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6); 2017 > Article
계획 기반의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위한 eSOP 시스템 활용 방안 연구

Abstract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are preparing disaster response plans through improvement of crisis management manuals and preparation of “guideline of disaster response instruction” for rapid and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disaster response plans, such as emergency response plan and business continuity plan are also devised in various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better establish and manage these disaster response plans and enhance utiliz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response pla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orm of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 and utilized for disaster response & situ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many ways for disaster response planning in the form of eSOP (electronic SOP) and uti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 situation management are suggested.

요지

지자체 등 재난관리책임기관에서는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을 위해 위기관리 매뉴얼의 개선과 함께 “재난대응수칙 작성지침”을 새로 마련하여 재난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밖에도 여러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는 비상대처계획, 업무연속성계획 등 여러 유형의 재난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재난대응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관리하고 재난 발생 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행동절차(SOP) 형식으로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스템화 해서 대응 및 상황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SOP(전자표준행동절차) 형태로 재난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 재난관련 계획 및 매뉴얼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근거한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과 부처별 집행계획, 지역안전관리계획 등 안전관리계획 문서들과, 대통령 훈령 제229호에 따른 위기관리표준매뉴얼, 위기대응실무매뉴얼, 현장조치행동매뉴얼 등 위기관리매뉴얼, 그 외 자연재해대책법 및 각 부처별 개별법령에 따른 재난관련매뉴얼 등의 매뉴얼이 있다. 그러나 메르스나 구제역⋅AI와 같은 전염병, 대형 폭발⋅화재, 해양사고 등의 대형 사고⋅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매뉴얼 개선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어 왔다.
Table 1
Major Disaster Manual
Standards of Laws, Directives Manu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Law • Basic plan for safety management
• Regional Safety Management Plan
• Safety Management Executive Plan
• Emergency Response Plan
• Aircraft search plan, etc.
Presidential Decree No. 229 •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 Crisis Response Practical Manual
• Site action manual
Natural Disaster Countermeasures Act • Comprehensive plan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 Emergency response plan
• Emergency Support Plan
• Action plan by type of disaster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처가 출범하고 재난 매뉴얼을 정비하면서 재난현장에서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난대응수칙 작성지침을 새롭게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재난발생 시 활용 가능하도록 재난발생단계부터 수습복구까지 주요 핵심 업무를 정의하고, 지휘부와 대응부서 및 유관기관 등의 책임과 역할 그리고 세부 행동절차를 재난대응 단계별로 작성하여 재난발생시 조치해야 할 행동에 필요한 대응절차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작성토록 하였다.
그러나 재난대응매뉴얼이 재난대응 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재난 상황에 따라 조치해야 할 담당자별 업무 및 세부 행동 요령을 PC나 모바일 등을 통해 즉시 알려주고, 조치한 결과는 실시간 모니터링 되어 상황실에서 적절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1.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논문은 재난대응매뉴얼을 재난대응이나 재난상황관리 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재난대응매뉴얼을 절차 형태로 재구성하여 이를 시스템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대응 담당자가 수해해야 할 업무를 전파하며 동시에 재난대응 진행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등 재난대응매뉴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절차형태로 매뉴얼을 수립하고 이를 시스템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및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eSOP 개념을 적용하거나 eSOP와 유사한 적용 사례들을 통해 재난분야에 적합한 eSOP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위한 eSOP 시스템 개발 및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선행 연구

2010년 “IETM 기반의 방재집행계획 전자매뉴얼 시스템 연구” Lee(2010)에서는 재난대응매뉴얼을 절차 형태로 수립하여, 업무에 필요한 내용을 스크롤 형태가 아닌 화면 단위로 이동하면서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참고할 수 있는 형태를 연구했다. 그리고 2011년 “BPM 기반의 재난관리 업무 프로세스 모델링 설계에 관한 연구” Lee(2011)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기술을 적용하여 시스템화한 사례를 발표했다. 2014년에는 “재난전조 감지 및 재난대응 시스템에 관한 개념연구” Park et al. (2014)에서 재난전조 감지 및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위하여 자율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방재 시스템을 제안했으며, 2017년 “Intelligence 기반 스마트 재난재해 관리” Song et al. (2017) 연구에서는 시스템 워크플로우를 통해 이벤트 발생 시 담당자에게 자동 상황 전파, 상황대응 체크 리스트 제공 등으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2 eSOP 적용 사례

eSOP(electronic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는 업무절차를 데이터화해서 웹 등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하고 이를 PC나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계를 의미한다.
아직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해외에서는 “Process Automation and Life-Cycle Management for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와 같은 개념으로 행정 업무에 적용되거나 “The digitization of manual and automated processes with one tool across your entire facility”와 같은 개념으로 생산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밖에 eSOP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소방분야 등에서 표준행동절차를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다.

2.2.1 JobRouter의 eSOP 활용

JobRouter사의 eSOP 시스템은 SOP 문서의 생성, 검토, 승인, 배포 등 문서관리 라이프사이클의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컴포넌트와 문서관리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2.2.2 Industrial Network System의 eSOP 활용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는 명확한 작업 절차 없이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지침을 명확하게 전달하면서 중요 작업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Industrial Network System에서는 eSOP를 통해 작업 프로세스에 따라 업무 매뉴얼을 전자화하고, 생산 및 유지관리 작업자 등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2.3 재난대응분야에서의 eSOP 유사 적용 사례

2.3.1 WebEOC

WebEOC는 웹기반의 재난상황실(Web Emergency Operation Center)로 통합모니터링 및 의사결정을 지원한다(NDMI, 2014).
WebEOC는 GIS 및 다양한 추가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데,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 재난현장 담당 업무 확인 및 모바일 실시간 보고

  • - 사고 관련 정보 현장 등록 및 유관 기관 공유

  • - 유관기관에 실시간 재난상황 정보 전파

  • - IRIS(Immediate Response Information System) Alert 시스템을 통해 팩스, SMS 및 Voice(Call) 등의 채널로 전파

2.3.2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재난발생 시, 의사결정이 어렵고 곤란한 상황에서 시스템 화된 재난대응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초동대응체계 구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다음의 기능들을 제공한다(KISTEP, 2014).
  • - 계획 기능: 재해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관련기관과의 연계 등을 자동으로 지원하며 방재기본계획, 지역방재계획 등에 근거한 재난대응 상황 시나리오를 사전에 작성하여 재난발생 시, 재난 상황에 따라 실행할 수 있도록 함

  • - 대응 기능: 자동가이던스 기능을 통해 재난상황에 따라 실행해야 할 상황 시나리오를 업무 담당자 별로 자동으로 표시해주며, 작업항목의 누락 및 재난 중복대응 등의 작업 오류를 방지하고,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에 따른 통합 업무수행 환경 제공

  • - 훈련 기능: 재해대책매뉴얼을 바탕으로 재난대응 훈련기능을 이용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하여 재난대응 능력 강화

3. eSOP 기반의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 연구

3.1 eSOP 시스템 설계

3.1.1 재난대응 업무 논리적 구성

재난이 발생하면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진이 발생할 경우 건물이 붕괴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며, 풍수해가 발생할 경우 침수⋅범람, 산사태, 도로유실 등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복합재난 또는 동시다발적인 재난이 발생할 경우 재난 유형별로 대응조직이 수행해야 할 대응 업무가 있으며, 이들 대응 업무는 대응단계, 대응조직, 선행업무 조건 및 기타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Fig. 6).
Fig. 1
Institutional Response (Example)
KOSHAM_17_06_115_fig_1.gif
Fig. 2
eSOP Process
KOSHAM_17_06_115_fig_2.gif
Fig. 3
Typical Electronic SOP Screen
KOSHAM_17_06_115_fig_3.gif
Fig. 4
WebEOC
KOSHAM_17_06_115_fig_4.gif
Fig. 5
Decision Support System
KOSHAM_17_06_115_fig_5.gif
Fig. 6
Logical Structure of Disaster Response Business
KOSHAM_17_06_115_fig_6.gif

3.1.2 재난대응 업무 DB 설계

재난대응 업무의 논리적 구성을 토대로 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Fig. 7과 같다. 재난 유형 및 대응단계별로 재난대응 업무들을 정의하며, 정의된 대응 업무들을 선⋅후행 관계 및 연관 관계 등에 따라 배열한다. 각각의 대응 업무들은
Fig. 7
Data Association Diagram
KOSHAM_17_06_115_fig_7.gif
세부 조치사항 외에 담당 대응조직과 협력 기관, 필요 자원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개별 대응 업무들을 조합하여 재난유형별 대응계획이 수립되고, 이를 통해 재난대응 활동이 수행된다. 훈련 계획은 대응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훈련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구성한다.

3.1.3 시스템 구성

eSOP 기반의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구축하기 위해 크게 기본정보관리, 계획수립, 대응 그리고 상황관리 4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된다(Fig. 8).
Fig. 8
eSOP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KOSHAM_17_06_115_fig_8.gif
이들 컴포넌트의 핵심은 표준행동절차(SOP: Standard Operation Procedure)로 SOP 데이터를 중심으로 등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2 eSOP 시스템 개발

3.2.1 계획 수립 기능

재난대응계획 수립은 크게 두 단계에 걸쳐 수립한다. 우선 재난대응 업무들을 SOP 형태로 변환하여 재난유형과 대응 단계에 따라 연결한 후 각각의 SOP에 세부조치사항, 대응조직, 협력기관, 필요자원 등의 정보를 등록한다(Fig. 9).
Fig. 9
Registration of Basic Information
KOSHAM_17_06_115_fig_9.gif
다음으로 프로세스 디자인과 같은 툴을 활용하여 SOP의 연관성을 부여하였다. 즉, SOP의 선⋅후행 관계를 지정하여 프로세스 맵 상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치를 통해 재난대응계획이 수립된다(Fig. 10).
Fig. 10
Correspondence Relationship
KOSHAM_17_06_115_fig_10.gif

3.2.2 재난 대응 기능

재난대응 기능은 실제 재난 발생 시 프로세스 맵을 통해 작성된 재난대응계획을 기반으로 각 재난대응 단계마다 정의된 SOP가 수행되도록 한다. SOP에 연결된 각 담당자에게 수행해야할 SOP를 SMS, 이메일 등을 통해 전파하면, 각 담당자는 PC나 모바일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조치한 후, 수행한 결과를 등록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하지 못한 SOP가 있을 경우, 쉽게 추가하고 담당자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11은 재난발생 시 각 담당자게 수행해야할 SOP와 세부조치사항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Fig. 11
PC Based Disaster Response
KOSHAM_17_06_115_fig_11.gif
Fig. 12의 재난대응 화면은 모바일 화면에서 담당자가 수행해야할 대응 업무와 세부조치사항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Fig. 12
Mobile-based Disaster Response
KOSHAM_17_06_115_fig_12.gif
이와 같이, 재난대응 시 SOP기반의 절차형으로 계획된 재난대응계획을 PC나 모바일을 통해 조회하고, 이를 참고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3.2.3 상황 관리 기능

상황관리 기능을 통해 재난대응계획에 따른 재난대응 활동의 수행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SOP 담당자가 모바일 또는 PC를 통해 자신의 업무를 확인 한 후, 조치 결과에 따라 “조치완료”, “진행중”, “조치불가”와 같은 상태정보를 지정하면 상황관리자는 진행 상황을 시스템 내 종합상황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ig. 13에서 파란색은 조치완료, 회색은 미 수행, 주황색은 진행 중인 SOP를 의미한다.
Fig. 13
Disaster Response Management
KOSHAM_17_06_115_fig_13.gif

4. 결론

본 연구를 통해 eSOP 기반의 재난대응계획 수립 및 실제 재난대응활동과의 연계, 재난상황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제시하였다. 기존 각 기관별로 보유하고 있는 문서 형태의 매뉴얼/계획서 등을 실제 재난 발생 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일련의 사고대응사례들이 보여주고 있다.
eSOP 시스템은 재난관리 각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우선 각 조직의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들은 기존의 재난대응매뉴얼/계획서를 SOP화 하여 eSOP 시스템에 등록 및 관리함으로써 방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시시각각 급변하는 재난현장에서는 대응인력들이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다양한 현장조건에 최적화된 SOP를 전달받아 대응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SOP들은 프로세스 디자인 툴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재난상황실에서 실시간으로 진행상황 모니터링 및 추적관리 등 상황관리와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eSOP 시스템은 새로운 기술은 아니지만 지금도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eSOP 기능을 재난분야에 접목하여 적용할 경우 보다 신속한 의사결정 및 현장의 재난대응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정부(국민안전처)의 재원으로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비지원(MPSS-자연-2014-76)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KISTEP (2014) Disaster Management ICT Trends and Implications in Overseas Major Countries.
crossref
Lee, B.C (2010). A Study on the Electronic Manual for Emergency Operation Plan using IETM(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s). National Fire Agency.
crossref
Lee, G.H (2011). Study on the BPM based Disaster Management Business Process Modelling Desig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crossre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2014) Development of the Decision Support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crossref
Park, M.Y, Koo, W.Y, Park, W.S, and Kwon, S.G (2014) A Conceptual Study on Disaster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Vol. 7, No. 2, pp. 35-41.
crossref
Song, K.S, Seo, D.S, Chung, W.C, and Seo, M.W (2017) A Smart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Intelligenc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593-594.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