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재료 및 방법
2.1 재료 특성 및 실험 방법
Table 1
Gs | LL | #200 (%) | Gravel (%) | |
---|---|---|---|---|
Soil | 2.66 | 35.53 | 14.95 | 1.42 |
Sand (%) | Silt (%) | Clay (%) | USCS | |
83.63 | 12.84 | 2.11 | SP |
Table 2
Admixtures | MgSO4 | Mg2O4 | K2SO4 | NH4CL | MgCL2 | Gluconic | SNSC | CMC | Etc | Total |
---|---|---|---|---|---|---|---|---|---|---|
Contents (%) | 15 | 20 | 10 | 20 | 17 | 3 | 10 | 3 | 2 | 100 |
2.2 실험 조건
Table 3
3. 실내 실험결과 및 고찰
3.1 실내 일축압축강도 실험 결과
Table 4
Table 5
3.2 고화처리토의 강도발현 메커니즘
3.2.1 전자현미경(SEM) 분석
3.2.2 X선-회절 분석
3.2.3 압축강도와 탄성계수의 관계
4. 결 론
1. 고화처리토의 일축압축 강도는 양생기간의 증가, 고화제 첨가량의 증가, 세립분 함유량의 감소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양생 14일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였다.
2. 생성된 침전물의 SEM분석 결과, 양생기간이 증가와 더불어 입자표면에 흡착된 시멘트에 의하여 흡착성 물질 층이 생성되어 입자 표면의 간극이 채워지고, 경화과정을 거쳐 굳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3. 수화반응의 생성물에 대해 XRD 분석 결과, 시멘트와 고화제 첨가에 의해 Vermiculite가 발견되고, 이 물질이 입자의 간극을 메워 강도가 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생기간에 따른 입자간 간극은 양생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간극사이가 조밀해지고, 결합력이 증대하여 압축강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4.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의 관계로부터 강도 값의 범위가 500~1,500 kPa일 때, 고화제가 미첨가된 시료에서 E=408.4× fc + 549.97 (kPa), 고화제가 첨가된 고화처리토에서는 E=417.7× fc + 541.98 (kPa)가 얻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