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GeoSys를 이용한 해안 지역에서의 농업용 관정 이용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Well Location for Agricultural Water Use in Coastal Areas Using OpenGeoSys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국내 농⋅어업용 지하수 이용량은 연간 총 이용량의 53%를 차지하며,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해안 경계면에 인접한 농업용 지하수는 해수 침투로 인해 이용 가능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 모의를 이용하여 해안 경계면에서 농업용 지하수 이용 가능량을 파악하기 위해 관정 설치 위치와 심도를 고려하여 해수 침투에 따른 이용 가능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모의 결과, 해안 경계면으로부터 관정 설치 수평거리의 증가는 관정 설치 심도의 조절보다 침투 염분 농도를 약 20%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해안지역에서 농업용 관정 설치 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ans Abstract
The use of groundwater for agriculture and fisheries in South Korea accounts for 53% of the total annual usage and is on the rise. However, the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available near coastal boundaries is affected by seawater intrusion. Therefore, this study uses numerical simulations to estimate the available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near coastal boundaries,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depth of well installations. Increasing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well installation from the coastal boundary was demonstrated to reduce salinity intrusion concentration by approximately 20% more than adjusting the depth of well install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supplementary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when installing agricultural wells in coastal areas in the future.
1. 서 론
한국의 지하수 이용량은 약 28.9억m3로 연간 수자원 총이용량의 7.64%를 차지하며, 국내 지하수는 주로 생활용, 농⋅어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농⋅어업용으로 이용되는 지하수는 약 15.8 억 m3로 지하수의 이용량의 53%를 차지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3). 세계적으로는 인구의 50% 가 해안선 60 km 이내에 거주하고 있어 지속 이용하기 위한 지하수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Oude Essink, 2001a). 그러나, 해안지역에 위치한 농업용 관정은 바다에 인접한 특성으로 해수 침투(Seawater Intrusion, SWI)가 발생하며, 이는 지하수 이용량을 감소시킨다. SWI는 해안대수층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발생 원인은 자연에 의한 요인과 인위적 행위에 의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Jeen et al., 2021). 자연에 의한 요인은 지하수와 해수의 약 2.5%의 밀도 차이로 인해 해수가 지하수 하부로 침투하여 발생한다. 반면 인위적 행위에 의한 SWI는 과도한 양정 등이 원인이 된다(Werner et al., 2013). 농업용 관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해 양상으로 지하담수 및 토양 염분화에 따른 농작물 수확 감소 등이 있다(Lee et al., 2007). 더불어 관개를 위한 농업용 관정의 이용은 대수층으로의 SWI를 가속시킨다. 따라서, 해안지역에서 농업용 관정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이용을 위해 양정이 반영된 해수침투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안 및 도서 지역에서의 지하수는 용수 이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SWI 파악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선행되었다. 국내 해수침투에 대한 연구는 제주 지역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Ko (2006)는 제주도의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해 수문지질학적 특성에 따른 해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부존형태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Kim and Chang (2022)은 해수 침투 해석해 기반 제주 동부 담해저 지하수 유출의 정량적 산정 연구를 수행하여 해석학적 해수 침투 모델을 이용하여 해안 유출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국외의 선행연구로 Dibaj et al. (2020)은 FEFLOW를 이용하여 대만 Pingtung 지역의 해안대수층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수 침투 양상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Sarsak (2011)은 SEAWAT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강우, 해수면 변동에 대한 해수 침투 변화를 Gaza 북쪽 지역에 대해 예측하여 해수 침투가 함양률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Zhu et al. (2022)은 해수 침투와 간헐적 양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양정 조건에 따른 침투 염분 부피를 분석함으로써, 양정 시간이 담수로의 염분 침투 증가에 지배적으로 작용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SWI는 국내외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하는 방법 또한 해석적, 물리적, 수치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다만, 국내 해안지역에서 양정이 반영된 해수 침투 연구는 제주 지역을 제외하고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정이 반영된 SWI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수치 모형은 OpenGeoSys를 이용하여 SWI 분석을 수행하였다. SWI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수치 모형으로는 SEAWAT, FEFLOW 등이 있으나, FEFLOW는 구독형 소프트웨어로 자유롭게 이용하는 데에 제한이 있으며, SEAWAT은 MODFLOW 모형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새로운 packag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Lee et al., 2023). 반면, OpenGeoSys 모형은 오픈소스 기반 모형으로 자유롭게 수정 및 이용할 수 있으며, 모형 내 모듈 형태로 간단히 모의 대상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수와 담수의 밀도 차이에 대한 밀도 의존 흐름과 염분의 이송 및 확산을 복합 모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모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해안지역에서의 농업용 관정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려 인자로는 해안 경계면으로부터의 관정 설치 거치와 설치 심도를 조절하여 9가지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정상 상태의 해수 침투 조건을 비교하기 위한 해석해와 관정이 반영된 선행 실험연구를 이용하였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침투 염분 및 이용 가능 유무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SWI 및 양정 이론
2.1 Ghyben-Herzberg Ratio
SWI는 담수보다 약 2.5% 무거운 해수가 담수 하부에 침투하여 경계면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한다. 이에 대한 물리적 현상은 Ghyben과 Herzberg에 의해 최초로 정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G-H비 α로 표현될 수 있다(Verruijt, 1968). 해수와 담수의 밀도인 ρs, ρf의 일반적인 값을 1,025 kg/m3, 1,000 kg/m3으로 설정하고,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담수층의 두께를 h, 하부에 위치한 담수층의 두께를 H로 정의할 때, 대수층으로 침투하는 해수의 두께는 h = 40H 위치까지 해수가 침투할 수 있다. 식은 Eqs. (1), (2)와 같다(Fig. 1).
2.2 SWI Wedge Length
인위적 행위가 반영되지 않은 자연 현상의 SWI를 파악하기 위해 정상 상태의 침투 염수쐐기 길이인 SWI Length L을 파악하고자 한다. L은 인근지역의 염해를 입지 않기 위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검증을 위한 해석해 도출에 이용되었다. L은 비피압대수층 조건에서 Oude Essink (2001b)가 제시한 식을 선정하였으며, 지하수 유출량을 산정하는 Eq. (3)으로부터 Eq. (4)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Eq. (3)에서 q0는 x = 0 지점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출량이며, f는 담수층으로부터의 자연 함양량, W는 해안대수층으로부터 수체까지의 폭을 의미한다. Eq. (4)에서 k는 대수층의 수리전도도를 의미하며, D는 대수층의 두께이며, 최종적으로 SWI Length L이 계산된다.
2.3 Pumping Rate
농업용 관정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양수율(Pumping Rate)이 반영된 모의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피압대수층에서의 양수 조건으로 Dupuit 이 제시한 양수율 Q를 선정하였으며, 모의에 반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반영하였고, 식은 Eq. (5)와 같다(Mishram and Kuhlmanm, 2013).
대수층의 바닥은 수평면이다.
관정으로의 지하수 흐름에서 수직 성분은 무시한다.
동수경사의 수평 성분은 깊이에 따라 일정하며, 지하수면 경사와 동일하다.
관정 시추공에는 침윤면이 없다.
Eq. (5)에서 ∆h는 지하수위 변화량이며, r은 우물의 직경이다.
3. 연구 방법
3.1 OpenGeoSys (OGS)
SWI 분석을 위해 선정된 수치 모형 OpenGeoSys는 객체 기반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 해석 모형으로 다공질 매체 내에서의 지하수 흐름을 모의할 수 있는 모형이다. 모형은 오픈 소스로 쉽게 이용 및 코드 수정이 가능하다(Kolditz et al., 2012). 모형의 프레임워크는 열-수리-역학-화학적(Thermo-Hydro-Mechanical-Chemical, THMC) 현상을 포함하여 복합적으로 모의 수행이 가능하다(Fig. 2).
OGS를 이용한 SWI 모의를 위해 흐름에 대한 연속 방정식, 운동량 방정식, 오염원 이송 방정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하수 흐름에 대한 연속 방정식의 적용과 Darcy Equation을 기반으로 한 운동량 방정식, 염분 거동에 대한 이송에 의한 확산-분산 방정식이 적용되었으며, 관련 지배방정식은 Eqs. (6)~(10)으로 표현할 수 있다.
Eq. (6)에서 h는 지하수두이며, h0는 초기 지하수두이고, λh는 일정한 용질 부피에서 수두 변화에 따른 유체 압축성 계수이며, λC는 일정한 수두에서 용질의 농도 변화에 따른 팽창계수이고, C는 염분의 농도로써 수두에서 유체 밀도가 계산된다.
Eq. (7)에서 S는 포화율, ∅는 공극률, t는 시간,
Eq. (8)에서
3.2 모형 검증
OGS를 이용한 SWI 모의 수행이 해수 침투 물리 현상의 반영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모형의 검증 과정은 필수적이다. OGS를 본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Eq. (4)에 의해 산정된 SWI Length L을 이용하여 정상 상태의 SWI 모의 결과를 도출한 후, Zhu et al. (2022)에 의해 수행된 양정이 반영된 실험연구(Fig. 3)와 침투한 해수의 부피를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OGS 모형 도메인 구성은 실험연구를 참고하여 1.8 m × 0.54 m 범위로 제작되었으며, 격자는 직사각형 도메인 형상 특성으로 인해 사각격자를 채택하였다. 수두 경계는 좌측0.498 m, 우측0.478 m로 설정하였고, 해수 유입 경계는 우측으로 설정하였다.
비피압대수층 조건을 반영하기 위해 조립, 중립 미립질 모래로 구성된 계층화된 비피압대수층(Stratified Unconfined Aquifer, SUA)을 선정하였고, 공극률 및 투수계수 차이에 따른 모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관정 W1의 위치는 x = 108 cm, z = 0.9 cm이며, 직경은 d =1.5 cm이다.
검증을 위한 모의는 총 24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간헐적 양수를 반영하여 모의 종료 후 침투한 염수의 부피를 비교하였다. 침투한 염수의 부피를 산정하기 위한 염분 농도는 유입 염분의 1%에 해당하는 0.25 psu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모의에 적용된 수리 특성 및 parameters는 Table 2와 같으며, 실험 결과 침투한 염수의 부피는 7.45 L로 나타났으며(Fig. 4), OGS 모의 결과는 8.01 L로 7.52%의 오차를 획득함으로써 OGS 모형이 SWI 모의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3 시나리오 설정
해안지역에서 농업용 관정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안 경계면으로부터 W1의 위치 및 설치 심도를 변경하여 위치에 따른 염분 침투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침투 염분 농도의 평가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에서 제시한 벼의 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인 0.6 psu이 관정에 도달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yers and Westcot, 1985).
관정은 해안 경계면으로부터 W1까지 수평거리(l = 72 cm)를 10%씩 2회 증가시켜 관정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켰으며, 도메인의 x, z범위에 비례하여 설치 심도를 W1으로부터2.16 cm 씩 2회 증가시켜 총 9지점에서 모의가 수행되었다(Table 3, Fig. 5).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위치 변화에 따른 염분 침투 감소율을 평가하기 위해 양정률은 검증 case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Table 4).
4. 모의 및 결과 분석
설정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총 9 case에 대한 모의가 수행되었으며, 결과의 분석은 W1 (= S9) 정점을 기준으로 해안경계면으로부터 관정 설치 위치 변경에 따른 분석, 관정 설치 심도의 변화에 따른 분석을 수행 후, 위치 및 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관정 추출지점의 물리적 변경이 침투 염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의 결과의 분석은 후처리(post-processing) 프로그램인 Paraview 5.11.0을 이용하였다.
4.1 관정 설치 거리 조작에 따른 분석
관정 설치 거리 조작에 따른 침투 염분 감소율은 설치 심도의 변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S7, S8, S9 관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S9 관정으로의 침투 염분은 7.795 psu였으며, S8, S7은 7.568 psu, 4.396 psu의 염분으로 침투하였다. 관정 설치 거리는 10% 증가 시(S8), 기존 침투 염분 대비 약 2.91% 감소하여 물리적 조작에 따른 염분 침투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0% 증가하였을 때(S7), 약 43.60% 감소하여 거리 증가에 따른 염분 침투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다. 모의 시간에 따른 염분 침투 농도는 Fig. 6과 같다.
그러나 해안 경계면으로부터 지하수 양수 지점의 증가로 인해 침투한 염분의 부피는 증가하였다. 모의 종료 후, S9의 염분 부피는 7.97 L이며, S8, S7의 부피는 8.46 psu, 8.75 psu으로, 약 6.21%, 9.86% 증가하여 관정 거리 증가에 따라 염분 부피가 증가하였다.
4.2 관정 설치심도 조작에 따른 분석
관정 설치심도 조작에 따른 침투 염분 감소율은 설치 위치의 변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S3, S6, S9 관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의 종료 후 침투 염분 농도는 S6, S3에서 각각 9.494 psu, 9.820 psu의 염분으로 침투하였다. 모의 시간에 따른 염분 침투 농도는 Fig. 7과 같다. 관정 설치 심도가 바닥경계면으로부터 10% 증가 시(S6), 기존 침투 염분 대비 약 21.79% 증가하였고, 20% 증가하였을 때(S3), 약 25.98% 증가함으로써, 관정 설치 심도가 지표면에 인접할수록 침투 염분 농도가 증가하였다. 모의 시간에 따른 염분 침투 농도 또한 S6, S3 각각 8.10 L, 8.31 L로 기존 S9 대비 약 1.61%, 4.36% 증가하였으며, 심도가 지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침투 염분 부피 또한 증가하였다. 도메인 내로 침투한 염분의 부피 또한 S6, S3 각각 설치 심도가 지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였다. S6, S3는 증가하였다. 모의 종료 후. S9의 염분 부피는 7.97 L이며, S8, S7의 부피는 8.46 psu, 8.75 psu으로, 약 6.21%, 9.86% 증가하여 관정 거리 증가에 따라 염분 부피가 증가하였다. 이후, 해안 경계면으로부터의 관정 설치 거리와 설치 심도의 복합적 조작에 따른 염분 농도 및 부피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4.3 설치 거리 및 심도 조작에 따른 분석
관정 설치 위치의 복합 조작에 따른 염분 침투 농도 및 부피의 분석은 S1, S2, S4, S5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전체 시나리오의 모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해안경계면으로부터 관정 설치 거리가 10% 증가한 거리에서 설치 심도가 조작되었을 때(S2, S5), 침투 염분은 S9 대비 18.42%, 15.46% 증가하였으나, 설치 거리가 20% 증가한 거리에서 설치 심도가 조작되었을 때(S1, S4), 침투 염분은 약 20.70%, 22.86% 감소하였다.
그러나, 도메인으로의 침투 염분 부피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증가하였으며, S1, S2, S4, S5 시나리오의 염분 침투 부피는 평균 10.81%로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최초 관정의 위치(S9)로부터 물리적 거리가 증가한 것이 침투 염분 부피 증가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각 시나리오 결과에 대한 염분 침투 양상은 Fig. 8과 같다.
5. 결론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해수면 상승 및 극한 기상 발생 빈도의 증가는 해안지역에서 해수 침투를 증가시킴에 따라 지하수자원을 위협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수 침투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악된 해수 침투 범위와 더불어 과도한 양수로 인한 염분 농도 증가에 따른 지하수 개발가능량의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농업용 관정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치 모형 OGS를 이용하여 관정으로의 침투 염분 농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관정의 물리적 거리 조작에 따른 침투 염분 농도의 변화율을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염분 농도는 관정 설치 심도가 지표면으로 가까워질수록 기준점(S9)으로부터 21.79%, 25.98%로 지속 증가하는 반면, 해안경계면으로부터의 설치 거리가 증가할수록 기준점으로부터 2.91%, 43.6% 감소하여, 관정 위치의 수평적 조작이 수직적 조작보다 염분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정 거리의 복합 조작 모의 결과 또한 설치 거리가 기존 위치보다 10% 증가하였을 때(S2, S5) 침투 염분 농도는 평균 약 16.94% 증가하였으나, 20% 증가하였을 때(S1, S4) 약 21.78% 감소하여 관정 심도의 조작보다 해안경계면으로부터의 거리 조작이 관정 이용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세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로, 관정 위치의 이동으로 염분 침투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도메인 내로 침투하는 염분의 부피는 증가하여, 전체 지하수 이용가능량은 감소하였다. 두 번째로, 모의 결과에 따른 최소 침투 염분 농도는 4.396 psu으로 농작물 피해 기준 염분 농도인 0.6 psu에 대한 평가는 불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원 모의로 인해 현장 조건을 반영할 수 없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확한 해수 침투 및 지층별 대수성 시험 자료의 수집과 3차원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정률과 관정 위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분석을 통해 농업용 관정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수문 인자 및 storm surge의 반영을 통해 지하수로 침투하는 염분의 증감을 정확히 분석하여 대상 지역에 관정 설치 지점 및 양정 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o. 2021R1A2C2013158)입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