재발생 자동차는 화재현장에서 해당 외제차 서비스센터로 이동되어 글러브박스가 분리되어 있고 분말소화약제가 제거(청소)되어 있는 상태이었으며, 관할소방서 화재조사요원과 인근 소방서 화재조사관이 조사를 하면서 트렁크 실에 있는 보조배터리를 분리하여 케이스를 개방한 후 충전모듈을 분리해 놓은 상태이었지만 화재원인 조사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인근 소방서 화재조사관이 조사한 후 차주 및 서비스센터 측에 보조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설명하였으며 차주가 조사과정과 설명 내용을 동영상 파일로 녹화해둔 상황이었다.

그리고 차주가 작성한 확인서에 의하면 자동차 구입 후 블랙박스와 보조배터리를 카센터를 통해 설치하였는데 보조배터리는 시거 잭 퓨즈 단자에 연결하였으며 보조배터리 장착불량으로 3일 후 재작업을 하였으며 그 후 블랙박스 쪽에서 노이즈가 들리고 화재발생 보름정도 이전에 시거 잭 퓨즈가나가 퓨즈를 교환한 적이 있다고 한다.

3.3 발화개소와 특이점 분석

차체 외부, 엔진실, 트렁크, 차체 하부, 운전석, 뒤쪽 좌석은 연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발화개소에서 배제할 수 있다(Fig. 3 참조). 연소중심부는 조수석 앞쪽이며 글러브박스 주위가 연소된 상태로 글러브박스 우측 하단 및 대시보드 내부 하니스 일부가 연소되어 있고, 글러브박스 커버는 우측 코너 부분이 국부적인 연소형태를 보이고 있다(Fig. 4, Fig. 5 참조). Fig. 6과 같이 조수석 앞 카펫 위에 파워스티어링 모듈이 낙하되어 있다.

Fig. 3

Outside, bottom side and engine compartment of a car that a fire broke out

Fig. 4

Glove box and dashboard surroundings

Fig. 5

Front and rear side of glove box

Fig. 6

Burnt power steering module that fell down on the floor

이와 같은 이유로 발화개소는 조수석 앞쪽 글러브박스 주위로 한정할 수 있다.

뒤쪽 트렁크에 설치한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이 조수석 앞쪽 바닥을 통해 글러브박스 좌측 아래쪽 퓨즈박스 부분으로 배선되어 있고(Fig. 7 참조) 카펫 앞쪽에 배선된 전선(Fig. 8 참조)과 블랙박스 카메라 및 저장장치로 연결된 전선(Fig. 10 참조) 피복의 일부가 연소되고 전선에 용단된 흔적이 있으며(Fig. 9, Fig. 10), Fig. 10은 조수석 도아 패킹부분 일부가 연소된 상태이고 패킹 사이에 끼어있던 전선 피복이 용융되어 있으며 일부 소선에서 용단형태(← 부분)가 식별되고, 유리관퓨즈 2개 중 1개에서 과전류 용단형태가 식별되며(Fig. 11 참조), 보조배터리의 충전모듈 내부에서 콘덴서파열형태와 납땜 떨어짐이 식별된다(Fig. 12~Fig. 14 참조).

Fig. 7

Assistance battery and connection wiring for black box

Fig. 8

Reconstruction of electric wiring in front of carpet

Fig. 10

Close-up of ○ part of Fig. 7

Fig. 9

Close-up of □ part of Fig. 8

Fig. 11

One between 2 glass tube fuses was cut off

Fig. 12

Assistance battery for black box

Fig. 14

Back side of assistance battery charge module(soldering of ○ part was separated)

대시보드를 분리해 낸 바 대시보드 내부 쪽의 연소형태는 우측부분을 중심으로 연소 확대된 형태이고(Fig. 15 참조), 파워스티어링 모듈 설치부분 바로 위쪽에 국부적인 열 용융형태가 식별되고(Fig. 16 참조), 모듈설치부분 차체구조물에 국부적인 발열에 의한 수열(受熱)흔적이 식별되며(Fig. 17 참조), 모듈 위쪽의 차체 쪽 합성수지부분이 국부적으로 깊숙이 용융되어 있으며(Fig. 16 참조), 모듈의 연소된 연결 하니스 및 단자부분에서 단락흔이 식별되지 않으나 모듈부분에서 과열에 의한 소자의 이탈형태가 식별된다(Fig. 18 참조).

Fig. 15

Inside of separating dashboard

Fig. 16

View that reconstruct connector of power steering module to position originally

Fig. 17

topical calorification trace of connector surrounding of power steering module

Fig. 18

Close-up of connector of power steering module

조수석 앞쪽 글러브박스 좌측 아래쪽에 장착된 퓨즈박스의 5개의 퓨즈가 용단된 형태가 식별되고, 엔진실 내부의 퓨즈박스의 퓨즈 중 6개가 용단되어 있다. 글러브박스 내측의 연소된 하니스(전선뭉치) 중 한 전선에서 용융흔적이 식별되며(Fig. 19 참조), 피복이 연소된 하니스를 분리하여 정밀 관찰한 결과 하니스의 한 전선의 용융흔적은 합선에 의해 형성된 단락흔(arc beads)이다(Fig. 20 참조).

Fig. 19

Position of harness that melting beads were formed

Fig. 20

Close-up of arc beads formed to harness

분리한 대시보드 안쪽 부분과 글러브박스의 안쪽 부분의 연소 형태를 비교한 바 글러브박스 안쪽부위에서 연소 확대가 된 형태를 보인다(Fig. 5 참조).

조수석 앞쪽 대시보드에 위치했던 글러브박스 안에는 수첩이 들어 있고 내비게이션 셋톱박스가 설치된 상태로 후미 우측부분 일부가 연소된 형태이며, 내비게이션 셋톱박스 뒷부분커넥터 부분을 중심으로 형성된 국부적인 소손(燒損)형태가 식별되고. 내비게이션 셋톱박스 이면(裏面)의 커넥터 4개 중 1개의 부분에서 국부적인 소손 및 수열(受熱)형태가 식별되나. 내비게이션 셋톱박스 내부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커넥터 부분에서 발열흔적 등 특이점이 식별되지 않아 발화개소에서 배제할 수 있다(Fig. 21 참조).

Fig. 21

Connectors and inside of navigation set top box

3.4 화재원인 분석

주행 중 대시보드 내에서 발화 연소된 상황이 명백하므로 방화에 의한 화재는 배제할 수 있으며, 동승자 없이 차주 혼자 운전 중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차주가 작성한 화재사고확인서에 의하면 차주가 담배를 피우지 않으며 설령 차주가 담배꽁초를 조수석 앞쪽 대시보드 내에 버렸다고 하더라도 무염연소 진행 후에 화재로 이어질 수 있고 무염연소 하였다면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하므로 운전자가 곧바로 냄새를 쉽게 맡으며 무염연소가 진행됨에도 유리창 문을 닫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 건 화재는 담뱃불화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Lee, 2014c). 즉, 이 사건 화재는 방화나 담뱃불 등과 같은 인적요인에 의한 발화는 배제된다.

조수석 앞쪽 글러브박스 주변 이외의 부분은 연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엔진과열이나 배기계통 과열, 연료 및 오일의 누설이나 브레이크 등의 마찰열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배제된다.

연소된 부분이 조수석 앞쪽 글러브박스 주위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소피해를 입은 부분에서의 자체적인 문제로 인해 발화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글러브박스 아래 좌측에 위치한 퓨즈박스 안의 일부 퓨즈가 용단된 것은 글러브박스 주위 일부 하니스(전선)가 연소되어있어 단락이나 혼촉에 의해 과전류 회로가 구성되어 용단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엔진실 퓨즈박스 안의 6개의 퓨즈가 용단되어 있는데, 엔진실은 전혀 화재로 인한 피해가 없으므로 엔진실 전선의 합선에 의해 용단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조수석 앞 글러브박스주위 전선의 합선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자동차 출고 후 트렁크실에 추가 설치된 보조배터리 충전모듈의 기판 이면의 납땜 부위가 떨어져 있고 콘덴서에 파열된 흔적이 있으나(Fig. 13, Fig. 14 참조) 납땜 부위 떨어짐이 있을 뿐 이 부위에서 발화된 것은 아니며 납땜 부위 떨어짐이 연소부위에 영향을 줄 수 없고 콘덴서 과열은 부하측의 단락등 과전압 인가에 의한 것이므로 보조배터리 모듈의 기판 이면의 납땜부위 떨어짐과 콘덴서 과열은 발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화재원인에서 배제된다.

Fig. 13

Charge module of assistance battery (an internal condenser exploded)

조수석 바닥 매트와 카펫 밑에 배선된 블랙박스 배선의 연소부분이 절단되고 일부 용융절단형태의 소선(素線, 가는 전선)이 식별되는 것은 인접한 접지선(가는 적색선)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고(Fig. 8, Fig. 9 참조), 용융절단부위에서 발화되었다면 용융절단 부위의 카펫을 심하게 연소시킴은 물론 카펫 위쪽의 매트도 연소시켰을 것이나 카펫이 심하게 연소되지 않음은 물론 매트의 안쪽(카펫 쪽) 부위는 전혀 연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조수석 카펫 밑에 배선된 배선에서의 발화는 배제 가능하다(Fig. 22 참조). Fig. 22에서 카펫이 온전히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차주가 글러브박스 아래 카펫 쪽으로 화염이 떨어지는 것을 목격(Fig. 1 참조)하고 매트를 걷어냈기 때문이다.

Fig. 22

Carpet and mat

또한 자동차 출고 후 추가 설치된 전선(블랙박스, 보조배터리)의 과열로 인해 발화되었다면 추가 설치된 배선 전체에 걸쳐 과열된 흔적이 남아 있어야 하나 이러한 흔적이 없으며, 자동차 출고 후 추가 설치된 전선의 부하(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측 전선 등에서 합선이 일어날 경우 동일 회로 상의 전선에 과열흔적이 남아 있어야 하나 이러한 흔적이 없고, 국부적으로 과열흔적이 발생하려면 과열된 부분에 국부적인 방열차단이나 외부로부터의 가열조건이 형성되어야 하나 이러한 상황이 없는 점을 보더라도 자동차 출고 후 추가 설치된 블랙박스와 보조배터리는 화재원인에서 배제할 수 있다(Fig. 7 참조).

블랙박스로 연결되는 전선의 용단된 퓨즈는 연결된 부하측인 조수석 문의 패킹부분 연소부위의 접지선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과전류로 용단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Fig. 10, Fig. 11 참조).

조수석 앞의 카펫 밑 부분 배선에서 식별되는 용단된 전선은(Fig. 8, Fig. 9 참조) 퓨즈박스의 퓨즈와 직접 연결된 전선이므로 이 부위에서 먼저 용단이 발생하였다면 부하측인 블랙박스로 연결된 전선에 전원공급이 될 수 없는데 블랙박스로 배선된 전선에 연결된 퓨즈가 용단되어 있으므로 카펫 밑부분 배선의 용단은 블랙박스로 가는 배선의 유리관퓨즈가 용단된 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화재로 인한 피복소실로 형성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어 발화원인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파워스티어링 모듈은 글러브박스 앞쪽(엔진실쪽) 상단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파워스티어링 모듈에서 발화된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국부적인 열변형 형태가 대시보드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Fig. 20, Fig. 21 참조) 파워스티어링 모듈의 고정부분에서 국부적인 발열흔적과 발화 직후 차주에 의해 촬영된 사진 상에 매달려 연소되는 것이 모듈의 형태로 식별되는 것으로 보아(Fig. 23 참조) 이 모듈에서 발화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Fig. 23

Close-up of part that flame was in Fig. 1

조수석 앞쪽 연소 부위 하니스 중 한 전선의 단락흔(Fig. 20 참조)이 1차단락흔(화재의 원인이 된 단락흔)이라면 단락흔이 있는 곳이 최초 발화개소일 것이고 이 단락흔을 중심으로 화재가 확대되다가 파워스티어링 모듈 커넥터 쪽으로 확대되었을 것이고, 파워스티어링 모듈의 커넥터(Fig. 18 참조) 인근을 보면 국부적인 발열 흔적(Fig. 17 참조)이 있는데 이러한 국부적인 발열흔적은 다른 곳에서 확대된 화재에서는 남기 어려운 흔적임을 감안하면 단락흔이 있는 곳에서 국부적인 수열(受熱) 형태를 띤 파워스티어링 모듈의 커넥터 인근 쪽으로 화재가 확대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바, 이 단락흔은 화재의 원인이 된 1차단락흔이 아니라 화재가 확대되는 과정에 화열(火熱)에 노출된 후 피복이 손상되어 생긴 2차단락흔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차주가 화재를 목격하고 촬영한Fig. 1을 감안하면 불이 붙은 용융물이 아래쪽으로 낙하되어 재차 타오르면서 조수석 앞쪽 하니스 중 한 전선이 화재 확대과정에 2차적으로 단락(합선)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파워스티어링 모듈(Fig. 24 참조)의 커넥터(Fig. 18 참조)와 기판의 연결부위와 파워스티어링 모듈 설치대 부분 금속에 국부적인 발열흔적이 형성되어 있고(Fig. 17 참조), 차주가 화재를 발견한 직후에 촬영한 Fig. 1에 파워스티어링 모듈로 보이는 물체에 화염이 붙어 매달려 있음이 확인되며(Fig. 23 참조), Fig. 1의 화염 위치의 위쪽에 파워스티어링 모듈이 위치하며 모듈이 위치한 바로 위쪽의 대시보드 안쪽이 국부적으로 용융(Fig. 17 참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파워스티어링 모듈 연결부분의 불완전접촉이나 콘덴서 또는 저항과 같은 부품의 단락이나 과열 등으로 발화된 것으로 분석(추정)된다.

Fig. 24

Module board of intact car and it of the car that a fire broke out

이상의 검토결과 이 화재사건 자동차의 화재는 파워스티어링 모듈부분에서 불완전 접촉 등에 의해 발화된 화재로 분석(추정)된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소방서의 화재조사관이 차주 및 판매회사 지정정비센터 등에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로 인해화재가 발생했다고 설명한 것은 오류인데,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은 분해하여 조사를 하지 않고 육안조사와 국부적인 조사에 그친 점에 기인할 것이다. 화재원인조사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에 휩싸임은 물론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를 잃을 수 있는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Lee, 2012d-e, 2012e, 2013a). 이 화재사건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조사로 신중한 화재원인판정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대책이 필요하며(Lee, 2013c-d), 소방기관 화재조사요원의 화재조사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한다(Lee, 2011d).

3.5 화재발생 책임 소재 분석

신차 등록 후 6개월도 경과되지 않았고 총 주행거리도 10,200 km 정도인 자동차가 주행 중 차주와 관련이 없이 발생한 화재이므로 차주에게는 화재발생 책임이 없다. 자동차 출고 후 블랙박스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하였는데, 블랙박스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자체에서 발화되지 않았음이 명백하며, 발화개소로 판정한 글러브박스 주위에서 블랙박스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에서 발화된 흔적이 없으므로 블랙박스와 보조배터리 장착 업체는 화재발생책임이 없다. 화재발생 자동차는 신차로 차량등록이 되어서 6개월도 경과되지 않았고 총 주행거리도 1만 200 km 정도이므로 판매회사가 정한 품질보증 기간 안에 해당하며, 자동차 출고 전에 설치된 파워스티어링 모듈에서 불완전접촉 등에 의해 발화 연소된 것으로 분석(추정)되므로 화재발생 책임은 자동차 제작회사(판매회사포함)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4. 결론

주행 중 대시보드 내에서 발생한 자동차 화재에 대해 화재원인 등을 조사하여 화재원인과 화재발생 책임소재 등을 분석하였다.

소방서 화재조사관이 블랙박스 보조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조사결과를 차주와 판매회사 지정정비센터 등에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었고, 카센터에서 보조배터리를 시거잭 퓨즈 단자에 연결하여 장착한 후 재작업을 하였고 재작업을 한 후에도 블랙박스 쪽에서 노이즈가 들리고 시거 잭 퓨즈가 나가는 증상이 있는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여서 화재원인은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에 기인했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조사를 개시하였다. 분해하여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사건 자동차 화재는 블랙박스 보조배터리와는 전혀 관련이 없이 파워스티어링 모듈에 의해 발생한 것임을 물증을 통해 입증하였다. 그리고 화재발생 책임이 자동차 판매회사에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사건 자동차 화재 조사를 통해 분해 조사를 하지 않고 외관조사만으로 화재원인을 판정하거나 선입견으로 물증을 제시하지 않고 화재원인을 추정해서는 안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논문이 자동차화재 조사기법이나 사례분석 연구 및 화재 예방대책 연구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References

Jeon S.W, Park C.S, Kim Y.H, Lee K.J. 2009;Study on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erosion-corrosion damaged automotive water pum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4(No.2):1–6.
Kim E.S. 2010;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damage assessment of the damage to the internal parts of a vehicle involved in a fire accident.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34(No.3):255–261. 10.3795/KSME-A.2010.34.3.255.
Kim Y.S, Cho E.K, Kim L.H. 2009;A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causes for natural gas vehicle accid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Gas 13(No.2):41–47.
Kim Y.H, Lee E.U. 2013a. Analysis of the foreign convertible fire during driving. KSAE 2013 Annual Conference p. 900–901.
Kim Y.H, Lee E.U. 2013b. Analysis of the foreign car fire while driving only 14 days after the purchase. KSAE 2013 Annual Conference p. 902–903.
Kim Y.H, Lee E.U. 2014;Analysis of the Truck Fire Breaking Out During Expressway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4(No.2):185–194. 10.9798/KOSHAM.2014.14.2.185.
Lee E.U. 2010a;Cause Analysis on Parked Motor Vehicle Fires, Proceeding of 2010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124–126.
Lee E.U. 2010b;Cause Analysis on Motor Vehicle Fires, Proceeding of 2010 autumn annual conference. KIFI(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31–59.
Lee E.U. 2010c. Cause Analysis on Parked Motor Vehicle Fires, Proceeding of 2010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20p. 120–136.
Lee E.P. 2011a;Analysis of actual state of motor vehicle fir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5(No.2):47–59.
Lee E.U. 2011b;Analysis of an Arson fire of Motor Veh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5(No.6):112–119.
Lee E.U. 2011c. Analysis of Automotive Fire Mechanisms at Not-running-engine. 2011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 2068–2073. PMC3130590.
Lee E.U. 2011d;A Study on Methods for Capacity Building of Fire Cause Investigation in Fire Sta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5(No.5):108–118.
Lee E.U. 2012a;A Study on Case Analysis of Motor Vehicle Fires Which Occurred in Operation but Were Found after Parking. Transactions of KSAE 20(No.6):9–16. 10.7467/ksae.2012.20.6.009.
Lee E.U. 2012b;A Study on Cause Analysis of a Fire that Broke Out on a No-start Motor Vehicle. Transactions of KSAE 20(No.6):92–99. 10.7467/ksae.2012.20.6.092.
Lee E.U. 2012c. Analysis of an Automotive fire case due to Add-on Electrical Equipment. 2012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 1037–1042.
Lee E.U. 2012d. Analysis of Problems Caused due to Misjudgement of Fire Causes. Proceeding of 2012 KIFSE Annual Fall Conference p. 179–182. 2012.
Lee E.U. 2012e. Analysis of a Fire Case that Was Connected by Litigation due to Misjudgement of Fire Cause. Proceeding of 2012 KIFSE Annual Autumn Conference p. 81–87.
Lee E.U. 2013a. Analysis of an Error Case in the Judgment of Fire Causes. Proceeding of 2013 KIFSE Annual Spring Conference p. 171–174. 2013.
Lee E.U. 2013b;A Study on the Knuckle Crane Truck Fire Caused by a Short during Expressway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3(No.6):271–272. 10.9798/KOSHAM.2013.13.6.271.
Lee E.U. 2013c;Cause Analysis of Errors in the Judgement of Fire Cau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3(No.2):209–216. 10.9798/KOSHAM.2013.13.3.209.
Lee E.U. 2013d;A Study on Measures to Minimize Errors in the Judgment of Fire Cau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3(No.3):139–146. 10.9798/KOSHAM.2013.13.6.139.
Lee E.U, Kim Y.U. 2013;A Study on the Knuckle Crane Truck Fire Caused by a Short during Expressway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3(No.6):271–2813. 10.9798/KOSHAM.2013.13.6.271.
Lee E.P, Kim Y.H. 2014;Analysis of the Truck Fire Caused by Return Spring Defect of a Braking System during Expressway Driving. Transactions of KSAE 22(No.2):148–155.
Lee E.U. 2014a;Analysis of Foreign Car Fire that Broke Out in Passenger Room during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4(No.5):245–253. 10.9798/KOSHAM.2014.14.5.245.
Lee E.U. 2014b;A Study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ause of An Automotive Fire Case That Broke out during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4(No.6):281–288. 10.9798/KOSHAM.2014.14.6.281.
Lee E.U. 2014c;Analysis of Foreign Car Fire that Broke Out in Passenger Room during 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4(No.5):245–253. 10.9798/KOSHAM.2014.14.5.245.
Lee E.U. 2015a;Analysis of the Parked Automotive Fire Breaking out Late at Nigh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5(No.2):241–248. 10.9798/KOSHAM.2015.15.2.241.
Lee E.U. 2015b;Analysis of an Automotive Fire Case That Broke Out due to Knocking After ECU Mapp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15(No.6):251–229. 10.9798/KOSHAM.2015.15.6.251.
Lee E.U. 2015c. Analysis of an Automotive Fire that Broke Out in Dashboard during Driving. 2015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 709–710.
Lee E.U. 2015d. Analysis of the Parked Foreign Car Fire Breaking Out at Trunk Room. 2015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 754–755.
Song J.Y, Sa S.H, Nam J.W, Cho Y.J, Kim J.P, Park N.K. 2012;Analysis on vehicle fires caused by damage of diesel particulate filter(DPF).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6(No.4):70–76. 10.7731/KIFSE.2012.26.4.070.
TFD(Tokyo Fire Department). 2012. New fire investigation handbook 1Tokyo disaster prevention & emergency medical service association. Tokyo: p. 61–21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Flame on mat in front of the seat next to the driver

Fig. 2

View of shortly after that extinguished car fire

Fig. 3

Outside, bottom side and engine compartment of a car that a fire broke out

Fig. 4

Glove box and dashboard surroundings

Fig. 5

Front and rear side of glove box

Fig. 6

Burnt power steering module that fell down on the floor

Fig. 7

Assistance battery and connection wiring for black box

Fig. 8

Reconstruction of electric wiring in front of carpet

Fig. 9

Close-up of □ part of Fig. 8

Fig. 10

Close-up of ○ part of Fig. 7

Fig. 11

One between 2 glass tube fuses was cut off

Fig. 12

Assistance battery for black box

Fig. 13

Charge module of assistance battery (an internal condenser exploded)

Fig. 14

Back side of assistance battery charge module(soldering of ○ part was separated)

Fig. 15

Inside of separating dashboard

Fig. 16

View that reconstruct connector of power steering module to position originally

Fig. 17

topical calorification trace of connector surrounding of power steering module

Fig. 18

Close-up of connector of power steering module

Fig. 19

Position of harness that melting beads were formed

Fig. 20

Close-up of arc beads formed to harness

Fig. 21

Connectors and inside of navigation set top box

Fig. 22

Carpet and mat

Fig. 23

Close-up of part that flame was in Fig. 1

Fig. 24

Module board of intact car and it of the car that a fire broke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