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마감재 선정 및 연소성능평가 기준
2.1 마감재 선정 및 시험편 제작
2.2 연소성능평가 기준 분석
Table 3
Table 4
Classification | Testing specifications | Remarks |
---|---|---|
FILK | KS F ISO 1182 (2010) | Non-combustible |
KS F 2271 (2016) | Gas toxicity | |
KS F ISO 5660-1 (2015) | Cone calorie | |
UL | ASTM E 136 | Non-combustible |
ASTM E84 | Flame spread | |
NFPA 253 | Floor, Flame | |
NFPA 259 | Potential heat |
3. 연소성능평가
3.1 시험편 제작 및 규격
Table 5
3.2 연소성능평가 시험 및 결과
3.2.1 국내 시험
Table 6
Table 7
3.2.2 미국 시험
Table 9
Classification | Values | Remarks |
---|---|---|
Sample 1 | 0.82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Sample 2 | 0.63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Sample 3 | 0.87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Average | 0.77 | |
Standard Deviation | 0.13 |
Table 11
Classification | Values | Remarks |
---|---|---|
Sample 1 | 0.91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Sample 2 | 0.89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Sample 3 | 0.91 | Critical Radiant Flux (W/cm2) |
Average | 0.90 | |
Standard Deviation | 0.01 |
4. 결 론
(1) 마감재료의 불연성능 평가기준을 비교한 결과, 국내와 미국의 기준의 차이점이 존재하며, 미국의 경우 불연성, 화염전파, 연기확산, 잠재열량 및 방출열유속 등 각각에 기반을 둔 평가가 이루어지는 반면, 우리 나라는 불연성과 연기확산 조합 위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도장재료에 대한 불연성능 평가는 국내와 미국의 시험결과(ASTM E 136), 가열로 인입과 동시에 화염발생으로 인하여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 바닥재료(PVC tile)와 도장재료는 국내 마감재료 성능평가 결과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바닥재료와 도장재료를 대상으로 미국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NRC와 IBC, NFPA에서 요구하는 불연재료 기준을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향후 국내외에서 수행된 건축 마감재료의 불연성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원전 구조물 적용 마감재료의 화재안전 가이드 라인(안) 개발 및 국내 마감재료의 불연성능평가 기준의 적정성을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