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조건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수치해석적 분석

Pressurization System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for Smoke Control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24;24(5):165-17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24.24.5.165
김정엽*
*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선임연구위원(E-mail: jykim1@kict.re.kr)
Member, Senior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Fire Safety Research, KICT
* 교신저자,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선임연구위원(Tel: +82-31-369-0506, Fax: +82-31-369-0540, E-mail: jykim1@kict.re.kr)
* Corresponding Author, Member, Senior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Fire Safety Research, KICT
Received 2024 September 06; Revised 2024 September 10; Accepted 2024 September 20.

Abstract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과 소방대원의 효과적인 구조·진압 작전을 위해서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피난계단에서의 연기 방호를 위해서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501A)’이 국가기준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송풍기, 풍도 및 급기댐퍼의 급기시스템을 사용하여 부속실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층 규모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누설량·보충량의 풍량, 압력 손실 및 송풍기 선정 등을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네트워크 모델 기반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CONTAM을 이용하여 각 운전조건에 따라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형성되는 유동장을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Trans Abstract

The importance of smoke control systems has been emphasized for a safe evacuation and efficient firefighting activities during fire situations. To protect stairwells from smoke hazards, ‘Design Guide for Smoke Control System of Special Evacuation Stairwell and Lobby (NFPC501A)’ has been presented. In domestic area, pressurization systems utilize an air supply system consisting of fans, ducts, and dampers for supplying the outdoor air to the lobbies . For a 10-story model building, the design of the pressurization system must consider the leakage/supply flow rate, pressure loss, and fan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flow field of the pressurization system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was analyzed using CONTAM network model.

1. 서 론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피난과 소방대원의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피난자의 인명에 가장 큰 위협 중 하나가 되고 있는 연기의 방호를 위한 연기제어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계단을 통한 피난 과정에서 계단실로의 연기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계단실 및 부속실 연기제어시스템이 건축물에 설치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방청 관할의 관련 화재안전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계단실 및 부속실 연기제어시스템으로서 대부분의 건축물에 설치되고 있는 방식은 송풍기와 풍도를 이용하여 옥내와 계단실 중간에 있는 부속실에 급기함으로써 부속실의 압력을 상승하여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이 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유동장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적합하게 설계하고 설치 및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기역학적으로 타당한 설계방안이 도입되어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관련분야의 이전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검토되었다. Seo (2015)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부속실의 방연풍속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해 방연성능의 적합성을 분석하고 방연성능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Shin (2014)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급기풍량 제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자동차압급기댐퍼에 대해서 누설량 측정 실험, 누설량의 영향성 평가 및 개방력 유지의 허용 누설량 산정 등의 제연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Ko (2017)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누기율 시험설비 구조를 대상으로 급기가압에 의해 형성되는 옥내, 부속실 및 계단실에서의 유동특성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국부적인 누설이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전체적인 유동패턴과 압력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Lee and Choi (2016)는 급기가압 제연구역 출입문의 개방력 측정에 대한 신뢰성 확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디지털 측정기의 정밀도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석하였다. Kim (2016)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대한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서 1층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정상적인 방연풍속의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Lee (2014)는 공동주택에서 세대 출입문, 피난계단 출입문 및 계단실 창문의 개폐조건을 고려하여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방연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유동장 해석을 위해 관련 기관에서 다수 이용하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미국 NIST에서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네트워크 모델 기반의 CONTAM 프로그램이다. CONTA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대해서 검토가 진행된 사항들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다. Kim et al. (2019)은 CONTAM을 사용한 수치해석적 분석을 통해서 직렬형태의 새로운 제연구역 구조에 대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Jung (2021)은 CONTAM을 사용하여 승강기에 대한 승강로 및 덕트 가압방식 연기제어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손실계수값을 조절하면서 부속실에 형성되는 차압을 분석하였다. Kim and Shin (2010)은 20층 규모의 모델 건축물에 대해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CONTAM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가동한 상태에서 건축물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피난계단 1식으로 구성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해석모델로 하였고, 누설량과 보충량 및 송풍기 정압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풍량과 정압에 대해 송풍기 성능곡선을 활용하여 송풍기 사양을 선택하였다. CONTAM 프로그램에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반영하기 위해서 송풍기 모델, 자동차압급기댐퍼 모델, 출입구 모델 등을 타당하게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운전조건으로 모든 층의 출입문이 닫혀있는 경우와 피난을 위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에 대해 각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송풍기의 풍량-압력손실 거동특성이 반영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송풍량과 정압 형성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실제 가동조건을 반영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분석기술을 제시하고,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설계내용과 실제 가동조건에 따른 운전결과의 차이점을 검토하며, 실제 운전결과가 설계목표를 벗어나는 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시스템 설계

2.1 설계 대상 모델 건축물

시스템 구성 요소의 실제적 동작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유동장 분석을 위한 대상 모델 건축물은 Fig. 1과 같이 지상 10층의 건물이고 분석범위는 특별피난계단 1식을 중심으로 하는 계단실, 부속실 및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은 송풍기, 풍도 및 자동차압급기댐퍼로 구성된다. 송풍기는 10층의 위층인 옥상층에 설치된 것으로 설정하였다. 옥내로부터 부속실로 연기의 침투를 막기위한 차압은 국내 화재안전기준의 최소차압 40 Pa과 개방력 110 N을 고려하여 설정치를 50 ± 10 Pa로 설정하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Model Building

2.2 풍량, 압력 및 송풍기 설계

2.2.1 누설량 및 보충량 산정

건축물 내 부속실의 출입문이 닫혀 있는 층에서 각 층의 부속실에서의 누설량 QLEq. (1)과 같다.

(1)QL=CDAD2ΔPρ×N

Eq. (1)에서 CD 는 출입문 유동계수, AD 는 출입문의 누설틈새면적, ΔP 는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 ρ 는 밀도, N 은 층수를 의미한다.

일시적으로 출입문이 열릴 경우에 부속실 안으로 연기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연풍속을 생성하도록 부속실에 공급하여야 하는 보충량 QSEq. (2)와 같다.

(2)QS=S×V0.6Q0

Eq. (2)에서 S 는 출입문 면적, V 는 방연풍속, Q0 는 옥내유입풍량을 의미한다.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송풍기 설계에서 총 송풍기 급기량 QtEq. (3)과 같이 누설량과 보충량의 합으로 계산한다.

(3)QT=QL+QS

본 연구의 적용모델에 대해 계산된 누설량과 보충량은 각각 3,241 CMH와 7,076 CMH가 되고 총 송풍기 설계 급기량은 10,317 CMH가 된다.

2.2.2 송풍기 정압 산정

송풍기의 설계 급기량에 대해서 급기풍속을 20 m/s로 적용하여 풍도의 면적을 구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풍도의 단위길이당 압력손실과 급기유로 부속류의 압력손실 및 댐퍼 압력손실 등을 고려하여 송풍기의 정압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모델에 대해 계산된 송풍기 설계 정압은 941 Pa이 된다.

2.2.3 송풍기 사양 선정

공기의 급기 시스템에서는 송풍기의 총 공급풍량과 급기유로의 압력손실이 도출되면, 여러 송풍기 모델의 성능곡선을 검토해서 도출된 결과를 만족하는 송풍기를 선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합에 의해서 산정된 송풍기의 설계 풍량과 송풍기 급기유로의 압력손실에 의해서 산정된 송풍기의 설계 정압을 바탕으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풍기의 사양을 선정한다. 송풍기 성능곡선에서 송풍기의 풍량과 정압이 모두 만족되는 교점의 여부를 검토하여 송풍기 사양을 선정할 수 있다. Fig. 2는 실제 판매되고 있는 송풍기의 성능곡선을 기반으로 풍량과 정압의 교차점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검토한 10,317 CMH의 송풍기 풍량과 941 Pa의 송풍기 정압을 만족하는 송풍기 사양 선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Fig. 2

Selection of Fan

3. 수치해석 모델

3.1 네트워크 모델 기반 유동해석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구성 요소의 실제적 동작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운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모델에 기반한 CONTAM 3.4 프로그램(NIST, 2020)을 사용하였다. CONTAM 프로그램은 각 구획실을 각각의 결점으로 상정하고, 각 구획실간 공기유동 저항과 생성 압력 및 유량 등의 변수에 대한 대수 연립방정식을 행렬식 수치해법에 의해 계산한다.

3.2 송풍기 모델링

본 연구에서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송풍기 운전특성에 의해 변동하는 시스템 압력손실과 생성유량을 도출하기 위해서 송풍기 모델로서 Fan Performance Curve 모델을 채택하였다. Fan Performance Curve 모델에서는 동일한 회전수에서의 송풍기 성능곡선을 입력하고, 입력한 성능곡선에 따라 급기유량과 시스템 압력손실이 결정되도록 한다.

Fig. 3Fig. 2에서의 풍량과 정압 교차점을 포함하는 송풍기 성능곡선을 CONTAM 프로그램에 입력한 결과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Fan Curve of CONTAM

3.3 자동차압급기댐퍼 모델링

자동차압급기댐퍼는 댐퍼날개가 완전히 닫혀있는 경우와 댐퍼날개가 가동하여 열려있는 경우에 대해 각각 댐퍼 전후의 압력차와 유량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3.3.1 급기댐퍼 날개가 닫혀있는 경우

부속실 벽면과 풍도 사이에 설치되는 급기댐퍼는 평상 시에 날개가 닫혀있고, 또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가동시에는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개방력 이상이 되도록 초과하면 과압을 방지하기 위해서 급기댐퍼 날개가 닫혀지게 된다. 댐퍼의 날개가 닫혀있는 경우 댐퍼 전후 압력차와 날개 틈새 등으로의 누설량 사이 관계는 다음의 Eq. (4)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4)Q=Ct(ΔP)n

Eq. (4)에서 Ct 는 자동차압급기댐퍼 전체유동계수, ΔP 는 자동차압급기댐퍼 전후의 차압, n 는 지수를 의미한다.

Eq. (4)에서 실제 급기댐퍼와 관련된 Ctn 값은 차압-누설량 실험을 통해서 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Jang (2018)의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 한 A 댐퍼 샘플(철재, 평행익 회전)의 실험 그래프를 대상으로 곡선을 추출하였고, 0.00162, 0.5의 값을 도출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3.3.2 급기댐퍼 날개가 열려있는 경우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가동하게 되면 댐퍼 날개가 회전하면서 송풍기의 급기공기가 부속실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댐퍼날개의 개도가 조절되어서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설계범위내에 있도록 자동 조절된다. 또한 출입문이 열린 층에서는 방연풍속이 생성되도록 댐퍼날개를 완전히 열어서 보충량을 부속실로 공급한다.

위와 같은 동작은 급기댐퍼를 통과하는 급기유량과 댐퍼 전후의 압력차의 관계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Eq. (5)의 유동방정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5)ΔPD=CDρVD22

Eq. (5)에서 ΔPD 는 댐퍼 전후의 압력차, CD 는 손실계수, VD 는 댐퍼통과 유동속도를 의미한다.

Eq. (5)에서와 같이 댐퍼 전후의 압력차가 설계범위내에 있도록 손실계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급기댐퍼 날개 개도 상태를 모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ONTAM의 Duct Terminal 모듈에서 제공하는 손실계수 설정기능을 활용하였다.

3.4 출입구 모델링

구획실 사이 출입구는 누설량과 차압의 일반적인 관계식인 Eq. (6)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6)Q=CAd2ΔPρ

Eq. (6)에서 Q 는 누설량, C 는 출입문 유동계수, AD 는 누설면적, ΔP 는 차압을 의미한다.

출입구 유동계수는 0.65를 적용하였으며 출입구의 면적은 2.0 × 0.9 m로 설정하였다. 출입구가 닫혀있는 경우 국내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여 누설면적은 0.011 m2으로 적용하였다.

3.5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대한 전처리 작성

본 연구의 해석대상인 특별피난계단 1식에 대한 CONTAM 해석의 주요 전처리 구성은 Fig. 4와 같다. 그림은 한 개층의 구성도로서 주요 구획실은 Zone으로 설정하고 각 구획실간 출입구, 풍도 및 급기댐퍼는 각각 CONTAM의 Airflow Path, Duct Flow, Duct J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Fig. 4

Floor Plan of Simulation Model

4. 수치해석 수행 및 결과

4.1 수치해석 수행 조건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운전되는 기본 조건으로 Table 1과 같이 다음의 3가지 경우를 상정하였고, 각각의 조건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화재발생 신호가 감지되어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송풍기가 가동되는 초기상태이다. 이때에는 풍도로 급기공기가 공급되고 있으나 아직 급기댐퍼가 가동되지 않고 댐퍼날개가 열리지 않아서 부속실내 압력이 충분히 상승되지 않은 상태이다. 두 번째는 급기댐퍼가 가동되고 댐퍼날개가 열리면서 본격적으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모든 층의 부속실 내 출입문이 닫혀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모든 층에서 부속실과 옥내간 설정차압이 형성되도록 자동차압급기댐퍼가 누설량을 공급하며 운전하게 된다. 세 번째는 재실자의 피난과정에서 출입문이 개방되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출입문이 개방된 층에 위치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날개가 완전히 열리고 부속실로 보충량이 공급되어 방연풍속이 형성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6층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Case of Numerical Analysis

4.2 수치해석 결과 및 검토

Fig. 5는 각 해석조건에 대해서 각 층별로 옥내와 부속실간 형성되는 차압을 보여주고 있다. Case 1의 경우 화재초기에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송풍기가 가동되어 풍도에는 급기공기가 공급되고 있으나 급기댐퍼가 가동되지 않아 댐퍼날개가 닫혀있는 상태로서 댐퍼날개의 틈새로 급기공기 중 일부가 부속실로 누설되면서 이로 인해 부속실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부속실 압력은 풍도에 형성되는 압력과 급기댐퍼 날개틈새 조건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댐퍼날개가 닫혀있고 날개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풍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부속실에 형성되는 압력 역시 높지 않으며 10층에서는 약 18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된다. 또한 송풍기가 옥상층에 설치되었고 이로 인해 풍도내 압력이 아래층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부속실 압력도 선형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ase 2의 경우 급기댐퍼가 가동되고 댐퍼날개 개도가 조절되면서 각 층에서의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설정차압 구간으로 유지되는 상태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날개 개도 상태는 급기댐퍼 모델링에서의 손실계수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된다. 수치해석에서는 각 층 부속실의 압력이 약 49~53 Pa 정도로 형성되었다. Case 3의 경우 6층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각 층 부속실 차압을 보여주고 있다. 10층에서 7층까지는 옥상층에 설치된 송풍기에서 급기공기가 공급되고 급기댐퍼 날개 개도를 조절해서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설정차압 구간안에 유지된다. 그리고 6층은 부속실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출입문으로 방연풍속 이상의 풍량이 유출되고 부속실의 압력도 약 5 Pa 정도로 낮게 형성된다. 그런데 이때 6층 부속실 출입문으로 대부분의 송풍기 급기유량이 유출되기 때문에 5층 이하의 부속실에는 누설량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급기유량이 부족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그림에서와 같이 5층 이하 부속실에서의 압력은 약 3~9 Pa 정도로 낮게 형성된다. 즉 부속실 출입문이 열리는 층의 아래에 위치한 층에서는 부속실로 공급되어야 하는 적정 급기유량에 비해 크게 감소한 유량이 공급되고 차압 역시 감소하면서 부속실 내부로의 연기침투를 막기 곤란할 수 있다.

Fig. 5

Distributions of Pressure in Lobby

Fig. 6은 자동차압급기댐퍼의 날개 개도 상태를 모사하기 위해 설정하는 Duct Terminal 모듈의 손실계수(CD)에 대한 적용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Case 2의 경우 10층에서 손실계수로 2,500을 적용하였으며, 아래층으로 갈수록 풍도의 압력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급기댐퍼 날개를 더 열어야 하므로 그림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손실계수가 줄어든다. Case 3의 경우 Case 2에 비해 급기유로의 압력손실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10층 풍도의 압력도 하강하면서 10층 부속실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급기댐퍼 날개가 Case 2에 비해서 더 열려야 한다. Case 3에서는 10층에서의 손실계수로 1,400을 적용하였으며, 6층 이하에서는 급기댐퍼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로서 손실계수로 0.001을 적용하였다.

Fig. 6

Distributions of CD

Fig. 7은 각 해석조건에 대해서 각 층 높이의 풍도에서의 압력값을 보여주고 있다. Case 1의 경우 10층 높이의 풍도 내부에 약 628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되고 아래 층으로 내려오면서 선형적으로 하강하여서 1층 높이의 풍도 내부에는 약 137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된다. Case 2의 경우에는 Case 1에 비해 각 층의 풍도에서 각 부속실로 더 많은 급기공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풍도 내부 압력이 Case 1에 비해 적게 된다. 10층 높이의 풍도 내부에 약 562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되고 1층 높이의 풍도에서는 약 103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된다. Case 3의 경우 출입문이 개방된 6층에서 방연풍속 이상에 해당하는 다량의 급기공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다른 조건에 비해 크게 낮은 풍도내 압력이 형성된다. 특히 6층 하부의 풍도에서는 10 Pa 이하의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7

Distributions of Pressure in Duct

Fig. 8(a)Fig. 8(b)는 각 해석조건에 대해서 각 층별로 풍도에서 급기댐퍼를 통과하여 부속실에 공급되는 급기풍량을 보여주고 있다. Case 1의 경우 모든 급기댐퍼가 닫혀 있어서 댐퍼날개 틈새로 누설되는 풍량이 10층에서는 약 144 CMH 정도가 급기되며 1층에서는 약 66 CMH 정도가 급기된다. Case 2의 경우 모든 층의 급기댐퍼가 가동하면서 각 층에서의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설정차압 구간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누설량 정도의 유량이 급기되도록 하는 상태이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Case 2의 경우 각 층의 옥내와 부속실간 차압이 약 49~53 Pa 정도로 형성되고 있고, Fig. 8(a)에서와 같이 각 층의 부속실에 공급되는 급기풍량은 약 274~285 CMH가 된다. Case 3의 경우 6층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6층의 급기댐퍼가 완전히 열리고 6층 부속실로 보충량 이상의 급기유량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수치해석에서는 6층 부속실로 약 10,561 CMH 정도의 풍량이 공급되었고 출입문의 면적을 고려하면 약 1.63 m/s의 방연풍속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6층 부속실로 송풍기의 급기유량 중 대부분이 유출되기 때문에 5층 이하 부속실로 급기되는 유량은 5층 이하 부속실의 압력을 유지하기에는 매우 부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Fig. 8

Distributions of Flow Rate through Damper

Fig. 9는 각 해석조건에 대해서 송풍기의 운전점을 보여주고 있다.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설계 과정에서 송풍기 운전점으로 10,317 CMH / 941 Pa을 선정하였으며, 각 해석조건에 대한 급기유로의 실제 압력손실이 반영되면서 송풍기 성능곡선 상의 다른 지점이 실제 운전점으로 도출되었다. 송풍기 운전점은 Case 1의 경우는 11,943 CMH / 728 Pa이 되고, Case 2의 경우는 12,281 CMH / 668 Pa이 되며, Case 3의 경우는 13,459 CMH / 414 Pa이 된다.

Fig. 9

Operation Points of Fan

5. 결 론

건축물 화재시 피난계단에서의 연기 방호를 위해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층 규모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누설량·보충량의 풍량, 압력손실 및 송풍기 선정 등을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고, 네트워크 모델 기반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CONTAM을 이용하여 운전조건에 따라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형성되는 유동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1) 화재발생 신호 감지 초기에 송풍기가 가동되어 풍도로 급기공기가 공급되고 있으나 아직 급기댐퍼가 가동되지 않아서 부속실로 급기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Case 1)에서는 10층 부속실에서 약 18 Pa 정도의 압력이 형성되고 아래층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 (2) 급기댐퍼가 가동되어 모든 층의 부속실로 누설량 정도의 급기공기가 공급되면서 모든 층의 부속실과 옥내간 설정차압이 형성되는 상태(Case 2)에서는 각 층의 부속실 압력이 약 49~53 Pa 정도로 설계값을 만족하고 있다.

  • (3) 6층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6층 급기댐퍼가 완전히 열리고 6층 부속실로 보충량 이상의 급기공기가 공급되는 상태(Case 3)에서는 6층으로 설계 보충량보다 더 큰 풍량이 공급되어 6층 출입문에서 약 1.63 m/s의 높은 방연풍속이 형성되고, 5층 이하의 부속실에는 누설량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급기유량이 부족하게 되어 부속실의 압력이 약 3~9 Pa 정도로 낮게 형성된다. 즉, 부속실 출입문이 열리는 층의 아래에 위치한 층에서는 부속실로 공급되어야 하는 적정 급기유량에 비해 감소한 유량이 공급되고 차압 역시 하락하면서 부속실 내부로의 연기침투를 막기 곤란할 수 있다.

  • (4) Duct Terminal 모듈의 손실계수를 활용하여 부속실 자동차압급기댐퍼의 날개 개도 상태를 적절하게 모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손실계수의 적용값에 따른 유동장 형성결과를 제시하였다.

  • (5)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설계과정에서 예상한 송풍기의 운전점에 비해서 실제 해석결과를 보면 각 해석조건에 대한 급기유로의 실제 압력손실이 반영되면서 송풍기 성능곡선 상의 다른 지점이 실제 운전점으로 도출된다.

  • (6) CONTA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송풍기 모델, Duct Terminal 모델, 틈새 유동 모델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해석에서 실제 운전조건을 반영하여 효과적이고 실효적인 검토가 가능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RS-2022-00156237)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Jang K.H. 2018;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let Air Exhaust Dampers in Vestibu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7):243–253.
2. Jung S.H. 2021;Performance Analysis of Smoke Control Systems for Elevators based on Pressuriz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1(3):105–113.
3. Kim M.S, Seo D.G, Gu S.H, Yoo Y.M, Song Y.J. 2019;Smoke Control Performance of a Serial Structure Using CONTA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33(6):53–62.
4. Kim J.Y, Shin H.J. 2010;Numerical Ananlysis on Pressurization System of Smok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Flow Rate of Supply and Leak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24(5):87–93.
5. Kim S.H. 2016.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Air Supply to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ning the Entrance to Smoke Control A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6. Ko G.H. 2017;Numerical Analysis on Flow Characteristics in the Pressurized Air Supply Smoke Control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31(4):52–58.
7. Lee C.W. 2014. The Effect of the Pressurization System in an Apartment Building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8. Lee G.O, Choi C.S. 2016;Reliablility Analysis of Access Door Opening Force Measured with a Digital Force Gauge of a Pressurized Smoke Control Zone and Present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Opening For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468–473.
9. NIST. 2020;CONTAM 3.4 User Guide and Program Documentation
10. Seo C.W. 2015.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 High Rise Building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1. Shin P.S. 2014. An Experimental Suty for the Improvement of Smoke Control Performance of Automatic Pressure Differential Overpressure Control Dampers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chematic Diagram of Model Building

Fig. 2

Selection of Fan

Fig. 3

Fan Curve of CONTAM

Fig. 4

Floor Plan of Simulation Model

Table 1

Case of Numerical Analysis

Case Condition
Damper operation Door
1 X Close
2 O Close
3 O Open on 6th floor

Fig. 5

Distributions of Pressure in Lobby

Fig. 6

Distributions of CD

Fig. 7

Distributions of Pressure in Duct

Fig. 8

Distributions of Flow Rate through Damper

Fig. 9

Operation Points of F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