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랙크 설정
2.1 랙크 구성인자
2.1.1 랙크 구조 부문
2.1.2 수용물품 부문(수용 공간 포함)
Table 1
Rack A | Rack B | Ref. | ||
---|---|---|---|---|
Rack Structure | Type | Double row (Pallet rack) |
Cho and Yeo (2016) KS T 2023 (2009) |
|
Specification (Floor) | 2,350 × 2,850 × 9,700 (mm) (7F) | 2,350 × 2,850 × 9,700 (mm) (4F) | ||
Shelf | Open type |
NFPA 13 (2022) KFS 630 (2020) |
||
Commodity | Type | Polyurethane foam (Expanded plastics, EP) |
SFPE handbook NUREG-1805 FM Global (2014) |
|
Specification | 1,100 × 1,100 × 1,200 (mm) (Including pallet height) | 1,100 × 1,100 × 2,200 (mm) (Including pallet height) |
KS T ISO 6780 (2003) KS T 0006 (2015) KS T 2014 (2020) |
|
Space | Spacing between commodities and top floor : 300 mm Spacing between commodities : 200 mm |
NFPA 13 (2022) KFS 630 (2020) |
2.2 화재해석 조건
Table 2
3. 화재해석 결과 및 분석
4. 결론
1) 랙크는 물류시설의 적재 활용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물품을 수직 집약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은 화재확산 측면에서는 큰 단점이 된다. 또한 랙크를 구성하는 인자들의 다양성은 방⋅내화설계를 위한 화재하중을 계산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사양적 화재안전 설계기준에 따라 물류시설이 준공되고 있으나 실사용 단계에서의 취급 물품 및 랙크 위치의 변경 등으로 인해 실효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 설계를 위해서도 랙크의 화재 특성을 우선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수행된 랙크식 물류시설 현장조사 결과와 더불어 현행 사양적 기준들을 준용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사용성이 높은 랙크 조건들을 설정하였다. 대표적으로 설정된 랙크 구조는 높이 6 m 이상 10 m 미만의 높이를 가지는 Double row 랙크(파렛트 랙크(개방형 선반))이며, 랙크 내부의 층 간격은 파렛트 단위 수용물품의 한계 규격과 실사용자의 의도를 감안하여 1,500 mm와 2,500 mm 2가지 경우로 구분하였다.
3) 랙크 수용물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 까닭으로 본 논문에서 선정한 폴리우레탄 폼을 대표성을 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NFPA 13 (2013)에서는 수용물품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등급을 구분하여 표준화를 제시하고 있고, 국내 기준에서도 일반/특수가연물로 구분하고 있다. 즉, 수용물품 종류에 따라 화재강도는 분명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추후의 연구에서 수용물품의 종류를 변수로 해석 및 실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4) 설정된 대표 랙크 구조의 화재해석 결과, 송기공간을 통한 최상부로의 급속한 수직 화재확산 이후 수평 방향으로 점차 화재가 확산되는 V형 화재 양상으로 인해 랙크 상부가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화재강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랙크 구조 및 수용물품 조건만으로도 높이별 온도, 수용물품 질량감소율, 열방출율이 달라지므로, 랙크를 구성하는 인자들에 대한 다각도의 해석적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해석에 의한 랙크 단위의 화재하중은 대공간인 물류시설 방화구획 설계를 합리적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5) 본 연구에서는 랙크에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사양적 방화설계를 포함하지는 않았으나, 실제 현장과의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천장형 또는 In-Rack 스프링클러 조건 등을 필연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아울러 NFPA 13 (2013), KFS 630 (2020)에서 기술하고 있는 차단막의 경우 방화설계와의 상호적 성능 검토가 불가피하므로, 물류시설의 화재 특성을 고려한, 랙크 내 차단막과 스프링클러간의 유기적 보완 방안에 대해 추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