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연구대상의 용도범위 선정
2.1 다중밀집시설
2.2 공동주택과 전통시장
3. 기존 화재시나리오 도출방법 분석
Table 1
(1) 사용자의 경향을 판단하는 것이 아닌 화재발생 시나리오 요인(발화요인, 발화기기, 최초착화물)의 객관성 확립을 위하여 통계적으로 정리된 데이터만을 사용
(2) 시대성 반영과 표본조사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수조사로 이루어진 최근 3개년(2017~2019)의 화재발생 데이터를 사용
(3) 화재발생 인자(확률)을 제외하지 않은, 화재발생 시나리오의 정량적 발생확률 제시
(4) 기존 1~2건이었던 시나리오를 건물 용도별 5건 이상의 화재발생 시나리오 제시로 활용성 증대
(5) 통계요인들의 단순 나열방식이 아닌, 상호 인과관계가 적용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
4. 연구의 활용 목표 설정
(1) 기존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았던 화재발생 시나리오의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정립
(2) 본 연구 대상의 용도범위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용도에서 화재발생 시나리오의 도출이 가능하도록 방안을 제시
(3) 특정 용도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화재예방 및 초기소화에 필요한 행동요령 및 행동매뉴얼 작성에 사용될 기반자료를 제시
(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 9조의3 제 2항에 따른 성능위주설계(PBD) 중,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작성시 요구되는 ‘연소 가능한 물질들과 그 특성 및 발화원, 최초 발화물’에 대하여 화원의 정량적 특정이 가능하도록 근거 제시
(5) 통계적으로 발생확률이 낮은 화재발생 시나리오의 배제를 가능하게 하여 효율성 제고
(6) 다중밀집시설, 공동주택, 전통시장의 화재안전성능 확보에 기여
5. 세부통계요인간 인과관계 분석 및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
5.1 화재 통계요인의 구성 및 활용
Table 2
5.2 용도별 화재 세부통계요인 분석
Fig. 3

Fig. 4

5.3 용도별 연소사유확대 세부통계요인 분석
5.4 화재발생 세부통계요인의 인과관계 분석
Table 3
5.5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
Table 4
Table 5
Ignition Points | Case |
---|---|
Total | 40,103 |
Structure | 4,005 |
Function | 2,046 |
Facility and Storage | 3,770 |
Living Space | 9,443 |
Exit | 1,019 |
Process Facility | 492 |
Others | 18,493 |
Unknown | 835 |
5.6 화재발생 시나리오 적용 예시
6. 결 론
(1) 다중밀집시설, 공동주택, 전통시장의 주요 발화요인들을 도출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발화기기와 최초착화물의 확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 ‘AND’ 조건에 있는 통계 DATA의 구축을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발화요인에 따른 최초착화물과 발화기기를 특정할 수 있도록 용도별 5가지의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3)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통하여 화재발생 가능성에 따른 화재예방 및 행동매뉴얼 작성과, 성능위주 소방설계 시 화재시뮬레이션에서 발화원, 발화물 등의 화원에 대해 특정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도록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4) 노후화된 다중밀집시설, 공동주택, 전통시장의 화재발생 가능성을 객관적인 시나리오 형태로 도출하여 화재예방과 PBD 화원 설계에 필요한 정보기술 구축이 가능하였다.
(5) 본 연구의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방안을 활용하여, 통계자료가 존재하는 타 용도별 건축물의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로서 연구범위 확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