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3); 2017 > Article
단위직무 분석을 통한 위기관리 매뉴얼 간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Risk Management Manuals, including standard manual, working-level manual and manual for actions at scene, are to b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Because the manuals ar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natural and social), they are too complicated and voluminous as weaknesses. Because of these shortcomings, they are under-utilized when disaster occurs. In these regards, this research drew the standardized task units through analyzing the tasks which are specified in the manuals by compartmentalizing the them into two types, the common and the special. Finally, this research would propose the improved manuals which are easily and efficiently utilized for planning trains, in field training and to respond to disasters by exploiting the standardized task units regardless of disaster type.

요지

위기관리 매뉴얼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기반으로 재난 유형별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매뉴얼이 재난 유형별(자연재난/사회재난)로 작성되어 방대하고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매뉴얼을 적용하여 현장대응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분석을 통해서 공통직무/특수직무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단위 직무를 도출하였다.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활용하여 재난유형에 상관없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훈련계획 및 훈련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서론

현재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 3조 1항에 의해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해일, 대설, 낙뢰, 가뭄, 지진, 황사, 조류 대 발생, 조수, 화산활동, 소행성⋅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사회재난은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항공사고 및 해상사고를 포함한다)⋅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이상의 피해와 에너지⋅통신⋅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 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다.”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 5항 재난분야 위기관리 매뉴얼 작성 운용에 따라 위기관리 매뉴얼을 작성 운용하도록 되어있다.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은 “국가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재난에 대하여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 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 문서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의 작성 기준이 되며,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이 작성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은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서 규정하는 기능과 역할에 따라 실제 재난 대응에 필요한 조치사항 및 절차를 규정한 문서로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과 관계 기관의 장이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마지막으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은 “재난현장에서 임무를 직접 수행하는 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문서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작성한 기관의 장이 지정한 기관의 장이 작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매뉴얼은 각 부처/시도 단위별로 재난유형별 매뉴얼이 작성되어져 현재 5,300여개가 넘는 매뉴얼이 존재하고 있다. 위기관리 매뉴얼은 각 개인 및 담당직원이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본인의 직무를 명확히 파악 하고 있어야 하나, 현재의 매뉴얼은 방대하며, 여러 가지 재난유형에 따른 본인의 직무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자치단체 및 중앙기관 재난업무 담당자의 순환보직 제도로 인하여 재난업무의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복잡하고 방대한 매뉴얼의 숙지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개인수칙 위주의 매뉴얼의 개선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현행 매뉴얼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진행 중이다(Kwak et al., 2014). 또한 Park et al.(2008)은 지하철 화재발생에 대한 초기대응 매뉴얼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매뉴얼 개선에 관한 연구는 현장 중심의 대응 매뉴얼의 간소화 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Kim et al.(2015)은 재난 유형에 따라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정보 디자인을 기반으로 위기관리 매뉴얼을 고찰하고 재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전자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연구들은 매뉴얼 정보 시각화를 통해서 현장에서 적용이 편리하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해외 매뉴얼 사례를 보면 호주 매뉴얼(AIDR AEM Series, Manual 22, 34, 35 and 40) 체계는 재난유형과 기능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적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정부, 민간기관 및 개인이고 매뉴얼이 대국민에게 공개되어 국민들이 손쉽게 매뉴얼을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국(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emergency-response-and-recovery)의 경우는 호주와 마찬가지로 재난유형과 기능별 체계로 운영되어지고 있고, 수직적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난대비 부분에서는 시민보호관련 전문가와 대응⋅복구 부분에서 대응기관 전 직원이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영국 또한 매뉴얼이 국민에게 모두 공개되어져 있다. 특히 호주의 매뉴얼은 매뉴얼에 삽화를 활용하여 사용자 눈높이에 맞게 명확하고, 현장운용이 쉽도록 매뉴얼이 표현되어져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 해외 매뉴얼에 반해 우리나라 매뉴얼은 재난유형별 구조로 체계가 되어져 있고 매뉴얼의 수가 매우 방대하고 사용자는 정부, 유관기관 중심으로 되어져 있어 국민들이 쉽게 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긴급 상황 발생 시 실질적인 대응절차와 행동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나 재난관리 전 단계를 설명하고 있어 복잡하고 방대하며,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간 유사한 내용으로 매뉴얼 간 차별성 부족하다. 그리고 교육⋅훈련과 분리되어 있어 실전적용이 어려우며, 문서 형태의 매뉴얼 배포 등 검색 및 조회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단위직무를 분석하여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도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공통직무와 특수 직무를 선정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직무를 재난 대비 및 대응단계 위주의 조직/개인 행동수칙 형태로 간소화, 간략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상시 교육과 훈련 등에 적용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업무분석을 통한 단위직무 표준화 방안

2.1 단위직무 분석 프로세스 분석 개요

재난유형별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개별 직무가 어떠한 내용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지식, 기술, 경험 등을 가지고 있어야하면 되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직무를 새롭게 분류하여 그 직무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복잡 하고 방대한 매뉴얼을 단위직무 형태로 간소화하는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이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 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위기관리 매뉴얼 단위직무의 업무 리스트를 정리 하고 중복 성을 1차적으로 정리한다. 두 번째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한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비 계층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단위직무들을 분류 정리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도출하였다.
Fig. 1
Unit Job Analysis Process
KOSHAM_17_03_141_fig_1.jpg
본 연구에서는 31개 재난유형별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를 분석하여 공통단위직무, 특수단위직무로 나누어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도출하였다.

2.2 매뉴얼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작성(매뉴얼 코딩)

본 연구에서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기 위해 각 매뉴얼의 단위직무들을 정리하여 정리하는 작업을 Fig. 2와 같이 실시하였다.
Fig. 2
Manual Coding for Unit Job Analysis
KOSHAM_17_03_141_fig_2.jpg
Fig. 2는 유해화학 물질 유출 사고의 위기관리 표준매뉴얼(환경부), 위기대응 실무매뉴얼(환경부),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울산광역시)과 풍수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국민안전처),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소방방재청),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울산광역시)의 단위직무 리스트 정리 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중복되는 단위직무들을 제거하고 비슷한 업무들을 통합하여 1차적 단위직무 도출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단계로 위기관리매뉴얼(풍수해, 지진, 대형화산폭발, 적조, 산불,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대규모수질오염, 대규모 해양오염, 공동구, 댐붕괴, 지하철 대형사고, 고속철도 대형사고, 다중밀집시설대형화재, 인접국가방사능 누출, 해양선박사고, 사업장대규모 인적사고, 다중밀집건축물 붕괴대형사고, 교정시설 재난 및 사고, 가축질병, 감염병, 정보통신, 금융전산, 원전안전, 원유 수급, 보건의료, 식용수, GPS 전파혼신, 우주전파재난, 인접국가방사능 누출, 육상 화물 운송 분야, 사이버 안전) 31개 재난유형의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등 총 93개의 매뉴얼 단위직무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간의 연계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able 1에서 1차적으로 단위직무 도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해 화학물질 유출사고 매뉴얼 및 풍수해 매뉴얼의 1차 분석 단위직무는 유해화학 물질 유출 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예방 부분에서 33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21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15개의 단위직무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서 단위직무가 총 185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198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363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풍수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203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103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159개로 도출되었다. Table 1에서와 같이 1차적 분석에서의 단위직무의 수가 많이 도출된 것은 단위직무 중 단순히 중복성만을 분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Primary Unit Job Classification (Flooded /toxic chemicals)
 Unit job (Hazardous chemicals / Flooded) 
Step Standard Practice Action
 Prevention  33/39 21/29 15/29
Prepare 36/38 25/26 22/10
Response 100/73 132/37 295/108
Recovery 16/53 20/11 31/12
Total 185/203 198/103 363/159

2.3 2차 위기관리 매뉴얼 분류 기준(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한 분류)

본 연구에서 실시한 2차 분석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 4장 재난의 예방 제 25조의 2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의 재난예방 조치, 제 26조 국가기반시설의 지정 및 관리 등, 제 27조 특정관리대상 시설 등의 지정 및 관리 등, 제 28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 등, 제 29조 재난방지시설의 관리, 제 29조의 2 재난 안전 분야 종사자 교육, 제 30조 재난예방을 위한 긴급안전점검 등, 제 31조 재난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제 32조 정부합동 안전 점검, 제 32조의 2 사법 경찰권, 제33조 안전관리전문기관에 대한 자료 요구 등, 제 33조의 재난관리체계 등에 대한 평가 등, 제 33조 3 재난관리 실태 공시 등” 으로 예방을 세부적으로 분류를 하였다. 또한 대비, 대응, 복구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을 기반으로 1차 분류한 단위직무를 재분류를 실시하였다. Fig. 3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분류한 세부적인 사항을 나타내었다.
Fig. 3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Work List by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KOSHAM_17_03_141_fig_3.jpg
Fig. 3에 의한 분류 및 분석에 의한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는 풍수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예방 분야를 2차 단위직무 분류에 의해서 분석한 것이다. Table 2에서와 같이 풍수해 매뉴얼에 대한 2차 단위 직무 분류는 예방 분야에서 총 39개의 단위직무가 도출되었다. 예방 분야에서의 단위직무 2차 분석은 1차 분석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예방 부분에서 1차 분류에 의한 각 단위 직무들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2차적 분류를 실시하여도 통합 및 재분류가 필요하지 않아 1차 분류와 2차 분류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Secondary Unit Job Classification (Flooded)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prevention )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of Chairman of Disaster Management Responsible Agency 11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infrastructure 3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pecific facilities to be managed 3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1
Management of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5
Disaster Safety Worker Training 1
Safety measures to prevent disasters 0
Government Joint Safety Inspection 12
Judicial police force 1
Require data on safety management 2
Assessment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0
Disaster Management Disclosure 0
Total 39
Fig. 4Table 3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국민안전처)의 대응 부분 2차 분류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4Table 3에서와 같이 대응 부분의 단위직무는 100개로 도출되었고,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가 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은 국가 차원에서의 관리가 필요한 재난에 대해서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기관과의 임무를 규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4.jpg
Table 3
Secondary Unit Job Classification (Response)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60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5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0
Facility Emergency Repair 5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0
Disaster management support 4
Traffic measures 5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5
Disaster site improvement 1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1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4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8
Disaster relief promotion 2
Total 100
Fig. 5Table 4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위기대응 실무매뉴얼(국민안전처) 대응 부분의 2차 분류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5Table 4에서와 같이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단위직무는 132개로 도출되었고,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가 5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난 수습홍보 및 시설응급복구가 각각 8%, 7%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비교하여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의 경우「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과 관계 기관의 장이 작성하는 것으로 시설응급 복구와 재난 수습홍보 부분에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과 비교하여 단위직무가 더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비교하여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의 단위 직무의 수가 24%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은 각 기관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한 임무를 작성한 것이므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 재난관리체계와 관계기관과의 임무를 나타낸 것 보다 더 많은 단위 직무가 작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5.jpg
Table 4
Secondary Unit Job Classification (Response)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77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3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3
Facility Emergency Repair 9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1
Disaster management support 6
Traffic measures 1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5
Disaster site improvement 2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5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5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4
Disaster relief promotion 11
Total 132
Fig. 6Table 5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울산시)의 대응 부분을 2차 분류를 실시한 결과이다. Fig. 6Table 5에서와 같이 단위직무가 292개로 도출되었다. Fig. 6Table 5에서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 56%, 긴급 생활안정지원 5%, 에너지 공급 기능 복구기능 0%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경우 각 지자체에서 작성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긴급생활안정 지원에 많은 단위직무들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에너지 공급 기능의 경우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매뉴얼 경우 지자체에서 해야 하는 단위직무 중 에너지 공급의 기능 복구의 기능의 중요도가 크지 않아 0%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Onsite Action Manual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6.jpg
Table 5
Secondary Unit Job Classification (Response)
Onsite Action Manual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164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15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3
Facility Emergency Repair 17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1
Disaster management support 18
Traffic measures 7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7
Disaster site improvement 2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9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17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20
Disaster relief promotion 12
Total 292
Figs. 46과 Tables 35에서와 같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하여 단위직무를 분류한 결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단위직무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세부적 단위 직무 중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의 단위직무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경우 각각의 세부적 단위 업무 중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의 경우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의 경우 재난 수습 홍보의 단위직무가 큰 비중을 나타내었고,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경우 긴급생활 안정지원의 비중이 다른 매뉴얼과 비교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매뉴얼 마다 작성하는 기관의 임무 및 대상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각각의 매뉴얼에서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현재 매뉴얼 단위직무들이 재난현장의 상황관리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 단위직무 비중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기능 및 상황관리 부분에서 단위직무들은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간의 유사한 단위직무가 많이 나타났다. 이는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이 작성되어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3. 위기관리 매뉴얼 단위직무 표준화 방안 제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1차 분석, 2차 분석을 통해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중복성 검토 및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기관리 매뉴얼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예상군집을 참고하여 단위직무들을 합쳐나가는 방법인 비 계층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3.1 비 계층 군집분석을 통한 단위직무 도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 계층 군집 분석은 예상 군집을 참고하여 합쳐 가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2차 분석한 단위직무를 다시 비 계층 군집 분석 실시하였다. Fig. 7은 비 계층 군집 분석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었다. Fig. 7에서 첫 번째 단계는 각 매뉴얼의 단위직무 중복성만을 제거하여 단위직무 업무리스트를 정리하고 두 번째로 각 단위직무들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의한 분류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분류된 단위직무에 각 매뉴얼 단위직무들을 통합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로 Table 6과 같이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예방 부분 비 계층 군집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분석하였으며, Table 6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매뉴얼 비 계층 군집분석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8에서와 같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예방 부분 비 계층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중앙부처에서 전체적인 부분을 총괄해야 하므로 각 단위직무들이 넓게 퍼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에서 대응 부분 비 계층 군집분석에서는 기능 및 총괄 기능 단위직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은 3차 비 계층 군집분석 단위직무 분류한 결과(대응)을 나타내었다. Table 6에서 대응 부분의 단위직무가 53개로 나타났다. 이는 1차 분류에서 분석된 100개의 단위직무에 비해 비 계층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단위직무가 57%로 통합 정리되어 분류 되어 정리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7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KOSHAM_17_03_141_fig_7.jpg
Table 6
Third Unit Job Classification through Non-hierarchical Analysis (toxic chemicals)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non-hierarchical analysis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22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3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0
Facility Emergency Repair 5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0
Disaster management support 4
Traffic measures 2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3
Disaster site improvement 1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1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2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8
Disaster relief promotion 2
Total 53
Fig. 8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Prevention)
KOSHAM_17_03_141_fig_8.jpg
Fig. 9
Disaster Management i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9.jpg
Figs. 1011, Table 7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비 계층 군집분석을 그래프와 표로 나타낸 것이다. Fig. 10은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서 예방부분 단위직무 중 재난예방을 위한 긴급 안전점검이 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ig. 11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대응 부분에서는 기능 총괄 및 상황관리의 단위 직무가 27%로 다른 매뉴얼과 비교 하였을 때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 10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Disaster Management (Prevention)
KOSHAM_17_03_141_fig_10.jpg
Fig. 11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11.jpg
Table 7
Third Unit Job Classification through Non-hierarchical Analysis (toxic chemicals)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Disaster Management non-hierarchical analysis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20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3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3
Facility Emergency Repair 9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1
Disaster management support 6
Traffic measures 1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5
Disaster site improvement 2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5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5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4
Disaster relief promotion 11
Total 75
Table 7에서 비 계층 군집분석을 통한 단위직무가 총 75개로 나타났으며, 이는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비교 하였을 때 29% 많게 단위직무가 도출 되었다. 그리고 1차 분류에서 도출된 단위직무에 비해 49%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비해 대응 부분의 단위직무가 29% 많게 도출된 것은 각 부처에서 실시해야하는 단위직무들이 표준매뉴얼에 비해 좀 더 세부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비 계층 군집분석을 통해서 단위직무를 49% 통합 정리한 것은 중복되고 하나로 통합 할 수 있는 단위직무들이 매뉴얼 상에 많이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s. 1213, Table 8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 계층 군집분석을 그래프와 표로 나타낸 것이다. Fig. 12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예방부분은 재난예방을 위한 긴급 안전점검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난관리 체계 등에 관한 평가가 25%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0%와 비교 하였을 때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ig. 13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대응 부분에서는 긴급생활안정지원, 시설응급복구,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가 동일한 수준의 단위직무가 도출되었다. 1차 분류와 비교 하여 단위직무가 363개에서 108개로 70%정도 통합 분류 되었으며, 시설응급 복구의 단위직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경우 재난 현장에서 긴급성과 직접성이 필요한 단위 직무들 중 시설응구 복구 단위직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판단된다.
Fig. 12
Onsite Action Manual (Prevention)
KOSHAM_17_03_141_fig_12.jpg
Fig. 13
Onsite Action Manual (Response)
KOSHAM_17_03_141_fig_13.jpg
Table 8
Third Unit Job Classification through Non-hierarchical Analysis (toxic chemicals)
Onsite Action Manual (Response)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14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15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2
Facility Emergency Repair 17
Energy supply function restoration 1
Disaster management support 9
Traffic measures 5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 support 7
Disaster site improvement 2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9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5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10
Disaster relief promotion 12
Total 108

3.2 비 계층 군집분석을 통한 단위직무 도출 결과 분석

Table 9는 유해화학 물질 유출사고 매뉴얼 3차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9와 같이 3차 비 계층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한 2차 분류에 비교 하였을 때 단위직무가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서 46%,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41%,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60%로 통합 분류되었다. 또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단위직무 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단위직무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경우 실제 현장에서 해야 하는 단위직무들이 반영되어 다른 매뉴얼과 비교 하였을 때 단위직무 수가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9
Third Unit Job Classification (toxic chemicals)
 Unit job (Hazardous chemicals) 
Step Standard Practice Action
 Prevention  25 16 13
Prepare 13 16 14
Response 53 75 108
Recovery 9 9 11
Total 100 116 146

4. 위기관리 매뉴얼 표준화 방안 제안

4.1 위기관리 매뉴얼 표준화 방안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를 1차, 2차, 3차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 단위직무분석 바탕으로 위기관리 매뉴얼의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기관리 매뉴얼 단위직무 분석을 통해 공통기능과 특수기능으로 나누어 분류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공통단위 직무란 재난 유형에 상관없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위직무들로 정의하고, 특수 단위직무란 지역 및 재난유형에 따라 특수하게 적용되어야 하는 단위직무로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공통단위 직무 중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에 자체평가회의 실시 같은 단위직무는 재난 유형 및 지역에 관계없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실시해야하는 단위직무들이다. 또한 특수단위직무들 중 유해화학물질 경우 화학물질 및 사고업체 정보제공 단위직무들은 유해화학물질에서만 적용되는 단위직무이다. 또한 지진매뉴얼의 경우 대응부분의 의료 및 방역서비스의 수인성 감염병 관리지원 단위직무 또한 지진에서 특수하게 나타날 수 있는 단위직무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 분석을 통해서 좀 더 간소화된 매뉴얼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Fig. 14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표준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Fig. 14에서와 같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서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분류하고 비 계층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각 매뉴얼마다 가지고 있는 특수 단위직무와 공통적으로 적용 될 수 있는 공통 단위 직무를 도출하여 매뉴얼 간소화 방안을 제시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31개 재난 유형 위기관리 매뉴얼을 공통단위직무, 특수단위직무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도출하였다.
Fig. 14
Standardization of Crisis Management Manual
KOSHAM_17_03_141_fig_14.jpg

4.2 위기관리 매뉴얼 코드 북 제안

4.1에서 위기관리 매뉴얼 간편화를 위한 방안으로 공통단위직무, 특수단위직무를 도출하고 이를 표준화 하였다. 따라서 31개 재난유형의 위기관리 매뉴얼 분석한 결과를 현장에서 좀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간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Fig. 15와 같이 코드 북 형태 매뉴얼을 제안하였다. Fig. 15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예방 부분의 구분을 Ⓐ∼ⓜ으로 구분하였고, 대비 부분은 a∼j, 대응 부분 A∼D, 복구 부분 Ⓐ∼Ⓒ로 구분하여 코드 북을 제안하였다. Table 10에서와 같이 대응부분의 #1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의 코드 북 1A,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 세부 직무로는 1A-1 자체 평가회의 실시, 1A-2 위기관리정보, 상황종합 및 위기활동 모니터링 등으로 표현하여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Fig. 16과 같이 핸드북처럼 사용 할 수 있게 제안하였다.
Fig. 15
Manual Code Book
KOSHAM_17_03_141_fig_15.jpg
Table 10
Common Task Code Book
Major function Code Medium function Small function Task
#1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1A Functional overview and situation management Disaster situation reception and regular monitoring 1A-1 Conduct of self-evaluation meeting
1A-2 Monitoring of crisis management information, situation synthesis and crisis management activities
Disaster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Composition Operation 1A-3 Coord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duties
1A-4 Central Disaster Safety Measures Headquarters Installation Operation Instructions
1A-5 Coord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duties
1A-6 Operation of local disaster safety measures headquarters
1A-7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disaster site integration support center
1A-8 Dispatching and dispatching on-site probation coordinator
1B Disaster Management General Disaster Response and Operation Situation 1B-1 Situation development, damage detection and continuous response
1B-2 Conducting a comprehensive situation for an accident
1B-3 Emergency response and measurement team
1B-4 Establishment of local emergency command center
1B-5 Proposal for Disaster Prevention
1C Operat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1C-1 Operate situation room for accident report and technical support
1D Collecting and disseminating initial site information and requesting necessary resources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1D-1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of accident area and nearby area
# 2 Support for emergency living 2A Temporary residents and Accommodation suppor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victims 2A-1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victims
2A-2 Establishment of ward
2B Assisting disaster victims and their families Support for victims and bereaved families 2B-1 Disaster prevention support team activities and support for disaster workers
2B-2 Report missing
2C Resident Evacuation Review and Relief activity Review and conduct evacuation of residents 2B-1 Evacuate nearby residents
2B-2 Victim relief activities
#3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3A Telecommunication area communication facility restoration and suppor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3A-1 Emergency telephone installation
Establish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3A-2 Securing and distributing communication equipment for on-site situation
#4 Facility Emergency Repair 4A Support heavy equipment and manpower for emergency recovery Specialist support for emergency recovery 4A-1 Fire suppression
4A-3 Stop water supply if necessary
Requesting cooperation from the relevant agencies for emergency recovery 4A-4 Operation of emergency water supply system
4A-5 Conduct emergency rescue
#5 Energy supply function 5A Identify the status of recovery of gas, electric power, and oil facilities and manage the situation Request for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5A-1 Preparing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when necessary
5A-2 Emergency power supply
5A-3 Emergency water supply system operation request
5A-4 Safety condition when supplying gas electric material
#6 Disaster management support 6A Comprehensive situation management of disaster material Comprehensive disaster material management support 6A-1 Mobilization of disaster prevention material
6B Civil Defense Support Identify the status of civil disaster management support 6B-1 Mobilization of civil defense personnel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7 Traffic measures 7A Emergency transport measures and transport safety by securing public transportation General road control Dedicated Control 7A-1 Hazardous area access control
7A-2 Providing transportation for urgent materials and manpower transportation
7B Monitoring and information on traffic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management 7B-1 Site control support and accident investigation
#8 Medical and anti-virus services 8A Identify and transport casualties Identify and transport casualties 8A-1 Emergency patient emergency transportation
8B Emergency medical center installation and disaster medical support team on-site support Injury and follow-up management of casualty emergency 8B-1 Emergency clinic
8B-2 Emergency medical care for injured persons
8B-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anagement
8C Supporting the activities to prevent damage to the affected area 8C-1 Contaminated area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9 Disaster site improvement 9A Waste disposal after a disaster Disaster waste treatment 9A-1 Disposal of contaminated goods in accident area
9B Identify harmful chemical substances damage and treatment situation 9B-1 Provision of pollutant movement / diffusion prediction and provision of results
#10 Administrative support and volunteer management 10A Supporting and Supporting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Death treatment, funeral support and bereavement management 10A-1 Discussing funeral and compensation matters
10A-2 Confirmation of the death of the survivor
Establishment of autonomous region cooperation system 10A-3 Communicate directions and meet local requirements through municipal group meetings
10A-4 Review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accidental disaster in local communities
10B Requesting information on volunteer status and managing information Volunteer management 10B-1 Volunteer input
10C Disaster Management Fund Operation Emergency budget support and recovery budgeting 10C-1 Review financial support
10C-2 Support for health insurance fee reduction
10C-3 Suspension of National Pension Payment
10C-4 Financial support for victims and corporate taxpayers
#11 Social Order and External Cooperation 11A Military (manpower, equipment) mobilization consultation and situation grasp 11A-1 Supporting personnel, equipment and lifesaving
11A-2 Coordination of reserves training in affected areas
11B Police (manpower, equipment) mobilization consultation and situation grasp 11B-1 Disaster area traffic control and policing
11B-2 Support for rescue and search for missing persons
11C Consultation with the school board and the situation 11C-1 Measures such as temporary closure of disaster area
11C-2 Provision of evacuation facilities for school facilities
11D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11D-1 Maintain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12 Search and rescue aid services 12A Emergency rescue activity Emergency Relief Activities 12A-1 Life-saving, patient withdrawal and relief
12A-2 Search confirmation
#13 Disaster relief promotion 13A Monitoring citizen opinion on SNS and disseminating distorted information 13A-1Broadcast Disaster Broadcasting and SNS Rapid Broadcasting
13B Press releases and press briefings Checking the contents of the press and public opinion 13B-1 Governance efforts to continue publicity
13B-2 Crisis situation vs. national public support
13B-3 Rapidly and accurately spreading the accident situation to the people
13B-4 Strengthen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o relieve people’s anxiety
13C Distribution of complaints by citizens 13C-1 Emergency Promotion Center in operation
13D Press media contents, public opinion trend and distorted information online response 13D-1 Response to press release monitoring oboe
Fig. 16
Disaster type of Code Book
KOSHAM_17_03_141_fig_16.jpg
Table 10은 31개 재난유형의 단위직무를 분석하여 도출한 공통단위직무 코드 북의 일부를 나타내었다. Table 10은 공통단위직무 대응부분 13개 재난대응활동계획으로 분류하여 코드 북 형태로 제안한 것이다. 또한 Table 11에서는 각 재난유형별 특수 단위직무 도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공통단위직무와 특수단위직무를 조합하여 Fig. 16과 같이 각 재난유형별 코드 북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 재난유형별 특수단위직무를 각 지자체에서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제안하고 이를 반영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매뉴얼을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able 11
Special Job Code Book
Major function Disaster Special Unit Job
Prevention 1. Flooded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measures to reduce flood damage
Establishment of various disaster prevention standards
Typhoon analysis and predic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elaborating prediction of hurricane course
Emergency response system such as security aircraft
Landslide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for providing landslide prediction information
Farmland and repair facility Plastic house housing Ginseng cultivation facility management
Strengthen preventive activities to prevent casualties such as landslides
Forecasting facilities and forecasting of damage caused by typhoon such as vulnerable areas
Utilization of village autobiographical disaster prevention
2. Earthquake Management of facilities subject to earthquake-resistant design under the earthquake disaster countermeasure measure
Annual seismic retrofit conducted
Promotion of seismic reinforcement through provision of incentives such as local tax reductions for private buildings
3. Large volcanic eruption Establishment of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system for volcanic activity
Construction of surveillance and damage prediction system for prediction of volcanic eruptive spread detection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volcanic eruptions compared to volcanic eruptions
4. Red tide Prevention of Red Tide Damag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measures to reduce pollution planning and red tide damage
Preliminary preparation for accurate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red tide occurs
How to use medicines for aquaculture
Use of fishery medicines for farms Preliminary inspection of fish stocks and control equipment
5. forest fires Fire prevention,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atic management of forest fire vulnerable areas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reduce forest fire damage
Implement forest fire prevention measures
Enforcement of prohibition of unauthorized incineration in forestry education and forestry education
6. Hazardous chemical spill Chemical substance handling site public relations system monitoring and guidance check
Integrated management of chemical handling information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lated system
Establishment of Joint Inspection Plan for Relevant Facilities for Chemical Handling Sites
Environmental Agency Emergency Response Instructions
Toxic gas handling information sharing
Participate in professional training for training chemical experts
Confirmation of operation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5. 결론

우리나라 위기관리 매뉴얼 체계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서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재난유형별로 매뉴얼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각각 존재하여 방대하고 각 매뉴얼간의 중복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위기관리 매뉴얼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1차 매뉴얼 업무리스트 분류, 2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한 분류, 3차 비 계층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라 위기관리 매뉴얼의 공통단위직무 코드 북, 특수단위직무 코드 북을 제안하였고, 코드 북을 활용하여 재난유형별로 간소화된 매뉴얼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공통단위직무, 특수단위직무는 31개 재난유형 매뉴얼을 모두 분석하여 얻은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매뉴얼 체계는 중앙에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제작하고 중앙에서 매뉴얼 개선 협의회 등을 운영하여 제⋅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가 복잡해지고 재난유형 또한 한 가지 재난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재난형태로 변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이 발생 하였을 때 직접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 단체 매뉴얼 협의 제도를 마련하고 이를 활성화시킨다면 지방자치단체 및 협력기관 특수성이 잘 반영되어 즉각적이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위기관리 매뉴얼 표준화 방안으로 공통단위직무 코드 북, 특수단위직무 코드 북 형태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간소화되고 휴대가 편리하게 제안된 매뉴얼을 이용하여 매뉴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한다면 좀 더 편리하고 활용성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위직무별로 매뉴얼이 제안되었기 때문에 손쉽게 매뉴얼을 제정⋅개정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References

Ahn, I.J (2003) Developing a Curriculum of School Librarians Using a Job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7, No. No. 3, pp. 79-95.
crossref
Australian Manual, AIDR AEM Series (Manual 22, 34, 35 and 40).
crossref
Bargal, D, and Shamir, B (1984) Job Description of Occupational Welfare: A tool in Role Development. Adminstration in Society Work, Vol. 8, No. No. 1, pp. 59-71. 10.1300/J147v08n01_05.
crossref
British manual (2013). Guidance: Emergency response and recovery. Available: https://www.gov.uk/governme nt/publications/emergency-response-and-recovery.
crossref
Busan Metropolitan City (2014) Marine Vessel Accident Site Action Manual.
crossref
Cascio, W.F (1998). Applied Psycholog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5th ed. Upper Saddle River Prentice-Hall, NJ.
crossref
Choe, J.T (2005). Modern HR Management. Seoul: Parkyoungsa.
crossref
Daejeon Metropolitan City (2014) Subway Large Accident Scene Action Manual.
crossref
Forest Service (2015) Forest Fire Crisis Countermeasure Manual.
crossref
Forest Service (2015) Forest Fire Risk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Gyeong Sang Buk-do (2014) Red Tide Risk Action Manual.
crossref
Jeon, J.S, and Chung, Y.J (2010) The Research of Efficiency of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 413-418.
crossref
Jones, J.J, and Walters, D.L (1994).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Education.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PA: p 59-71.
crossref
Kang, L.S, Kawak, J.M, Moon, H.S, and Jeong, S.Y (2004) A Study on Facility Prevention System by Using Maintenance IETM.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1866-1869.
crossref
Kim, E.Y (2006). Job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crossref
Kim, J.I, and Kim, W.S (2012) UD Guideline for Disaster Preparedness Manual. 2012 KSDS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64-65.
crossref
Kim, M.J, and Park, J.K (2015) A Review of Emergency Management Manuals Based on Informat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21, No. No. 4, pp. 85-96.
crossref
Kwak, S.L, Park, W.H, and Koo, D.H (2014) A Study on Emergency Response Manuals for Urban Train Accident. Conference of Korea Society for Railway, pp. 669-673.
crossref
Lee, H, Jeong, K.T, and Choi, J. Y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by analyzing Crisis response manual. Conference of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p. 411-413.
crossref
Lee, J.H (2005). Analysis of the Korean school counselor’s job and role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rossref
Lee, S.G, and Lee, H.J (1998) Situation and welfare for analyzing job of social worker, Vol. 3, pp. 127-150.
crossref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Hazardous Chemical Spill Management Practical Manual.
crossref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Practical Manual for Drinking Water.
crossref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Hazardous Chemical Spill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for Drinking Water.
crossre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ounter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Crisis.
crossre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sFlood Crisis Management Practical Manual.
crossre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for Infectious Diseases.
crossre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Healthcar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4). Large Volcano Explosion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crossre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5). Standard Manual for Subway Accident Crisis Management.
crossre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6). Crisis Management Standards Manual for Drinking Water.
crossre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5). Marine Manual for Ship Accident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5). Red Tide Risk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Earthquake Disaster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Flood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Large Volcano Explosion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crossref
Moon, H.S, and Kang, L.S (2009) Development of Disater Mangement IETM for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No. 2D, pp. 255-265.
crossre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Multi-Cluster Building Collapse Large Accident Crisis Countermeasure Manual.
crossre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6). Multi-Cluster Building Collapse Large Accident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crossref
Daegu Metropolitan City (2014) Multi-Cluster Building Collapse Large Accident Site Action Action Manual.
crossre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Earthquake Disaster Crisis Management Practical Manual.
crossref
Park, B.S (2008) The Reality of Private Sector for Disaster Management and the Reponse System Construction: In the Focus of Busan Disaster Safe Network. Korean Policy Science Review, Vol. 12, No. No. 4, pp. 203-206.
crossref
Park, K.H, and Park, H.S (2015) The Research on Job Analysis of Emergency Preparedness Business Representatives by DACUM.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11, No. No. 6, pp. 69-95.
crossref
Park, M.G, Hwang, H.S, and Kim, C.S (2008) A Study on the Emergency Manual for Early Response at Fire occurred in Underground Station. Conference of Korea Multimedia Society, pp. 284-287.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Fire Fighting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Flood Management Site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Hazardous Chemical Spill Management Site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Healthcare On-site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Large Volcano Explosion Site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6)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ite Action Manual.
crossref
Ulsan Metropolitan city (2016) Ulsan Metropolitan Cityinfectious Disease Site Action Manual.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