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터 개발(II)

Development of 3D Simulator for Prevention of Debris-Flow Disasters in Urban Areas(II)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17(06):127-13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7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6.127
조광준, 김진현**, 양원석***
** C.E.O, E8IGHT co. ltd
*** Assistant Research Engineer, Technical Research Team, E8IGHT co. ltd
*Corresponding Author, Member, C.T.O, E8IGHT co. ltd. (Tel: +82-31-726-2707, Fax: +82-31-726-2716, E-mail: b747@e8-korea.com)
Received 2017 October 27; Revised 2017 October 31; Accepted 2017 November 02.

Abstract

최근 집중호우 및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산지부에 인접한 도심지 근처에서 산사태나 토석류 유출 등의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 연구에서는 3D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피해 예측 및 대응전략 방재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재해 3D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토사재해 해석결과를 가시화하여 도심지 토사재해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사용자에게 제공 및 제시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토사재해 취약지구에 대하여 분석 및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재개발, 도시계획을 수행 할 때 토사재해 예방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ans Abstract

Recently, the heavy rain and the locality heavy rain is frequent occurred. Because of this, the downtown area near the mountain area caused the damage of the debris flow or land slide. But the stud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is insufficient about the disaster prevention, predict damage and confrontational strategy. Therefore, In this study, soil disaster 3D simulator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iz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oil disaster and to provide and present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strategies against urban soil disaster. go through this program will Analysi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soil disaster vulnerable zones is possible. Additionally, when re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countermeasures against soil disaster prevention.

1. 서론

최근 국지성 호우 및 집중호우 현상의 증가로 산지부에서 토석류가 흘러내려 도심지로 유입되면서 도심지 피해를 유발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토석류에 의한 토사재해는 주로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한다(Kim et al., 2013).

대표적으로 2011년 발생한 서울지역 우면산 산사태와 춘천지역 마적산 산사태 등과 같이 산지부에서 유입되는 토석류로 도심지 피해가 발생했다.

토석류는 산사태와는 달리 그 발생과 전파가 급속도로 빠르기 때문에 산사태보다 더 많은 위험인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직접적이고 실시간적인 대응체계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Yun, 2013). 이에 따라 토사재해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수치 모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예측 모의결과가 텍스트형식 또는 도면으로 제시되어 재해관리자 또는 비전문가가 방대한 모의자료를 신속하게 검토하여 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효과적으로 예측결과를 검토 및 방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모형결과를 가시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Goh and Jung, 2008).

과거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기술은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의 한계로 적용이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3차원 가시화 기술은 지리정보시스템 분야와 영화, 게임, 가상현실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3차원으로 변화가 되면 단순한 가시화 기능뿐 아니라, 분석측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다(Gang et al., 2017). 재난 및 방재대책과 관련된 3차원 가시화 선행연구로 Lee and Jeong(2008)은 FLDWAV 모델로 모의한 하천 내 홍수위 해석결과를 기반으로 지형정보와 연계하여 댐 하류 하천에 대한 실시간 범람지역을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Youn et al. (2016)은 화산재 확산 예측 결과의 3차원 가시화 기법을 제안하였고 백두산에서 화산이 폭발할 것을 가정하여 그 예측결과를 가시화 하였다. Gang et al. (2017)은 홍수와 관련된 원시데이터를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위험지역을 보여주고자 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현재 선행된 연구는 수재해 관련 가시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산지부와 인접한 도심지역에 대해 토사재해 발생 시 피해범위 예측과 예방 및 복구대책에 대하여 대응전략을 제시해 주고 해석된 결과를 시각화하여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3D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3차원 가시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면산, 괴화산, 백양산 지역에 대해 토사재해 발생 상황에 대한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해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심지 위험도 분석과 토사재해 발생 시 예방 및 복구방법에 대한 대응전략을 제시하여 토사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 및 최소화하고자 한다.

2. 토사재해 3D 시뮬레이터

2.1 토사재해 3D시뮬레이터 가시화 기능 개발

토사재해 3D시뮬레이터는 OpenGL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Shin et al., 2016).

OpenGL(Open Graphics Library)은 처음 1992년 실리콘그래픽스사에서 만든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스 표준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규격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간, 프랫폼 간의 교차 응용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또한 OpenGL API를 이용하면 그래픽 카드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를 제어를 할 수 있어 3D와 2D화면을 가속화 할 수 있다. OpenGL은 그래픽 카드에 대해 확장성이 뛰어나며 효율적이고 빠른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와 2D 화면처리에 대한 가속과 DATA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OpenGL API를 이용하여 3D 렌더링 기반 및 엔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엔진을 토사재해 3D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탑재하여 TEXT파일 형식의 산지부 해석(Ulsan University), 도심지 해석(Hongik University)결과를 실제 토사의 흐름과 유사한 형태로 표현 가능하게 개발하였다.

Fig. 1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토사재해 3D 시뮬레이터이며 Window프레임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Fig. 1

Soil Disaster Prediction 3D Simulator Programme

다음은 토사재해 3D시뮬레이터에서 가시화를 수행하는 순서이다.

2.1.1 지형 생성

Fig. 2는 지형을 가시화 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이다. Fig. 2와 같이 일반적으로 2차원 형태의 Grid 자료구조에 높이정보를 가지고 있는 Height Map을 저장하여 지형을 가시화 한다. 본 연구에서는 Height Map을 DEM(Digital Elevation Model) 데이터로 대체하여 지형을 생성하도록 개발하였다. DEM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며 (1) 항공영상에서 추출, (2) 위성영상에서 추출, (3) 수치지도의 등고선에서 추출 하는 방법 등이 있다. DEM파일 정보의 종류는 USGS DEM, ASCII, Raster(GeoTiff)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산업진흥원(Spati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Institute)이 운영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지도서비스 V-World(map.vworld.kr)의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Raster(GeoTiff) 형식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Raster데이터에서는 격자수, 시작좌표, 격자 크기, 좌표계, 격자의 높이 값에 대한 자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데이터와 좌표변환을 거처 지형을 가시화 하면 Fig. 3과 같다.

Fig. 2

Terrain Visualization of The Algorithm

Fig. 3

Terrain Visualization Using DEM Data

2.1.2 구조물 가시화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산업진흥원(Spati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Shape File형식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개발했다. 주로 Poly-line, Polygon의 vertex와 레코드 내용 중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가시화 한다. Shape File은 DEM자료와 같이 좌표계가 존재하고 있어 DEM자료와 동일한 좌표계를 적용해줘야 지형데이터에 맞게 자료가 불러와 진다. Fig. 4는 우면산 지역의 구조물을 3D로 가시화한 결과이다.

Fig. 4

Structure Visualization Using Shpfile Data

2.1.3 해석데이터 입력 및 결과 도출 기능

산지부와 도심지에 대해 해석된 결과 데이터를 연동하여 3D 가시화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가시화는 사실적인 가시화와 Contour 가시화로 나눌 수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토사재해 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토사해석 결과인 토사의 밀도, 속도, 높이 등을 가시적으로 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Contour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토사의 밀도, 속도 등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토사를 나타내는 표면 Mesh가 필요하다. 토사의 표면 Mesh는 2차원 Grid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Fig. 5는 본 연구에서 Contour의 색상을 토사의 속도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의사코드이다. Fig. 6은 본 연구의 테스트 배드 지역인 우면산, 괴화산, 백양산 지역 대상으로 강우시나리오(확률강우량 100년, 강우강도 24시간)조건 토사재해 가시화 작업을 수행한 결과이다.

Fig. 5

Contour Generate Pseudo Code

Fig. 6

Soil Disaster 3D Simulator Result (Test Bed)

2.2 도심지 위험도 격자 생성 기능 개발

국토연구원에서(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위험도를 산정하는 인자 자료를 기준으로 토사재해 3D 시뮬레이터 내 위험도 입력 및 도출기능을 Fig. 7과 같이 개발하였다.

Fig. 7

Hazard Input Function Tool

국토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에서 제시한 도심지 위험도는 재해특성, 노출특성, 취약성, 종합위험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종합위험도 점수는 Eq. (1)과 같이 계산된다.

(1)종합위험도=(재해특성점수×0.2987)+(노출특성점수×0.3321)+(취약성점수×0.3692)

재해특성점수는 Table 1과 같이 위험도 격자범위에서 강우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해준다.

Disaster Feature Evaluation Standard

노출특성점수는 용도지역점수와 도시계획시설 점수에 Eq. (2)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2)노출특성=(용도지역점수×0.4689)+(도시계획시설점수×0.5311)

용도지역 점수는 주거지역 점수, 상업지역 점수, 공업지역점수, 녹지지역 점수에 Eq. (3)과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3)용도지역=(주거지역점수×0.5505)+(상업지역점수×0.2681)+(공업지역점수×0.1398)+(녹지지역점수×0.0416)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점수 산정은 Table 2와 같이 해당 여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 후 셀 내 해당 면적 비율을 곱해준다.

Zoning Evaluation Standard

도시계획시설 점수산정은 Table 3과 같이 해당 여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 후 셀 내 면적비율을 곱해준다.

Urban Planning Facility Evaluation Standard

취약성 점수는 Eq. (4)와 같이 계산된다.

(4)취약성=(인구점수×0.8209)+(건축물점수×0.1791)

인구점수는 인구밀도, 재해취약인구비율, 2층 이하 인구수 점수에 Eq. (5)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5)인구점수=(인구밀도점수×0.1452)+(재해취약인구비율점수×0.4971)+(2층이하인구수점수×0.3577)

인구밀도, 재해취약인구비율, 2층 이하 인구수 점수는 Table 4와 같이 점수가 부여되며 면적비율은 적용하지 않는다.

Population Evaluation Standard

건축물 점수는 건축노후 점수, 건축구조 점수, 지하유무 점수에 Eq. (6)과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6)건축물=(건축노후점수×0.3798)+(건축구조점수×0.3627)+(지하유무점수×0.2575)

건축노후, 건축구조, 지하유무 점수는 Table 5와 같이 해당여부에 따라 점수를 부여 후 셀 내 면적비율을 적용하여 구한다.

Structure Evaluation Standard

위험도 등급은 Figs. 8, 9와 같이 토사재해 예측 3D시뮬레이터 내에서 셀별 위험도 인자를 입력 후 자동 계산되어 도출 된다. 위험도 등급구분은 Tables 6(a), 6(b), and 6(c) 와 같이 항목별 등급기준에 따라 5가지의 등급으로 구분되어 가시화 된다.

Fig. 8

The Downtown Area Hazard Analysis Results

Fig. 9

Mt.Umyeon (Test Bed Zone) Hazard Result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2.3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 제시 기능 개발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시나리오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 Criteria Making, MCDM) 중 하나인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지반, 수자원, 도시계획, 방재 등 분야에서 선별된 30인의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되었다(Moon et al., 2017).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토사재해 3D시뮬레이터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시나리오를 조합 및 설정하여 도시계획 전략 시나리오를 도출시키는 프로그램 기능을 개발하였다. 개발을 통해 도심지 위험도 격자 별 대응전략 정보 제공 및 제시가 가능하다.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 시나리오의 구분코드는 Table 7과 같이 크게 6개이며 용도지역 및 지구, 방재시설, 설계적 기법(도시), 설계적 기법(건축물), 이주대책, 경제적 수단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구분코드 안에 하위 세부전략이 설정되어 있다. Fig. 10은 우면산 지역에 대해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제시를 수행한 결과이다.

Soil Disaster Urban Planning Strategy Scenario Category Code

Fig. 10

Result of Urban Response Strategy for Soil Disaster

또한 Figs. 11, 12와 같이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도심지 토사재해 통합관리 시스템과의 자료 연동을 통해 자료의 DB(Data Base)화 및 사용자에 자료 및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개발하였다. 따라서 추가 연구 및 위험지역에 대한 분석결과를 자료의 변환 없이 업로드 가능하다.

Fig. 11

Integrated Urban Soil Disasters Management System Main

Fig. 12

Suggesting a Response Strategy in The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Urban Areas (Mt.Umyeon)

3. 결론

본 논문에서는 현재 수행 중인 ‘도시특성을 고려한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평가 및 통합관리기술 개발’ 연구 사업을 통해 개발된 토사재해 예측 3D시뮬레이터에 대해 서술하였다.

현재 개발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1) 산지부 해석, 도심지 해석 결과를 연동하여 우면산, 백양산, 괴화산 지역에 대해 3D 가시화를 완료하였다.

  • (2) 도심지 위험도 등급을 토사재해 예측 3D 시뮬레이터에서 자동계산을 수행하여 위험도 등급별 분류 및 가시화를 시키는 것을 완료하였다.

  • (3)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제시 기능 개발을 완료하였다.

  • (4) 토사재해 예측 3D 시뮬레이터에서 도출된 도심지 위험도 등급, 토사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전략제시 자료를 도심지 토사재해 통합 관리시스템과의 연동성을 확보하여 자료의 DB(Data Base)화 및 사용자에 정보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토사재해 예측 3D 시뮬레이터 개발을 통해 토사재해 취약지구에 대하여 분석 및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재개발, 신도시계획을 수행 할 때 토사재해 예방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로는 토사재해 예측 3D 시뮬레이터에 현재는 따로 분류된 산지부 해석 프로그램과 도심지 해석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ONE-STOP 솔루션으로 해석 및 결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 중에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건설기술연구사업(13SCIPS04)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Gang S.M, Ryu D.H, Choi Y.C, Choung Y.J. 2017;Unity3D-Based Flood Simulation Visualization Web Sysem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98–112.
Goh T.J, Jung T.S. 2008;Modeling and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in Natural River. J. korean Soc. Hazard Mitig 8(3):157–164.
Kim S.E, Paik J.C, Kim K.S. 2013;Run-out Modeling of Debris Flows in Mt. Umyeon Using FLO-2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965–974. 10.12652/Ksce.2013.33.3.965.
Lee G.S, Jeong I.Y. 2008;Development of 3D GIS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5D):749–757.
Moon Y.H, Lee S.E, Kim S.Y, Kim M.S. 2017;Determining the Location of Urban Planning Measures for Preventing Debris-Flow Risks: Based on the MCDM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2(5):103–114.
Shin B.J, Youn S.H, Lee G.D. 2016;Development of the 3D simulation for downtown soil erosion, disaster prevention (I).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408–417. 10.5762/KAIS.2016.17.6.408.
Youn J.H, Kim H.W, Kim S.M, Kim T.H. 2016;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1):99–107. 10.7319/kogsis.2016.24.1.099.
Yun H.S. 2013;Development of Debris Flow Simulation Program Using GIS Analysis Technique. Proceedings of 2013 Spring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2013:13–2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oil Disaster Prediction 3D Simulator Programme

Fig. 2

Terrain Visualization of The Algorithm

Fig. 3

Terrain Visualization Using DEM Data

Fig. 4

Structure Visualization Using Shpfile Data

Fig. 5

Contour Generate Pseudo Code

Fig. 6

Soil Disaster 3D Simulator Result (Test Bed)

Fig. 7

Hazard Input Function Tool

Table 1

Disaster Feature Evaluation Standard

Disaster Feature Contents Score
Volumetric Flow at 30-year Frequency Rainfall Less than 10 m2/s 1.00
10 m2/s or More and Less than3 m2/min 0.67
3 m2/min or More and Less than 0.9 m2/hr 0.33
Less than 0.9m2/hr 0.00
Volumetric Flow at 100-year Frequency Rainfall Less than 10 m2/s 1.00
10 m2/s or More and Less than 3 m2/min 0.67
3 m2/min or More and Less than 0.9 m2/hr 0.33
Less than 0.9m2/hr 0.00

Table 2

Zoning Evaluation Standard

Zoning Contents Score
Residential Zone Apply 1.00
Does not Apply 0.00
Commercial Zone Apply 1.00
Does not Apply 0.00
Industrial Zone Apply 1.00
Does not Apply 0.00
Green Zone Apply 1.00
Does not Apply 0.00

Table 3

Urban Planning Facility Evaluation Standard

Urban Planning Facility Contents Score
Urban Planning Facility School, Hospital, Social Welfare Facility 1.00
Youth Training Center, Public Office, Supply⋅Processing Facility 0.67
No Facilities 0.00

Table 4

Population Evaluation Standard

Population Contents Score
Population Density 3 People or More 1.00
2 People or More and Less than 3 People 0.67
1 People or More and Less than 2 People 0.33
Less than 1 People 0.00
Disaster Vulnerability Population Rate 50% or More 1.00
30% or More and Less than 50% 0.67
10% or More and Less than 30% 0.33
Less than 10% 0.00
Population below 2F 3 People or More 1.00
2 People or More and Less than 3 People 0.67
1 People or More and Less than 2 People 0.33
Less than 1 People 0.00

Table 5

Structure Evaluation Standard

Structure Contents Score
Older Building 30 year or More 1.00
20 year or More and Less than 30 year 0.67
10 year or More and Less than 20 year 0.33
Less than 10 year 0.00
Building Structure Lightweight Steel Frame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1.00
Masonry, Brick Construction 0.67
Reinforced concrete, Steel-Reinforced concrete, The Other Concrete, Steel Pipe 0.33
No Building 0.00
Underground Underground 1.00
No Underground 0.00

Fig. 8

The Downtown Area Hazard Analysis Results

Fig. 9

Mt.Umyeon (Test Bed Zone) Hazard Result

Table 6(a)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Level Zoning Urban Planning Facility
or More Less than or More Less than
5 0.000000 0.101790 0.000000 0.112350
4 0.101791 0.230120 0.112351 0.307310
3 0.230121 0.357830 0.307311 0.500460
2 0.357831 0.485520 0.500461 0.777720
1 0.485521 1.000000 0.777721 1.000000

Table 6(b)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Level Vulnerability Population
or More Less than or More Less than
5 0.000000 0.130830 0.000000 0.118040
4 0.130831 0.354820 0.118041 0.380970
3 0.354821 0.576960 0.380971 0.596300
2 0.576961 0.784380 0.596301 0.788040
1 0.784381 1.000000 0.788041 1.000000

Table 6(c)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Hazard Zone Level

Level Structure
or More Less than
5 0.000000 0.059100
4 0.059101 0.188930
3 0.188931 0.335230
2 0.335231 0.520710
1 0.520711 1.000000

Table 7

Soil Disaster Urban Planning Strategy Scenario Category Code

Code Category Contents Number of Sub-Categories
A Use Area and District Land Use, Measures Against Development Behavior 12
B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Measures Agains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8
C Design Technique (Urba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Response Plan for Urban Planning Facilities 8
D Design Technique (Architecture) Measures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Buildings 10
E Relocation Measures Measures for Resident Migration to Prevent Population Damage in Case of Disaster 3
F Economic Means Disaster-Related Insurance, Compensation and Incentive Measures 6

Fig. 10

Result of Urban Response Strategy for Soil Disaster

Fig. 11

Integrated Urban Soil Disasters Management System Main

Fig. 12

Suggesting a Response Strategy in The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Urban Areas (Mt.Um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