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1(3); 2021 > Article
Erratum to: 형상변화와 발수코팅 횟수에 따른 오일스네어의 안정성 및 성능 분석
Vol. 19, No. 2 (Apr. 2019), pp.245~254
미인용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인용하여 정정합니다.
Before correction After correction
p. 247 2.3 발수코팅 방법
 (중략)
 발수코팅액은 Fig. 5를 따라 SiO2 계를 주원료로 제조하였다. 발수코팅방법은 상온조건하에서 SiO2 10 %의 농도로 제조된 1 L의 발수코팅액에 오일스네어를 20 분간 침잠 시킨 후 10 분간 건조하였다. 동일과정을 1~3 회 반복 한 후 40 ℃에서 2 시간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p. 247 2.3 발수코팅 방법
 (중략)
 발수코팅액은 Fig. 5를 따라 SiO2 계를 주원료로 제조하였다. 발수코팅방법은 상온조건하에서 SiO2 10%의 농도로 제조된 1 L의 발수코팅액에 오일스네어를 20분간 침잠 시킨 후 10분간 건조하였다. 동일과정을 1~3회 반복 한 후 40 ℃에서 2시간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Park et al., 2013; Park et al., 2015).
p. 249 3.1 형상변화에 의한 흡수량 및 흡유량 분석
 (중략)
 하지만 Fig. 7에서 2개의 반원형 구조 모두 약 21 g/g으로 평판형 구조에 비해서 약 2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반원형 구조가 평판형 구조에 비해 비표면적이 넓고 반원형 구조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평판형 구조에 비해 많은 양의 오일을 가둘 수 있어 흡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 249 3.1 형상변화에 의한 흡수량 및 흡유량 분석
 (중략)
 하지만 Fig. 7에서 2개의 반원형 구조 모두 약 21 g/g으로 평판형 구조에 비해서 약 2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반원형 구조가 평판형 구조 에 비해 비표면적이 넓고 반원형 구조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평판형 구조에 비해 많은 양의 오일을 가둘 수 있어 흡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Lee et al., 2016).
p. 250 3.2 기기분석
 (중략)
 그러나 각 Sample들의 표면에서는 작은 알갱이 모양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발수코팅에 의해 표면에 잔존하는 Si원소 알갱이로 사료된다.
p. 250 3.2 기기분석
 (중략)
 그러나 각 Sample들의 표면에서는 작은 알갱이 모양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발수코팅에 의해 표면에 잔존하는 Si원소 알갱이로 사료된다(Lee et al., 2016).
p. 252 3.2 기기분석
 (중략)
 Sample 4, 5, 6에서는 Si-O-Si에 기인하는 stretching 1050 cm-1 peak 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발수코팅제의 주 원료인 SiO2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 비해 peak가 현저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Sample 6에서는 다른 Sample에 비해 C=O stretching 1717 cm-1, CH3Si stretching 1248 cm-1, Symmetric Si-O-Si 724 cm-1에서 peak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발수코팅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PP소재 표면에 도입되어 잔존하는 Si 원소 양이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 252 3.2 기기분석
 (중략)
 Sample 4, 5, 6에서는 Si-O-Si에 기인하는 stretching 1050 cm-1 peak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발수코팅제의 주 원료인 SiO2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 비해 peak가 현저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Sample 6에서는 다른 Sample에 비해 C=O stretching 1717 cm-1, CH3Si stretching 1248 cm-1, Symmetric Si-O-Si 724 cm-1에서 peak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발수코팅 횟수 가 증가함에 따라 PP소재 표면에 도입되어 잔존하는 Si 원소 양이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Lee et al., 2016).
p. 253 3.3 안정성 평가
 (중략)
 그러므로 pH에 대한 안정성은 발수코팅을 한 Sample 4, 5, 6이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 비해 뛰어났으며, 특히 내산성에서 큰 안정성을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발수코팅을 공정의 도입으로 기존 비발수코팅 제품인 오일스네어에 비해 pH에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Fig. 14에 오일스네어를 UV에 0 ~ 120 분간 노출 한 후의 접촉각의 변화 유무에 의해 성능안정성을 평가하여 나타내었다.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은 UV 노출시간에 따라서 발수코팅 Sample들에 비해 접촉각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Sample의 UV 노출시간 0 분과 120 분 일 때의 접촉각 차이는 Sample 1은 7.57, Sample 4는 2.88°, Sample 5는 4.43°, Sample 및 Sample 6은 5.11°이었다.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서 UV 노출시간에 따라 가장 큰 접촉각의 변화를 나타냈지만, 발수코팅을 한 Sample 들은 코팅 횟수에 따른 접촉각의 변화가 작았다. 그러므로 UV에 대한 안정성은 발수코팅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p. 253 3.3 안정성 평가
 (중략)
 그러므로 pH에 대한 안정성은 발수코팅을 한 Sample 4, 5, 6이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 비해 뛰어났으며, 특히 내산성에서 큰 안정성을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발수 코팅을 공정의 도입으로 기존 비발수코팅 제품인 오일스네어에 비해 pH에 안정성을 확보하였다(Lee et al., 2016).
 Fig. 14에 오일스네어를 UV에 0 ~ 120분간 노출 한 후의 접촉각의 변화 유무에 의해 성능안정성을 평가하여 나타내었다.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은 UV 노출시간 에 따라서 발수코팅 Sample들에 비해 접촉각이 급격히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Sample의 UV 노출시간 0분과 120분 일 때의 접촉각 차이는 Sample 1은 7.57, Sample 4는 2.88°, Sample 5는 4.43°, Sample 및 Sample 6은 5.11°이었다. 발수코팅을 하지 않은 Sample 1에서 UV 노출시간에 따라 가장 큰 접촉각의 변화를 나타냈지만, 발수코팅을 한 Sample들은 코팅 횟수에 따른 접촉각의 변화가 작았다. 그러므로 UV에 대한 안정성은 발수코팅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2015).
p. 253 3.4 표준 시편의 흡수량 및 흡유량 평가
 (중략)
 특히 발수코팅이 안된 Sample 1에서도 흡유량을 보였으나 흡수성과 안정성이 낮으므로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용조건과 흡유성을 고려한 오일스네어의 성능은 발수코팅 유무 및 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p. 253 3.4 표준 시편의 흡수량 및 흡유량 평가
 (중략)
 특히 발수코팅이 안된 Sample 1에서도 흡유량을 보였으나 흡수성과 안정성이 낮으므로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용조건과 흡유성을 고려한 오일스네어의 성능은 발수코팅 유무 및 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Lee et al., 2016).

References 추가

1. Park, E. J, Sim, J. K, Jeong, M. G, Seo, H. O, and Kim, Y. D (2013) Transparent and superhydrophobic films prepared with polydimethylsiloxane-coated silica nanoparticles. RSC Advances, Vol. 3, No. 31, pp. 12571-12576.
crossref
2. Park, E. J, Kim, B. R, Park, D. K, Han, S. W, Kim, D. H, Yun, W. S, et al (2015) Fabrication of superhydrophobic thin films on various substrates using SiO 2 nanoparticles coated with polydimethylsiloxane:towards the development of shielding layers for gas sensors. RSC Advances, Vol. 5, No. 51, pp. 40595-40602.
crossref
3. Lee, J. H, Kim, D. H, Han, S. W, Kim, B. R, Park, E. J, Jeong, M. G, et al (2016) Fabrication of superhydrophobic fibre and its application to selective oil spill removal.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289, pp. 1-6.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