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교 보강형 센터스테이부 피로균열에 대한 차량하중의 영향 분석

Effect of Vehicle Load on the Fatigue Cracks of the Center-stay for a Steel Girder Deck in a Suspension Bridg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24;24(5):241-24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24.24.5.241
* 정회원, 1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2국토안전관리원 충청지역본부 부장(E-mail: dhkim@kalis.or.kr)
* Member, 1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General Manager,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E-mail: parkchh@gnu.ac.kr)
** Master Cours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후과정(E-mail: mingyun@gnu.ac.kr)
*** Postdoctoral Researcher, Department of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E-mail: jahn@gnu.ac.kr)
****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교신저자,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Tel: +82-55-772-3293, Fax: +82-55-772-3209, E-mail: jahn@gnu.ac.kr)
****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2024 August 26; Revised 2024 August 27; Accepted 2024 September 10.

Abstract

강바닥판 시스템은 여러 장점으로 인해 사장교와 현수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차량 하중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바닥판, 종⋅횡리브 교차부 등에서 피로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대부분의 연구도 이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교량에서는 피로균열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위치와는 다르게, 센터스테이에 인접한 보강형 내부 수직 보강재와 보강형 외부 센터스테이 인접부에서 균열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피로균열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정밀해석을 수행하였고, 기존 재하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중량 할증을 조정하고 차량의 재하 위치를 변경하여 차량하중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량 하중증가에 따라 센터스테이 보강형 내부 수직보강재에 피로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후 외부 센터스테이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rans Abstract

Steel deck systems are widely used in cable-stayed and suspension bridges because of their various advantages. However, the direct effect of vehicle loads often leads to fatigue cracks in steel decks, particularly at the intersections of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ibs, which have been the focus of most studies. In the target bridge of this study, unlike the location where fatigue cracking generally occurs, cracks were detected in the vertical stiffener inside the stiffening girder just below the center-stay and that adjacent to the center-stay. A precis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ause of fatigue cracking, and the analysis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results of an existing load te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eavy vehicle loads by adjusting the vehicle weight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is study confirms that as the vehicle load increases, fatigue cracing may occur in the internal vertical stiffener of the center-stay stiffening girder, leading to subseuent cracs in the external center-stay.

1. 서 론

최근 국내에 건설되고 있는 사장교 및 현수교와 같은 장대교량의 주거더에는 자중감소와 휨 및 비틀림 강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 강바닥판을 적용한 강박스형 보강거더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사장교 및 현수교에 설치된 강박스 보강거더의 강바닥판은 종방향 리브와 횡리브 플레이트로 지지되는 강판 데크플레이트로 구성되며, 대상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 하중을 직접 지지하고 이를 주거더인 강박스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강바닥판은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강박스 거더에 대한 고정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 내구성이 높고, 제작과정 등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단면이 작은 강부재를 사용하므로, 데크 플레이트와 리브 사이 용접부에 피로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국내에 초기 건설된 장대교량의 설계차량하중은 최근 건설된 장대교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현재 국내외에서 제시되고 있는 강바닥판 최소두께인 14 mm나 16 mm 보다 작게 제작되어 있다(AASHTO, 2012). 따라서, 최근 국내에 운행되고 있는 중차량의 이동 특성 등을 고려할 때 국내의 초기 건설된 교량 강바닥판의 경우 상대적으로 피로손상에 취약할 수 있다.

강바닥판의 피로손상이 문제가 되면서 국내에서도 강바닥판 실물크기의 대형시험체를 제작하고 피로시험을 실시하여 강바닥판 구조상세에 대한 응력특성과 피로거동을 조사한 연구가 진행되었다(Choi et al., 2000; Choi and Kim, 2005). 또한, 강바닥판 구조상세의 매개변수해석을 통하여 응력집중 감소효과가 큰 최적의 다이아프램 형상을 도출한 연구(Shin et al., 2007)와 재하특성에 따른 강바닥판 구조상세의 거동특성 평가 연구(Lee et al., 2012), 그리고 강바닥판의 피로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상세 개선에 관한 일련의 연구도 수행되었다(Kyung et al., 2006; Kyung et al., 2007; Sun et al., 2008). 최근에는 강바닥판의 피로수명을 늘릴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Bae et al., 2019) 등도 수행되고 있다. 국외에서도 강바닥판의 가로리브와 세로리브의 피로균열 및 보수⋅보강에 대한 실험적 연구(Gurney, 1992)와 리브상세에 대한 변형 및 면내⋅외 변형 등에 대한 해석적 연구(Kolstein et al., 1995) 등을 비롯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강바닥판의 피로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연구된 내용들은 차량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재하되는 바닥판과 리브용접부, 횡리브와 바닥판 용접부에 대한 피로 발생 원인이나 피로균열이 바닥판의 거동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하중이 직접 재하되지 않은 케이블지지 구조연결부나 내측 보강재 용접부 피로균열의 원인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건설된 현수교 중 강박스 보강형 센터스테이부에 발생한 피로균열의 차량하중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구조해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체 현수교에 대한 3차원 구조해석 모델과 강바닥판 상세가 고려된 3차원 보강형 상세구조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하중의 작용위치와 중량변화를 고려하여 강박스 보강형 센터스테이부에 발생한 피로균열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대적 응력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2. 현수교 보강형 구조해석 모델

2.1 대상 현수교 제원 및 보강형 단면

본 연구에서는 센터스테이부의 피로균열에 대한 이동차량 하중 영향을 분석하였다. 피로균열이 발생된 상세는 Fig. 1에 나타내었으며 대상교량의 제원은 Fig. 2에 나타내었다.강재 주탑에 신축이음을 설치하고, 외측경간과 중앙경간에 폭 12.0 m의 유선형 강박스 보강형이 힌지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강박스 보강형은 11 mm의 강판으로 제작된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을 적용하였다. 개방형 횡리브가 4.17 m 간격으로 설치되었으며, 종방향 리브로 차도는 U형 리브, 보도는 L형 리브, 그리고 추가적으로 I형 리브가 적용되었다.

Fig. 1

Fatigue Crack in the Center-stay

Fig. 2

Dimensions of the Target Suspension Bridge

대상 현수교 유지관리의 경우 2009년부터 매년 2번의 정기점검과 5년에 1번씩의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으며, 2009년 21개소의 균열이 발견된 후 균열에 대한 보수와 재균열 발생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총 75개소에 균열이 발견되었으며,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던 수직 보강재균열이 19개소에 신규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균열의 발생 원인은 최초 DB-18로 설계⋅시공된 교량에 빈번한 중차량이 통행하여 발생한 하중과 현행기준은 강바닥판 두께를 14 mm로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대상 교량의 강바닥판은 11 mm의 두께로 적용되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KALIS, 2017, 2018, 2022). 또한, 차량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은 현수교 센터스테이 케이블 정착부에서도 Fig. 1과 같은 피로균열이 발생하였다(KALIS, 2017, 2018, 2022). 센터스테이에서 발생한 피로균열은 보강거더 내부 수직보강재 용접단부의 라운딩 처리가 미비하여 직각으로 절취된 부위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하였고 균열 발생후 국부적인 강성저하 및 추가변위 발생에 의해 센터스테이 이음부에서 추가로 균열이 진전된 것으로 판단하였다(KALIS, 2017, 2018, 2022). 하지만, 이러한 센터스테이에 발생한 피로균열부에 대한 응력수준이나 피로균열에 영향을 주는 차량하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대상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하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대상 센터스테이 보강판 연결부에 대한 상세해석이 필요하지만, 통과차량들 각각의 총중량 확인이 쉽지 않고, 차량하중은 센터스테이에 간접적으로 작용하며, 차량하중 작용시 현수교 거동에 의한 응력수준을 확인하여야 하므로 전체 현수교의 거동과 센터스테이부 강박스 보강형의 거동을 함께 검토 하여야 할 것이다.

2.2 보강형 구조해석 방법 및 구조해석 모델

현수교 보강형 센터스테이부 케이블 정착부에 차량하중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량하중에 의한 전체 현수교의 거동과 이에 따라 나타나는 센터스테이부 강박스 보강형의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수교 전체에 대한 3차원 구조해석 모델과 센터스테이부 강박스 보강형에 대한 3차원 상세모델을 이용하였다. 현수교 전체에 대한 3차원 구조해석모델은 범용구조해석 모델인 MIDAS를 이용하여 주탑과 보강형을 Beam element로 현수 케이블 및 행어 케이블은 Cable element로 모형화하였다(Midas CIVIL, 2021). 3차원 구조해석모델의 경계조건으로 주탑, 앵커리지는 고정, 윈드슈는 받침의 가동방향에 맞게 Beam End Release로 모형화하였으며, 대상 현수교의 차량하중 재하에 따른 선형탄성 거동만을 고려하기 위하여 현수교 재료인 강재의 재료비선형성은 구조해석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센터스테이부 강박스 보강형에 대한 3차원 상세해석 모델은 센터스테이를 포함하는 강박스 보강형을 현수교 중앙부 지간을 센터스테이와 행어 케이블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현수교 중앙지간부 40 m를 3차원으로 모형화하였다. 센터스테이부 강박스 보강형에 대한 3차원 상세해석 모델은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였다. 강바닥판 부재는 3차원 Solid요소로 모델링 하였으며, 피로균열이 발생한 부분의 경우 부재 제작 도면 및 현장사진 등을 이용하여 용접부 등을 상세화하여 모델링 하였다. 구조해석에 적용된 재료는 대상 교량의 거동 특성을 고려하여 강재의 탄성계수인 210,000 MPa를 적용하였다. Fig. 3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차원 구조해석 모델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Fig. 3

3D FE Analysis Model for the Target Suspension Bridge

센터스테이부 피로균열부에 작용하는 응력수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량하중 재하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체 현수교 구조해석 모델에서의 강박스 보강형의 상대적 변형을 확인하고 이를 3차원 강박스 보강형 구조해석 모델에 적용하여 차량하중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센터스테이부 응력수준을 비교하였다. Fig. 4는 구조해석 모델을 이용한 구조해석 적용방법과 구조해석 모델의 경계조건을 나타낸 것으로 보강형 3차원 상세해석 모델의 경우 전체 현수교 해석에서 나타난 강박스 거더의 모멘트를 보강형 구조해석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케이블 정착부는 MPC (Multi Point Constraint)기능을 이용하여 현수케이블과 연결된 행어 케이블 정착부를 고정단으로 설정하였으며, 보강형 양쪽 단부 또한 MPC 기능을 이용하고 모멘트 도입을 위하여 경계조건을 자유단으로 설정하였다(ABAQUS, 2014).

Fig. 4

FEA Process and Boundary Conditions

2.3 보강형 구조해석 모델의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조해석 모델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 교량에 대한 하중 재하시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센터스테이부 피로균열의 경우 차량에 의한 직접적인 하중전달이 발생하지 않은 위치이므로 재하실험 결과에서 차량 하중이 직접 재하되지 않은 곳에 설치된 변형률 게이지 결과를 이용하여 구조해석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였다(KALIS, 2017, 2018, 2022). 대상 현수교에 대한 하중재하 실험은 설계차량하중의 약 80% 수준인 총 중량이 260.40 kN과 249.30 kN의 3축 트럭 두 대를 현수교 중앙부에 재하하여 얻은 결과로 앞에서 설명한 전체 현수교에 대한 차량재하 결과 나타난 보강형 곡률과 모멘트를 강박스 보강형 구조해석에 적용하여 나타난 응력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Figs. 56은 차량 재하조건 및 변형률게이지 설치 위치를 나타내었으며, Fig. 7Table 1에 재하실험 결과와 구조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Na et al., 2019).

Fig. 5

Loading Test and Stress Measurement Position

Fig. 6

FE Analysis Result of Loading Test and Stress Measurement Position

Fig. 7

Stress Measurement Comparison

Comparison of Loading Test and FEA Results

Fig. 7Table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중재하 실험결과 나타난 강바닥판 부재의 변형률 결과와 전체 현수교에 해석모델과 강박스 보강형 3차원 구조해석 모델을 이용한 FEA 구조해석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구조의 거동을 비교하기 Fig. 6과 같은 위치에서의 응력게이지 결과값을 구조해석 모델과 비교하였다.

차량 바퀴의 하중이 직접 재하되지 않은 부재는 현수교 전체 교량의 거동과 행어 케이블의 영향을 고려할 경우 본 연구에 적용한 구조해석 모델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스테이부 피로균열부에 대한 차량하중의 상대적인 영향 또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현수교 보강형 피로균열부 차량하중 영향 분석

3.1 현수교 차량 재하조건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선택한 현수교 보강형 센터스테이부 케이블 정착부에 대한 차량하중의 상대적인 영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 현수교에 대한 차량하중은 대상 교량의 설계하중인 DB-18 하중을 기준으로 중앙경간에 교축방향으로 1/4 L, 1/3 L, 1/2 L 위치에 각각 중앙재하, 편측재하, 1, 2차로 동시재하 하여 총 9가지로 구분하였다. 대상 현수교의 설계차량 하중 수준을 기준으로 대상교량의 차량 통행 사례를 고려하여 설계차량의 하중 수준을 10%씩 최대 50%까지 증가시켜 이에 의한 응력 변동 수준을 확인하였다. 센터스테이부 응력변동 수준 검토는 대상 교량에서 발생한 피로균열의 위치를 고려하여 강박스 내측 보강판 부분과 강박스 상부 센터스테이 케이블 정착부 부분을 구분하였다.

또한 대상 현수교의 경우 주탑이 강재이며 보강형 단면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차량하중에 의한 충격계수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재하실험 결과 나타난 대상 교량의 충격계수를 구조해석 결과에 반영하여 대상 교량 보강형 센터스테이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응력변동 수준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재하실험결과 나타난 이동하중에 의한 충격계수가 중앙경간에서 최대 0.060으로 평가되어 본 연구에서 검토한 응력변화에는 이를 반영하지 않았다(KALIS, 2017, 2018, 2022). Fig. 8에 구조해석에서 고려된 하중 재하조건을 나타내었다.

Fig. 8

Load Cases for FE Analysis

3.2 차량하중 변화에 따른 센터스테이부 응력변화

차량하중 변화에 따른 현수교 보강형 센터스테이부 케이블 정착부의 응력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피로균열 발생 위치에 따른 응력변화 수준을 비교하였다. Fig. 9는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센터스테이 피로균열부의 응력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내측 보강판 피로균열부의 경우 피로균열이 발생한 곳과 동일한 용접부에서 상대적으로 응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센터스테이 케이블 정착부 또한 피로균열이 발생한 위치에서 최대 응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FE Analysis Results

구조해석결과 나타난 보강형 센터스테이부 보강판 부분에 대한 응력변화 결과를 차량 하중 증가와 하중재하 위치에 따라 Table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Von-mises 응력의 경우 응력수준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균열발생 위치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하중변화에 따른 응력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Von-mises 응력을 축방향 응력과 함께 제시하였다.

Stress Change in the Outer Girder by Vehicle Load Change (MPa)

Table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센터스테이부 내부 보강판 부분의 경우 차량하중 증가에 따라 피로균열부의 응력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DB-18의 하중증가 없이(0%) 편측재하 1/2 L에서 (Truck loading II)에서 –40.45 MPa (교축방향, S33)가 발생되었으며, 중앙재하 시 발생응력 –5.87 MPa과 1, 2차로 동시재하 시 발생응력 –20.63 MPa 보다 큰 값이며, 이는 편측재하에 의한 비틂의 영향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Fig.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중앙재하, 1, 2차로 동시재하시의 교축방향(S33) 응력을 살펴보면, 1/4 L과 1/3 L 재하시에는 인장으로 발생되나 피로균열이 발생된 센터스테이에 차량이 인접 재하될 시(1/2 L)는 압축으로 작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ss Change in the Inner Stiffener by Vehicle Load Change (MPa)

Fig. 10

Stress Difference between LC1/2 and LC1/4

Fig. 10는 보강형 내부 수직보강재와 외부 센터스테이 피로균열부의 1/2 L 재하와 1/4 L 재하시의 응력(S33) 차이를 차량하중 0%~50% 증가시에 대해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며 선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센터스테이의 균열 발생부의 경우 용접상태에 따른 피로상세 범주를 명확히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용접단을 매끈하게 연마하지 않은 모든 변화부 반경과 보강거더 외부는 응력작용방향에 직각 또는 평행하게 필릿용접된 연결부 중 용접단에서의 모재금속에 대하여 상세범주 E를 적용하는 것으로 고려(KALIS, 2017, 2018, 2022)하여 허용피로응력이 40 MPa라면 편재하시 DB-18 하중의 약 1.3배 이상, 1, 2차로 동시 재하시 DB-18 하중의 약 1.2배 이상의 하중이 발생하면 내부 수직보강재에 피로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에 설계하중 조건 변화에 따른 0%, 30%, 50% 하중재하 조건의 교축방향(S33) 응력의 상대적 차이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강형 외부 센터스테이의 피로균열부 역시 편측 재하시가 중앙재하, 1, 2차로 동시재하 보다 Von-mises응력이 크며, 다만 중앙재하, 편측재하, 1, 2차로 동시재하시 내부 수직보강재의 교축방향(S33) 응력을 살펴보면, 1/4 L과 1/3 L 재하시에는 인장으로 발생되나 피로균열이 발생된 센터스테이에 차량이 인접 재하될 시(1/2 L)는 압축으로 작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터스테이에 차량이 인접 재하될 시(1/2 L) 보강형 외부 센터스테이의 피로균열부는 내부 수직보강재 피로균열부에 비해 발생응력의 수준이 크지 않고, 내부 보장재 피로균열부는 편측재하, 1, 2차로 동시재하시 50%의 하중 증가가 있는 경우 허용피로응력 40 MPa를 초과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보강형 내부 수직보강재의 피로균열이 발생된 후 외부 센터스테이에서 순차적으로 균열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며, 내부의 균열이 발생된 후 응력의 재분배 등으로 인하여 센터스테이에서의 응력분포가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

Stress Results at Each Loading Point

4. 결 론

본 연구는 현수교 보강형과 주케이블이 연결된 센터스테이부 내측 보강판과 외측 케이블 정착부에서 발생한 피로균열에 대한 차량하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차량재하 위치와 차량 중량변화를 고려한 응력변화를 3차원 구조해석 모델과 강바닥판 상세를 고려한 3차원 상세 구조해석 모델을 이용하였다. 또한 구조해석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수교 하중재하 실험결과를 구조해석 모델과 비교하여 구조해석 모델과 해석방법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 현수교 보강형에 대한 하중재하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편측재하시 Von-mises 응력이 중앙재하, 1, 2차로 동시재하의 응력보다 크며 이는 편재하에 의한 비틂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며, 보강형 내부 피로균열 발생부와 센터스테이 인접 피로균열 발생부에서 전체 지간의 1/4, 1/2 지점 재하시의 응력차이를 비교할 경우 압축응력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 2) 현수교 보강형에 대한 3차원 상세구조해석 결과 센터스테이 보강형 내부 수직보강재 피로균열 발생부는 설계하중인 DB-18의 1.2~1.3배의 하중이 재하될 경우 균열부의 피로상세로 고려될 수 있는 허용피로응력 수준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피로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3) 센터스테이 인접 상부에 나타난 피로균열부의 경우 설계하중 DB-18의 1.5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검토된 허용피로응력 수준을 초과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응력수준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내부 수직보강재의 피로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내부 수직보강재의 피로균열이 발생된 후 외부 센터스테이 상부에서 피로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하여 피로균열의 발생과정 등이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센터스테이에서 발생한 균열의 경우 차량재하 위치에 따른 보강형의 거동 변화와 이에 따른 하중 효과 그리고 균열에 의한 응력 변화 및 재분배에 따라 균열특성 및 진전 등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동적효과 및 보강형 강성변화, 균열부 용접상세에 대한 정밀 모델링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ASHTO. 2012.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USA:
2. ABAQUS. 2014. Abaqus/CAE User's Guide Dassault Systems Simulia Corp.
3. Bae D.B, Oh C.K, Choi J.Y. 2019;Development of Fatigue Free Orthotropic Steel Deck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31(1):43–52.
4. Choi J.H, Kim S.H. 2005;Evaluation of Local Stresses and Fatigue Crack of Longitudinal Rib to Cross Beam Joints in Orthotropic Steel Dec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64):1053–1060.
5. Choi J.H, Choi H.Y, Choi D.H, Lee C.G. 2000;Fatigue Crack Growth Analysis in Trough Rib to Cross Beam Joints in Orthotropic Steel Dec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361–364.
6. Gurney T. 1992. Fatigue of steel bridge decks:No. 8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7. KALIS. (2017 2018, 2022). Inspection Report of NamHae Bridge Korea Authority of Land &Infrastructure Safety.
8. Kolstein M.H, Leendertz J.S, Wardenier J. 1995. Fatigue performance of the trough to crossbeam connection in orthotropic steel bridge decks. In Nordic Steel Construction Conference'95 Malmo:
9. Kyung K.S, Shin D.H, Kim K.H. 2006;Analyt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Orthotropic Steel Deck considered the Fatigue Behaviors of Structural Detai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8(4):417–426.
10. Kyung K.S, Shin D.H, Kim K.H, Park K.J. 2007;Analytical Study on the Reinforced Details of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0(4):443–451.
11. Lee S.J, Kyung K.S, Park J.E, Lee H.H. 2012;Characteristic of Local Behavior in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with Open Ribs according to Running Vehi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4(1):101–108.
12. Midas CIVIL. 2021. Midas Civil On-line Manual MIDAS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13. Na S.O, Lee T.J, Park K.H, Lee T.H, Kang Y.K, Hwang I.B. 2019;Fatigue Damage Estimation of Suspension Bridge's Center-stay Fatigue Cracks.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1):46–52.
14. Shin J.C, An J.O, Yoon T.Y. 2007;A Numerical Analysis on The Diaphragm Structures for Improving Fatigue Performance in Orthotropic Steel Dec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9(6):559–573.
15. Sun C.W, Park K.J, Kyung K.S, Kim K.H. 2008;Analy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atigue Behavior in Connection Parts of Orthotropic Steel Deck with Retrofitted Structural Details in Longitudinal Rib.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105–11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Fatigue Crack in the Center-stay

Fig. 2

Dimensions of the Target Suspension Bridge

Fig. 3

3D FE Analysis Model for the Target Suspension Bridge

Fig. 4

FEA Process and Boundary Conditions

Fig. 5

Loading Test and Stress Measurement Position

Fig. 6

FE Analysis Result of Loading Test and Stress Measurement Position

Fig. 7

Stress Measurement Comparison

Table 1

Comparison of Loading Test and FEA Results

Comparison of loading test and FEAs results
Test (MPa) FEA (MPa) Test/FEA(%)
ST1 26.70 27.25 102.1
ST2 31.76 31.41 98.9
ST3 30.93 30.59 98.9

Fig. 8

Load Cases for FE Analysis

Fig. 9

FE Analysis Results

Table 2

Stress Change in the Outer Girder by Vehicle Load Change (MPa)

Load ratio (DB-18) Truck loading Truck loading I Truck loading II Truck loading III
Load case 1/4 L 1/3 L 1/2 L 1/4 L 1/3 L 1/2 L 1/4 L 1/3 L 1/2 L
0% Von-mises 13.21 0.42 10.65 8.45 8.75 14.85 17.30 13.26 10.43
S11 (Transverse) -0.26 0.02 0.29 -1.06 -1.79 -3.00 0.16 -0.64 -1.16
S22 1.65 0.04 -1.33 1.74 1.50 1.86 1.97 0.87 -0.35
S33 (Longitudinal) 13.34 0.44 -10.70 5.72 -0.89 -6.28 15.07 2.43 -10.10
10% Von-mises 14.79 0.59 11.64 9.30 9.60 16.27 19.03 14.45 11.21
S11 (Transverse) -0.29 0.02 0.32 -1.15 -1.96 -3.28 0.21 -0.70 -1.25
S22 1.85 0.06 -1.45 1.90 1.65 2.04 2.12 0.94 -0.38
S33 (Longitudinal) 14.93 0.62 -11.70 6.29 -0.93 -6.86 17.37 2.61 -10.86
20% Von-mises 16.39 0.79 12.66 10.23 10.45 17.75 20.17 15.53 12.39
S11 (Transverse) -0.31 0.02 0.35 -1.25 -2.13 -3.58 0.27 -0.76 -1.39
S22 2.05 0.08 -1.58 2.07 1.78 2.23 2.39 1.01 -0.41
S33 (Longitudinal) 16.55 0.82 -12.72 7.05 -0.97 -7.46 19.57 2.81 -11.97
30% Von-mises 18.05 1.01 13.72 11.24 11.38 19.17 21.38 16.77 13.32
S11 (Transverse) -0.34 0.03 0.38 -1.35 -2.31 -3.87 0.32 -0.83 -1.49
S22 2.24 0.10 -1.71 2.27 1.94 2.40 2.63 1.09 -0.44
S33 (Longitudinal) 18.23 1.04 -13.79 7.71 -1.00 -8.06 21.97 3.06 -12.87
40% Von-mises 19.75 1.25 14.72 12.25 12.18 20.65 23.52 17.86 14.32
S11 (Transverse) -0.36 0.03 0.40 -1.46 -2.48 -4.17 0.36 -0.89 -1.60
S22 2.46 0.13 -1.837 2.49 2.10 2.59 2.87 1.17 -0.47
S33 (Longitudinal) 19.95 1.29 -14.79 8.62 -1.01 -8.65 24.17 3.29 -13.84
50% Von-mises 21.48 1.51 15.71 13.24 13.02 22.05 25.88 19.13 15.39
S11 (Transverse) -0.39 0.03 0.43 -1.56 -2.65 -4.45 0.42 -0.96 -1.72
S22 2.67 0.16 -1.96 2.68 2.25 2.77 3.15 1.25 -0.51
S33 (Longitudinal) 21.70 1.56 -15.78 9.39 -1.07 -9.22 26.60 3.53 -14.88

Table 3

Stress Change in the Inner Stiffener by Vehicle Load Change (MPa)

Load ratio (DB-18) Truck loading Truck loading I Truck loading II Truck loading III
Load case 1/4 L 1/3 L 1/2 L 1/4 L 1/3 L 1/2 L 1/4 L 1/3 L 1/2 L
0% Von-mises 8.20 0.38 6.35 10.03 24.42 44.20 15.53 18.16 22.33
S11 (Transverse) 1.05 0.05 -0.82 -0.45 -1.19 -2.17 0.75 -0.11 -1.13
S22 1.77 0.08 -1.37 -1.81 -3.82 -6.69 1.54 -0.46 -3.10
S33 (Longitudinal) 7.57 0.35 -5.87 -8.93 -22.24 -40.45 12.38 -2.83 -20.63
10% Von-mises 9.19 0.51 6.95 10.73 26.86 48.47 17.08 19.52 24.00
S11 (Transverse) 1.17 0.06 -0.89 -0.49 -1.29 -2.38 0.86 -0.12 -1.21
S22 1.98 0.11 -1.51 -1.97 -4.19 -7.34 1.76 -0.49 -3.33
S33 (Longitudinal) 8.48 0.47 -6.42 -9.56 -24.24 -44.35 14.64 -3.06 -22.18
20% Von-mises 10.48 0.65 7.54 11.75 29.01 52.96 18.10 21.08 26.67
S11 (Transverse) 1.34 0.08 -0.97 -0.53 -1.38 -2.60 0.99 -0.13 -1.35
S22 2.25 0.14 -1.63 -2.13 -4.56 -8.02 2.00 -0.52 -3.72
S33 (Longitudinal) 9.67 0.60 -6.97 -10.24 -26.42 -48.46 16.68 -3.29 -24.63
30% Von-mises 11.24 0.81 8.18 12.51 31.04 57.26 19.91 22.68 28.65
S11 (Transverse) 1.44 0.10 -1.05 -0.56 -1.52 -2.80 1.11 -0.15 -1.45
S22 2.41 0.17 -1.77 -2.31 -4.94 -8.68 2.23 -0.56 -3.99
S33 (Longitudinal) 10.37 0.74 -7.56 -11.16 -28.56 -52.39 18.72 -3.53 -26.47
40% Von-mises 12.31 0.98 8.77 13.34 33.84 61.75 22.10 24.49 30.80
S11 (Transverse) 1.57 0.12 -1.13 -0.59 -1.64 -3.02 1.23 -0.16 -1.56
S22 2.64 0.20 -1.90 -2.47 -5.33 -9.37 2.48 -0.59 -4.29
S33 (Longitudinal) 11.35 0.91 -8.11 -11.83 -30.48 -56.49 20.78 -3.80 -28.46
50% Von-mises 13.39 1.16 9.36 14.13 36.19 66.01 24.27 26.25 33.11
S11 (Transverse) 1.71 0.15 -1.20 -0.63 -1.75 -3.23 1.36 -0.17 -1.67
S22 2.87 0.24 -2.03 -2.64 -5.71 -10.02 2.71 -0.62 -4.61
S33 (Longitudinal) 12.35 1.08 -8.65 -12.52 -32.92 -60.39 22.82 -4.07 -30.59

Fig. 10

Stress Difference between LC1/2 and LC1/4

Fig. 11

Stress Results at Each Loading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