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개요 및 방법
2.1 실험개요
2.1.1 결합재
2.1.3 콘크리트 실험 내용
Table 4
2.2 실험방법
2.2.2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
2.2.3 염소이온 확산계수 시험
3. 실험결과 및 분석
Table 5
Type of binder | Admixtures | Fresh concrete | Compressive strenth (MPa) | |||||
---|---|---|---|---|---|---|---|---|
Slump (mm) | Air content (%) | 15 hr | 16 hr | 17 hr | 7 days | 28 days | ||
DP_A | Ad_A1) | 160 | 5.0 | 3.51 | 4.12 | 4.68 | 36.34 | 50.64 |
Ad_B2) | 150 | 4.9 | 2.82 | 3.20 | 3.73 | 39.76 | 55.15 | |
DP_B | Ad_A | 160 | 4.9 | 3.97 | 4.53 | 5.00 | - | - |
Ad_B | 155 | 4.5 | 2.91 | 3.28 | 3.89 | 36.43 | 52.01 | |
OPC | Ad_A | 140 | 4.8 | 6.98 | 8.03 | 8.25 | 39.62 | 52.47 |
Target quality | 150 ± 25 | 4.5 ± 1.5 | - | ≥3.0 | - | - | ≥30 |
3.1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특성
3.2 압축강도 특성
3.3 건조수축 특성
Table 6
3.4 염소이온 침투저항 특성
Table 7
Charge passed on chloride (C) |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
---|---|
> 4,000 | High |
2,000 ~ 4,000 | Average |
1,000 ~ 2,000 | Low |
100 ~ 1,000 | Very low |
< 1,000 | Negligible |
3.5 염소이온 확산계수 특성
Table 9
Type of binder | Diffusion coefficient for chloride ion (Dapp, × 10-12, m2/sec) | Remarks | |
---|---|---|---|
28 days | 91 days | ||
DP_A | 12.3 | 5.13 | NT Build 492 |
DP_B | 17.8 | 10.9 | |
OPC | 19.6 | 11.4 |
Table 10
Type of binder | Diffusion coefficient for chloride ion (Dapp, × 10-12 m2/sec) | Remarks | |
---|---|---|---|
28 days | 91 days | ||
DP_A | 10.3 | 4.15 | Life-365 |
DP_B | 15.0 | 9.12 | |
OPC | 16.6 | 9.55 |
4. 결 론
1. 결합재 및 혼화제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OPC 140 mm, DP_A Ad_A 160 mm로 나타났으나 모두 목표 슬럼프 150 ± 25 mm를 만족하였다. 또한 공기량도 4.5%에서 5.0%로 목표 공기량 4.5 ± 1.5%를 모두 만족하였다.
2. 압축강도 특성은 15시간 압축강도에서 DP_A Ad_B 2.82 MPa, DP_B Ad_B 2.91 MPa로 3.0 MPa 이하로 나타났으나, 16시간 압축강도는 3.0 MPa 이상으로 목표강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재령 7일에 설계기준강도 30 MPa 이상을 전 수준 모두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결합재 종류에 따른 재령 91일 길이변화율은 OPC 0.0934, DP_B 0.0873으로 나타났으며, DP_A 0.0732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것은 DP_A 및 DP_B에 포함된 특성개선재의 영향으로 초기에 적정 수준 팽창하여 수축을 보상하는 효과로 길이변화율을 저감시켜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저감에 유리한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4. 결합재 종류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DP_A의 경우 28일 2,741 보통, 91일 1,490 낮음으로 나타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P_B는 OPC 대비 통과 전하량 수치는 낮지만, 염소이온 침투성 등급은 동등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화재가 들어간 DP_A 및 DP_B의 장기재령 91일에서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OPC 대비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겹합재 종류에 따른 염소이온 겉보기 확산계수는 재령 28일에서 OPC 16.6, DP_B 15.0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DP_A의 경우 10.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장기 재령 91일에서도 OPC의 9.55와 비교하여 DP_B는 9.12로 높게 나타났으나 DP_A는 4.15로 OPC의 약 57% 낮게 나타나 염해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철도에서 최초로 해저를 통과하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건설사업의 해저터널 라이닝과 해양 인근 교량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3성분계 결합재 검토 및 선정을 위해 강도 및 내구성을 평가한 것으로 특성개선재 사용으로 소요의 시공성과 강도 및 내구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